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살기 위해서 태어난 것이다. 또한 사람은 가장 창조적인 존재이다. 그리고 많은 문제의 근원이 되기도 하는 이성과 언어 없이는 살아갈 수 없는 숙명을 가졌다.
이러한 조건에서 새로운 철학은 어떻게 기능할 것인가?
이성은 사유의 주체일 뿐 아니라 감정과 의지, 행동 등을 포괄하는 의식의 주체가 된다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성이 언어를 수단으로 하지 않는 인지의 가능성을 찾는 것이다.
이성은 언어적 사유가 아닌 돈오, 통찰 등으로 창조 활동의 근거가 되는 황금의 단추, 맥, 중심고리, 도축 등을 찾아내는 것이다. 언어는 이렇게 찾아낸 것을 확정하고 전달하는 수단임에는 여전히 유효하다.
제1부에서는 서양철학의 역사를 2500년에서 3000년으로 산정하고, 이 역사 기간 관통하고 있는 근원적 특징이 무엇이며, 이 근원적 특징인 이분법성의 성격을 고찰했다. 그리고 이 근원적 특징에 기반한 철학 이론 전개는 필연적으로 역설에 빠지게 된다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했다. 세계철학사의 효시라고 본다.
제2부에서는 20세기 이전 서양철학의 이론적 논의와 이론 전개에서 어떤 역설이 어떻게 발생하는가를 가장 중추적이며, 대표적인 이론 전개를 선택해서 정리했다. 이를 통해 유럽철학 이론 전개를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지렛대를 제공했다.
제3부에서는 20세기에 재래철학의 오류, 한계 등을 극복하려는 새로운 이론들이 대두했으나, 서양철학의 근원적인 한계(필연적인 역설 발생)를 파악할 수 없는 입지조건에서는 스스로 역설에 봉착한다는 숙명성을 밝히려 했다. 이를 통해 거대한 체계 또는 난삽한 이론 전개의 서양철학에 대한 외경을 체감할 수 있을 것이다.
제4부에서는 이성과 반이성의 갈등을 감동적으로 실감 있게 전개한 유럽의 대표적인 문학작품을 역설 양상이라는 지렛대로 고찰하게 되면 이 작품들의 진수를 이해할 것이다.
2022년 2월 24일에 시작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미국, 유럽, 동아시아를 망라한 세계적 경제위기, 여기에 중국과 대만 간의 긴장과 한반도에서 남북 충돌의 고조까지 얽혀 지금 세계는 원자 대전을 예견하는 ‘아마겟돈 최후’를 회자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러한 상황은 이분법적 서양철학, 이에 기반한 세계의 학문, 정치, 경제와 문화의 역설 현상과 무관하다 할 수 없다. 이제 이 역설의 근거를 밝힌 데 근거해서 그 해결의 길을 찾아 나설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