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아이로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초등 독서 전도사’ 심영면 교장 선생님의 특급 노하우
요즘 초등 교육에서 가장 뜨거운 주제는 단연 ‘문해력’이다. 문해력을 키우지 못하면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학습에서도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러면 문해력을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 바로 ‘독서’다. 『초등 독서의 힘』 저자 심영면 교장 선생님은 문해력과 이해력이 뛰어난 아이, 그리고 이해심이 많은 아이로 키우려면 배 속에 있을 때부터 책을 읽어 줘야 한다고 말한다.
1장 ‘독서는 어떻게 시작되는가?’에서는 글자가 언제, 어떻게 생겨났는지 이야기한다. 그리고 인간의 언어활동이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지 알려 준다. 아이들의 말 배우기는 소리 듣기에서 시작한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듣기 자극은 너무나 중요하다. 듣기 자극을 주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책 읽어 주기’다. 그렇다면 책 읽어 주기는 언제부터 하는 게 좋을까? 저자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고 말한다.
2장 ‘독서의 첫걸음, 책 읽어 주기’에서는 책을 읽어 주는 활동이 아이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어떤 방법으로 책을 읽어 주어야 하는지 알려 준다. 오래전부터 책을 잘 읽는 사람이 이 세상을 이끌어 왔다는 사실은 모두 알고 있다. 하지만 누구나 쉽게 책을 읽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어렸을 때부터 꾸준히 책을 가까이해야만 가능한 일이다. 책을 좋아하고, 책을 읽고 싶어 하는 마음이 생기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그사이 부모님은 포기하지 말고 끊임없이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 주어야 한다.
3장 ‘초등 독서의 힘’에서는 어떤 독서법이 올바른 것인지, 어떤 책을 읽어야 하는지, 독서를 잘하면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를 말하고 있다. 흔히 책을 정독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 정독이 꼭 정답은 아니다. 재미있게 책을 읽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정작 어른들은 아이들이 공부하듯이 책을 읽기를 바란다. 그러니 정독이냐 아니냐 같은 무의미한 질문에 매달리지 말고 ‘즐거운 독서’를 위해 노력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4장 ‘독서에 대한 오해와 진실’에서는 부모님들이 궁금해하는 독서와 관련된 9가지 질문을 다루고 있다. ‘매일매일 골고루 읽어야 한다?’, ‘독서 능력과 학습 능력은 별개다?’, ‘독서 독립은 빨리 시키는 게 낫다?’, ‘책을 잘 읽으면 글도 잘 쓴다?’ 등 독서에 관심 있는 부모님이라면 한 번쯤은 가져 봤을 질문들에 명쾌한 대답을 내놓는다.
5장 ‘책 읽는 아이로 키우기 위한 8단계 전략’에서는 ‘책에 흥미를 갖게 한다’, ‘책을 읽어 준다’, ‘TV, 컴퓨터, 스마트폰 등 독서를 방해하는 매체를 통제한다’ 등 책을 좋아하는 아이로 키우기 위한 단계별 전략을 소개한다. 책을 좋아하는 아이로 만드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단계별로 촘촘히 짜인 저자의 전략을 따라 하다 보면 어느 순간 책을 펼쳐 들고 몰입하고 있는 우리 아이의 모습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미래 사회에서 경쟁력을 가지려면
반드시 책을 읽어야 한다
한때 ‘심심한 사과’라는 말이 우리 사회에서 문해력 논란을 일으킨 적이 있었다. 매우 깊고 간절하다는 뜻의 ‘심심하다’를 ‘하는 일 없어 지루하고 재미가 없다’는 뜻으로 해석해서 일어난 일이었다. 이런 상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우리 아이들의 문해력은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문해력 저하 현상은 인터넷이나 유튜브로만 지식을 얻고자 하는 우리 아이들 세대에서는 더욱 확대될 수밖에 없다.
『초등 독서의 힘』은 이를 안타깝게 여긴 심영면 교장 선생님이 오랫동안 독서 운동을 하며 얻은 모든 지식과 노하우를 담아 펴낸 책이다. 저자는 2006년부터 지금까지 학교 현장에서 학부모, 교사, 학생, 지역사회 인사 등이 직접 참여해 학생들에게 책을 읽어 주는 ‘얘들아, 함께 읽자!’라는 운동을 펼치고 있다.
결국 미래 사회에는 문해력과 이해력, 독해력을 갖춘 인재가 커다란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다. 초등학생 때 독서로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단순히 학습 기회를 놓치는 것을 넘어 좋은 직업을 가질 수 있는 기회조차 잃게 될지 모른다. 우리 아이에게 지금 독서를 권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