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사람이 변한 것처럼 느껴진다면”
누구에게 ‘디폴트 값’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자
사람에게는 그 자체로 정해진 ‘고정 값’, 요즘 말로 디폴트(defalt)가 있다. 행동, 감정, 돈 등 뭐든 간에 본인이 할 수 있고 쓸 수 있는 적정선이 있다는 뜻이다. 연애 초기, 대부분의 사람은 상대에게 너무 잘해주고 싶은 나머지 본인이 할 수 있는 행동 ‘그 이상의 일’을 해낸다. 사귄 지 얼마 안 됐을 때는 감정 중에서 설렘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만, 꽤 많은 시간을 같이 보내다 보면 자연스럽게 익숙함이란 감정의 농도가 짙어지게 되고, 처음에 했던 고정 값 이상의 행동도 서서히 줄어든다. 이건 마음이 변해서가 아니라, 처음에는 설레지만 불안정한 관계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관계로 접어들기 위해 더 노력했던 것이다. 연애가 안정기에 다다르면 기계가 아닌 이상 대부분의 사람은 원래 본인의 모습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 사실만큼은 분명히 인정하고 연애를 하는 것이 좋다.
연인이 잘못을 저지른 게 아니라면, 그가 관계 속에서 서서히 달라지는 것을 단순히 ‘애정이 식어서 변한 것’으로 해석하지 말고 ‘사람이기에 원래의 모습이 돌아오는 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따라서 상대에게 “변했다”라고 말하는 건 관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말에는 ‘자기 암시 효과’가 있어 반복할수록 상대로 하여금 ‘내가 정말 변했나?’ 하는 생각만 품게 될 뿐이다. 더 오래오래 사랑하고 싶고, 지금의 관계를 잘 이어가고 싶다면 이 사실을 꼭 기억해두자.
“헤어진 연인을 도저히 잊을 수 없어요”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프레임을 떠올려라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이 문장을 읽어보라. 머릿속에 무엇이 떠오르는가? 당연히 코끼리가 떠오를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별을 한 뒤 헤어진 전 연인을 잊어야 한다고 생각하면 할수록 거기에 갇혀 나올 수 없을 확률이 높아진다. 헤어진 사람의 기억은 오랫동안 한자리에 머무른다. 돌이킬 수 없는 그 순간을 곱씹고 곱씹다 나중에는 ‘잊어야 해’, ‘지워야 해’라고 강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헤어진 뒤 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의 방법은 일단 잊겠다는 생각이나 이별한 사실을 굳이, 애써 떠올리지 않는 것이다.
이별로 인해 힘들고 고통스러운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만남의 시간이 있었던 만큼 이별의 상처도 회복되기까지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내 몸과 마음이 누군가와의 헤어짐에 익숙해지는 물리적 시간을 당연히 가져야 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분명히 ‘이유’가 있었기 때문에 헤어진 것인데 이별 후 그가 자꾸 떠오른다고 해서 ‘내가 아직 그 사람을 사랑하는구나’라고 착각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헤어진 후 그가 생각나는 건 누구나 겪는 자연스러운 일이며, 헤어진 이유를 곱씹어봤을 때 본인이나 상대가 정말 바뀌지 않을 것 같다면 내려놓을 줄도 알아야 한다. 사랑은 만남을 이어갈 때도 중요하지만, 헤어지고 나서 한때 그토록 소중했던 이를 잘 보내주는 것도 사랑의 한 종류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