1장에서는 일본 식민지지배의 한반도 상황을 시기별로 개관하되, 주요 사안에 대해서는 일본과 열강, 한국인의 동향을 서로 관련시켜 기술한다.2장에서는 미·소 대한(對韓) 구상의 동태성을 분할 점령과 탁치 문제를 중심으로 역사적으로 해명한다.3장에서는 1945년 한반도가 분단된 이후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한 원인에서부터 1953년 7월 27일 정전이 이루어지면서 한반도가 재분단되는 과정을 개괄적으로 설명한다.4장에서는 이승만의 대외 인식과 전략, 한미동맹과 반공·반일에 대한 양국의 갈등을 통해 1950년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를 면밀히 살폈다.5장에서는 미국의 베트남 정책과 이와 연동해 이뤄진 한국군 파병을 둘러싼 한·미 간 교섭 과정, 베트남전쟁과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그로 인한 대남 정책 변화가 한·미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살펴본다.6장에서는 남북한 당국이 민족화해의 막을 열게 된 목적이 무엇인지 그리고 왜 그렇게 막을 빨리 닫았는지 그 원인을 국내외 정치 환경 변수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앞으로 전개될 남북 대화의 함의를 찾아본다.7장에서는 냉전과 신냉전 시기의 군사력 변화와 한·미·일 연대, 그 이후 찾아온 미·중 관계 개선으로 인한 해빙기까지의 일련의 변화를 개괄한다.8장에서는 노태우 대통령이 취임한 1988년 2월부터 1989년 말까지 추진됐던 북방정책과 남북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9장에서는 분단 이후 동·서독의 통일·통합 정책을 살펴본 후, 냉전의 종식 및 제도적 통일을 전후한 독일통일의 과정을 되짚어 본다.10장에서는 남북 관계사에 자리매김된 정상회담의 성사 배경, 합의 내용, 이행 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서술함으로써 역사적으로 재조명한다.11장에서는 중국의 부상과 동북아 주변국의 관계 변화, 동북아 국가 간 갈등과 전략적 경쟁, 미·중 간 전략적 경쟁 구조의 형성과 가속화에 따른 관계 변화를 살펴본다.12장에서는 새로운 국제질서와 변수 속에 놓인 한반도의 3중 패러독스를 분석하고, 구한반도 체제를 넘어 신한반도 체제로 도약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