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팔리율 1

팔리율 1

  • 석보운
  • |
  • 혜안
  • |
  • 2022-12-30 출간
  • |
  • 672페이지
  • |
  • 152 X 225mm
  • |
  • ISBN 9788984946934
판매가

40,000원

즉시할인가

36,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6,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초기 남방불교의 삼장 중 율장을 집대성한 팔리율 완역의 첫째 권
팔리경전은 부처님의 직계 제자들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구전한 것을 토대로, 기원전 1세기에 스리랑카에서 경율론 삼장 전체를 팔리어로 엮어 전승한 경전이다. 현재 남방불교의 중심에 서있는 『팔리율』은 북방불교의 5대 광율(廣律)인 『오분율(五分律)』, 『사분율(四分律)』, 『십송율(十誦律)』, 『마하승기율(摩訶僧祇律)』,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 등과 같이 전체적으로 완전한 형태를 갖춘 율장이다.
이 『팔리율(Pali Vinaya)』은 19세기 말 영국의 팔리성전협회(The Pali Text Society, 약칭 PTS)에서 전체 5권으로 영역하여 결집하면서 세계적으로 알려졌다. 그 구성은 제1권은 마하박가(Mahāvagga)(출가, 구족계, 포살 등 승가의 일상계율)이고, 제2권은 출라박가(Cūlavagga)(승가에서 발생하는 처벌조항과 의무)이며, 제3권과 4권은 비구와 비구니의 수타 비방가(Sutta-Vibhaṅga)(계율 낱낱의 조문)이고, 제5권은 파리바라(Parivāra)(계율의 보충설명)로 구성하고 있다. 한역 율장과 비교하여 본다면 마하박가와 출라박가는 한역의 건도(犍度)이고, 수타 비방가는 바라제목차(波羅提木叉)이며, 파리바라는 부수(附隨)로서 강요(綱要)에 해당한다.
한편, 1940년대 일본에서 완역하고, 이후 대만에서 한역(漢譯)된 『남전대장경(南傳大藏經)』은 전체 5권으로 결집하고 있는데, 제1권에서는 경분별(經分別)인 비구의 계율을 1~4권에 수록하고 있고, 제2권에서는 비구의 계율을 5~8권에, 비구니의 계율을 9~15권에 수록하고 있다. 제3권에서는 대품(大品) 건도(犍度)인 마하박가를 1~10권에 수록하고 있고, 제4권에서는 소품(小品) 건도인 출라박가를 11~22권에 수록하고 있으며, 제5권에서는 부수 1~19권을 수록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5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 『팔리율Ⅰ』은 그동안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십송율』, 『마하승기율』 등 초기 북방불교의 율장들을 국역하는 작업을 해 온 조계종 교육아사리 보운 스님이 남방불교 율장을 『남전대장경』의 분류체계를 인용하여 대분류로서 제1권부터 제5권으로 나누어 번역한 책 중 첫 번째 결과물이다.
『팔리율』의 결집과 서술의 형식은 한역으로 번역된 율장의 형식과는 다른 형태를 갖추고 있고, 한역 율장은 결집과 역출(譯出)의 과정에서 각 부파에 따른 형식의 분화가 뚜렷하게 일어났던 점과는 다르게 근본불교의 시대에 송출하였던 형태를 갖추고 있다. 또한 한역 율장에서 특정한 연기(緣起)의 내용은 중국의 문화와 정서에 알맞게 번역하였다고 추정되는 관점과 비교한다면, 오히려 옆에서 지켜보고서 서술하는 것과 같이 현실성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결집하고 있는 점이다.
『팔리율』의 내용과 구성에서는 상좌부 율장인 『사분율』, 『십송율』, 『마하승기율』,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에서 결집되었던 내용과 많은 부분에서 일치하고 있으나, 한역의 율장에 나타나지 않았던 내용도 다수가 포함되어 있어 세심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집의 문제는 부파불교의 시대에 각 부파의 종지(宗旨)를 따라서 율장을 결집하면서 부분적으로 발생한 변화를 남방불교의 율사들이 특정하게 수용하였다고 추정할 수 있다.
『팔리율』 제1권과 제2권에 결집된 바라제목차인 비구의 경분별은 1권부터 8권까지로 분류되고 있다. 1권은 비구의 4바라이(波羅夷)를, 2권은 승잔(僧殘)을, 3권은 니살기바일제(尼薩耆波逸提)를, 4권은 비구의 2부정법(不定法)을, 5권은 바일제(波逸提)를, 6권은 바라제제사니(波羅提提舍尼)를, 7권은 중학법(衆學法)을, 8권은 멸쟁법(滅諍法)을 결집하고 있다. 그중 이 『팔리율Ⅰ』에서는 경분별 1~5권을 번역하였다.
특히 팔리율의 계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비구 계율은 4바라이, 13승잔, 2부정법, 30니살기바일제, 92바일제, 4바라제제사니, 75중학법, 7멸쟁법 등이 있어 227계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비구니 계율은 8바라이, 17승잔, 30니살기바일제, 166바일제, 8바라제제사니, 75중학법, 7멸쟁법 등이 있어서 311계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한역과는 다른 형태로 결집되고 있는데, 오히려 율장의 결집에서 초기불교시대의 형태를 간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책을 읽는 분들이 인도 초기불교의 계율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것은 물론, 그 핵심 사상과 내용들은 오늘날 승가에서도 여전히 지켜야 할 유용한 것임을 깊이 인식하고 실천하기를 기대한다.

목차

역자의 말
팔리율(Pali Vinaya) 해제

비구율 대분별(Bhikkhu Vinaya 大分別)

경분별(經分別) 제1권
1. 바라이(波羅夷, Pārājika)
1) 불음행(不婬行) 학처(學處)
2) 불여취(不與取) 학처
3) 단인명(斷人命) 학처
4) 망설자득상인법(妄說自得上人法) 학처

경분별(經分別) 제2권
2. 승잔(僧殘, Saṅghādisesa)
1) 고출정(故出精) 학처
2) 촉녀(觸女) 학처
3) 설비악어(說鄙惡語) 학처
4) 색공양(索供養) 학처
5) 매가(媒嫁) 학처
6) 조소사(造小寺) 학처
7) 조대사(造大寺) 학처
8) 무근방(無根謗) 학처
9) 가근방(假根謗) 학처
10) 파승사간(破僧事諫) 학처
11) 조파승사(助破僧事) 학처
12) 악성위간(惡性爲諫) 학처
13) 오가(汚家) 학처

경분별(經分別) 제3권
3. 부정법(不定法, Aniyata)
1) 부정(不定)
2) 부정(不定)

경분별(經分別) 제4권
4. 니살기바일제(尼薩耆波逸提, Nissaggiya)
1) 축장의(蓄長衣) 학처
2) 이삼의(離三衣) 학처
3) 일월의(一月衣) 학처
4) 사비친니완고의(使非親尼浣故衣) 학처
5) 종비친니취의(從非親尼取衣) 학처
6) 종비친족거사걸의(從非親族居士乞衣) 학처
7) 과량걸의(過量乞衣) 학처
8) 선왕취기의작지시(先往就其衣作指示) 학처
9) 선왕취공여기의작지시(先往就共與其衣作指示) 학처
10) 과한색의(過限索衣) 학처
11) 교사야작와구(憍奢耶作臥具) 학처
12) 용순흑양모작와구(用純黑羊毛作臥具) 학처
13) 과분수작와구(過分數作臥具) 학처
14) 작감육년와구(作減六年臥具) 학처
15) 작신와구괴색(作新臥具壞色) 학처
16) 자담부양모(自擔負羊毛) 학처
17) 비친족비구니완염(非親族比丘尼浣染) 학처
18) 착금은(捉金銀) 학처
19) 매매금은(買賣金銀) 학처
20) 교역(交易) 학처
21) 축장발(蓄長鉢) 학처
22) 걸발(乞鉢) 학처
23) 복과칠일약(服過七日藥) 학처
24) 우기의(雨期衣) 학처
25) 탈의(奪衣) 학처
26) 영직사직의(令織師織衣) 학처
27) 지시직사직의(指示織師織衣) 학처
28) 급난시의(急難施衣) 학처
29) 아련야의육야(阿練若衣六夜) 학처
30) 회중물입기(迴衆物入己) 학처

경분별(經分別) 제5권
5. 바일제(波逸提, Pācittiya)
1) 고망어(故妄語) 학처
2) 훼자어(毁訾語) 학처
3) 이간어(離間語) 학처
4) 여미수구계자동송법(與未受具戒者同誦法) 학처
5) 여미수구계자동숙(與未受具戒者同宿) 학처
6) 공여인동숙(共女人同宿) 학처
7) 여여인설법오육어(與女人說法五六語) 학처
8) 대미수구계자설상인법(對未受具戒者說上人法) 학처
9) 설비구추죄(說比丘麤罪) 학처
10) 굴지(掘地) 학처
11) 벌초목(伐草木) 학처
12) 작이어(作異語) 학처
13) 기혐경천(譏嫌輕賤) 학처
14) 불거와구(不擧臥具) 학처
15) 불거부구(不擧敷具) 학처
16) 강출거(强出去) 학처
17) 강견출정사(强牽出精舍) 학처
18) 누상탈각상(樓上脫脚牀) 학처
19) 작대정사지시(作大精舍指示) 학처
20) 용유충수(用有蟲水) 학처
21) 교계비구니(敎誡比丘尼) 학처
22) 교계비구니일몰(敎誡比丘尼日沒) 학처
23) 교계비구니주처(敎誡比丘尼住處) 학처
24) 비난비구니교계(非難比丘尼敎誡) 학처
25) 시여의비구니(施與衣比丘尼) 학처
26) 비친족비구니봉의(非親族比丘尼縫衣) 학처
27) 약비구니동도행(約比丘尼同道行) 학처
28) 약비구니동승선(約比丘尼同乘船) 학처
29) 사비구니취식(使比丘尼取食) 학처
30) 독여비구니공좌(獨與比丘尼共坐) 학처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