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하필 스님이 되었냐고요?
제대로 행복해지고 싶어서요!
몇 시간씩 줄을 서서 기다리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고 소문난 맛집을 찾아다니는 사람들, 다음 날 쓰린 속을 부여잡고 해롱댈 것을 알면서도 코가 삐뚤어질 때까지 술잔을 기울이는 사람들, 더 높은 자리에 오르기 위해 밤잠을 줄여가며 스펙 쌓기와 실적 쌓기에 올인하는 사람들…. 저렇게까지 해야 하나 싶을 만큼 독하게 사는 사람들에게 도대체 왜 그러고 사냐고 묻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 돌아올 답이 뻔하기 때문이다. “그게 좋고 행복하니까요.”
생존에 필수적인 일을 제외하고 인간이 하는 모든 행위의 궁극적인 목표는 딱 하나다. ‘행복 추구’. 스님들, 이 책은 쓴 해인사승가대학 학인스님들이 출가해서 머리 깎고 사는 이유 역시 마찬가지다. 배고파서 초코파이 얻어먹으러 법당에 들어간 사람, 20대에 희망퇴직을 당하고 출가를 결심한 사람, 여자친구와 헤어지고 방황하다가 은사를 만나 출가한 사람 등 사연은 저마다 다르지만 하나같이 행복을 찾아 부처님 가르침 귀의했다. 연애도 못 해, 결혼도 못 해, 맛난 음식도 맘껏 못 먹어, 부와 명성도 쌓기 힘든데, 출가해서 사는 게 어째서 행복을 위한 일이냐고 반문할지 모른다. 하지만 스님들이 찾는 행복은 보통 사람이 생각하는 그것과는 거리가 멀다. 사랑, 돈, 명예처럼 수시로 변하는 것들로부터 얻어지는 잠깐의 행복감이 아닌 변치 않는 삶의 본질(진리)을 터득하는 것이야말로 스님들이 바라는 참 행복이다.
“내일 일은 나도 몰라요. 지금 좋으면 된 거죠.” 이런 하루살이 인생 같은 태도로 세상을 살아가는 이들은 공감하기 힘든 얘기일 수 있다. 하지만 진지하게 자기 삶의 무게를 고민하는 사람, 무언가를 소유함으로써 얻은 찰나의 즐거움 끝에 허무함과 덧없음을 맛본 사람이라면, 누구보다 깊고 오래 삶의 본질을 성찰하는 스님들의 이야기가 마음 깊이 와닿을 것이다.
집 떠나면 개고생이라고?
집 떠나 사는 재미도 있다!
천천히 걷고 먹고 마신다. 항상 말과 행동을 차분하게 하고, 좋든 싫든 감정 기복과 표현이 적다. 사계절 내내 민머리를 하고 칙칙한 색깔의 옷을 입고 검은색 아니면 흰색 고무신을 주로 신는다. 인적이 드문 산중에 살면서 밤 9시가 되면 불 끄고 잔다. 스님에 따라, 생활환경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겠지만 대부분 스님 생활이 이렇다. 그래서 ‘스님’ 혹은 ‘스님의 삶’ 하면 떠오르는 첫인상은 단연 ‘재미없음’이다. 만약 누군가에게 단 하루만 이렇게 살아보라고 하면 심심하다 못해 좀이 쑤셔서 안절부절못할 것이다.
그런데도 스님들은 즐겁다고 말한다. 즐거움을 넘어 매 순간 삶의 경이로움을 느낀다고 말한다. 과연 이 말을 믿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아마 스님을 빼면 아무도 없을 것이다. 이 책을 쓴 학인스님들도 그랬다. 출가하기 전까지 부처님, 절, 스님에 대해서 ‘1’도 관심이 없었다. 하지만 인연에 따라 출가한 뒤 직접 살아보니 밖에서 살 때보다 훨씬 더 행복하다는 게 공통된 이야기다. 남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든 자기 만족을 위해서든, 억지로 애쓰고 꾸미고 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자연스럽게 사니까 몸도 마음도 편안해지는 것이다.
출가 생활이 마냥 편하고 즐겁기만 한 것은 아니다. 특히 어엿한 스님으로 거듭나기 위해 새롭게 배우고 익혀야 할 게 많은 학인스님들의 하루는 고단함 그 자체다. 새벽부터 밤까지 이어지는 공부와 수행, 사소한 일 하나까지 규율에 맞게 행동해야 하는 불편함, 거기에 단체생활에서 오는 각종 스트레스까지 더하면 굳이 머리를 밀지 않아도 저절로 머리카락이 빠질 것 같은 게 스님들의 일상이다. 그러니 오해하지 말자. 스님도 사람이고 절도 사람 사는 곳이다. 스님으로 사는 건 생각만큼 느슨한 일이 아니다.
사람 모인 곳은 다 그렇듯 스님들 생활에도 희로애락이 공존한다. 성격과 생각이 서로 달라서, 때로는 다투기도 하고 본의 아니게 실수를 저지르기도 한다. 다만 세속에서는 다툼과 잘못이 갈라섬의 원인이 되지만 절에서는 오히려 결속과 자기 성장의 토대가 되어준다. 남을 탓하기보다 스스로를 먼저 참회하고, 자신의 모난 곳을 다듬고 깎아서 원만한 사람으로 자라나는 계기로 삼기 때문이다. 순간순간이 수행인 삶, 겉멋이 아닌 속멋을 가꿔나가는 삶, 여기에 스님으로 사는 즐거움의 참뜻이 숨어 있다.
어쩌면 당신의 이야기가 될지도 모를 이야기
평범한 사람들의 평범하지 않은 출가 이야기
걱정 없이 사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점심으로 무엇을 먹어야 할지, 내일은 어떤 옷을 입어야 할지 같은 하찮은 고민에서부터 성적, 취업, 결혼, 집 장만 등 현실적인 과제에 이르기까지 현대인의 머릿속은 걱정거리로 가득하다. 다행히 이런 걱정들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해결된다. 아니면 미리 준비하고 대비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진짜 문제는 인생, 죽음, 행복, 존재의 목적 같은 본질적인 것들이다. 이런 의문을 품고 사는 사람들은 쉽게 현실에 안주하지 못한다. 남들이 부러워할 만큼 잘 먹고 잘살아도 속으로는 어딘가 텅 빈 듯한 공허함을 느낀다. 그런 사람들에게 이 책은 작은 실마리를 보여준다.
이 책의 주인공인 스님들은 처음부터 스님이 아니었다. 학교 다니고 회사 다니면서 평범하게 살다가, 어느 순간 전혀 다른 삶의 방식을 좇아서 불교에 귀의했다. 인류 역사상 가장 깊이 존재의 문제를 탐구했고 마침내 진리를 깨달은 부처님의 가르침에 의지해 내면의 의문을 풀기 위해서다. 출가는 보통 일이 아니다. 지금까지 쌓아온 것들을 모조리 버려야 할 만큼 큰 결심이 필요한 일이다. 그래서 스님이 된다는 건 특별한 선택이자 완전히 새로운 삶으로의 나아감이다. 하지만 간절히 답을 구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다면 더없는 기회의 장이자, 누구에게나 활짝 열려 있는 길이다.
살다 보면 내 안에서 본질적인 물음이 샘솟을 때가 있다. 잠깐의 고뇌로 넘겨버리는 사람이 있을 것이고, 또 누군가는 심각하게 고민할 것이다. 만약 지금 삶이 행복하지 않다고 느껴진다면, 세상에 더 나은 길이 있을 거라고 믿는다면, 이 책에서 희망과 용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남들이 말하는 대로가 아닌 내가 바라는 대로, 내가 원하는 모습으로 살아가길 원하는 모든 이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