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 리 말 P R E F A C E
IQ 테스트나 영재성 검사와 마찬가지로 공직적격성평가는 처음 접하는 사람들 간에 큰 수준의
적응력 차이가 있다. 그러나 필자는 이러한 차이가 극복 불가능한 차이라 여기지 않는다. 많은 수험생들이 시작점의 차이를 인정하고, 시간을 투자하여 원하던 결과를 이루어냈다. 이는 모든 적성시험에서 동일하게 확인되는 현상이다. 그렇다면 그 방법론이 문제다. 적성시험에서 본인의 한계를 뛰어넘은 수험생들이 공통적으로 언급하는 방법론은 크게 세 가지다.
① 기출을 꼼꼼히 분석하라
② 약점을 파악하고 보완하라
③ 충분한 시간을 투자해라 (2차 공부와의 균형 등)
물론 다 좋은 말이다. 하지만 이것만으론 공허하다. 기출은 어떻게 분석해야 하는지, 약점은 어떻게 파악하고 보완해야 하는지, 시간 투자는 어느 정도가 적절한지, 이런 것들에 대한 충분한 가이드라인이 있는 교재는 아직까지 출간된바 없다.
본서는 수험생들에게 이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교재에는 고득점 합격생들이 작성한 해설이 수록되어 있다. 아주 상세하지는 않으나, 고득점자들의 문제에 대한 인사이트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출 유형 분석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응용이 수반되지 않는 유형화는 아무런 발전가능성이 없다. 그러나 그 '응용'이 대부분의 수험생에게, 소위 PSAT형 인간이 아닌 수험생에게 가장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본서는 문제 응용의 범위를 수험생에게 제공한다. 동일한 소재에서, 동일한 유형에서 출제될 수 있는 인접 문제를 다양하게 전시하는 것으로, 기출 문제를 넘어서 각 문제와 본질적으로 궤를 같이하는 것들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하였다. 수험생들이 추후 다양한 모의고사를 활용할 때, 기출 문제와 연계 할 수 있는 기준을 확립하길 기대한다.
다음으로 약점을 파악하고 보완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다. 본서의 문제들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출문제와 소재적, 유형적으로 유사한 문제들을 유제로 제시한다. 이는 특정 소재 또는 유형에 약점을 지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다. 필자의 개인적인 바람으로는 기출문제 1개당 유제를 20개는 달고 싶었지만... 여러 현실적인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약한 소재의 유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부족하나마 연습이 되도록 한 것에 의의를 둔다.
마지막으로 ‘충분한 시간을 투자할 가치 있는 교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지금까지의 교재들은 사실상 기출문제 모음집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기출에 대한 해설과 유형화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관련된 문제들을 모강이 아닌 교재를 통해서 접할 수 있다는 것은 수험생들에게 큰 이점이 될 것이다. 음성적으로 풀려있는 강모가 아닌 전모를 기반으로 한 공식적인 연습문제집이 출간되었다는 것이 시장의 판도를 바꿀 것이라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항상 수험생의 마음에서 수험생 여러분께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2023. 1. 28.
전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