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명대시선

명대시선

  • 김학주
  • |
  • 명문당
  • |
  • 2012-08-30 출간
  • |
  • 400페이지
  • |
  • ISBN 9788972704232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 책머리에

해제(解題)
1. 명대는 어떤 시대였는가?
2. 명대 문학 발전의 특징
3. 명대 시 발전의 특징

시선(詩選)
유기(劉基)
농두수(朧頭水) / 농사짓는 사람들(田家) / 감회(感懷) 제2수 / 말을 사는 노래(買馬詞) / 머리 흰 어머니의 노래(白頭母吟) / 장문원(長門怨) / 옥계원(玉階怨) / 옛 수자리 터(古戍)
고계(高啓)
금릉의 우화대에 올라 장강을 바라봄(登金陵雨花臺望大江) / 소 치는 노래(牧牛詞) / 사나운 호랑이의 노래(猛虎行) / 농가의 노래(田家行) / 전쟁 뒤에 성을 나가(兵後出郭) / 성 쌓는 노래(築城詞) / 봉구의 전쟁터를 지나며(過奉口戰場) / 서대 통곡시(西臺慟哭詩) 병인(?引) / 마을의 무당 노래(里巫行) / 슬픈노래(悲歌) / 배우 이주교가 동냥을 하다(優人李州僑乞米) 제2수 / 야전행(野田行) / 장씨 열녀의 노래(張節婦詞) / 아나괴(阿那?) / 조선 아이의 노래(朝鮮兒歌)
원개(袁凱)
객지에서의 섣달 그믐밤(客中除夕) / 종군행(從軍行) / 회서에 홀로 앉아(淮西獨坐) / 이릉이 울면서 작별하는 그림을 보고(李陵泣別圖) / 경사에서 집의 편지를 받고(京師得家書)
우겸(于謙)
석회의 노래(石灰吟) / 섣달그믐 밤 몹시 추운 태원에서(除夜太原寒甚) / 북풍이 부네(北風吹) / 태행산에 올라(上太行) / 늦은 봄 여로의 감상(暮春客途卽景) / 시골집의 복사꽃(村舍桃花)
심주(沈周)
종군행(從軍行) / 서산의 호랑이 노래(西山有虎行) / 감회를 읊어 스님에게 붙임(寫懷寄僧) / 꽃을 꺾는 여인(折花仕女)
이동양(李東陽)
밤에 소백호를 지나며(夜過邵伯湖) / 마선의 노래(馬船行) / 거듭 서애를 지나면서(重經西涯) / 가경중이 먹으로 그린 대나무(柯敬仲墨竹)
당인(唐寅)
복사꽃 암자 노래(陶化庵歌)
왕수인(王守仁)
바다 위에서(泛海) / 양지 네 수를 읊어 제자들에게 줌(詠良知西首示諸生) 제4수 / 짹짹 우는 노래(??吟)
이몽양(李夢陽)
이수가 운중으로 가는 것을 전송하며(送李帥之雲中) / 태산(泰山) / 정생이 태산으로부터 돌아와(鄭生至自泰山) / 석장군의 싸움터 노래(石將軍戰場歌) / 변경의 대보름날 밤(?京元夕)
변공(邊貢)
문천상의 사당을 찾아뵙고(謁文山祠)
서정경(徐禎卿)
사선 시어를 보내며(送士選侍御) / 잡요(雜謠) / 무창에서 지음(在武昌作) / 우연히 보인 것(偶見)
하경명(河景明)
노래를 듣고(聞歌) / 협객의 노래(俠客行) / 무릉에서 원릉으로 가는 도중에 지은 잡시(自武陵至沅陵道中雜詩) / 운양의 강어귀에 배를 대고 달을 감상하다(泊雲陽江頭玩月) / 헌길의 강서에서 보낸 편지를 받고(得獻吉江西書) / 망지에게 답함(答望之)
양신(楊愼)
금사강에 묵으며(宿金沙江) / 여학관이 나강으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함(送余學官歸羅江) / 버드나무(柳)
사진(謝榛)
유하에서 새벽에 출발하며(?河曉發) / 변경의 노래(塞上曲) / 멀리 이별한 이의 노래(遠別曲) / 가을 날 아우를 생각하며(秋日懷弟) / 사막 북쪽의 노래(漠北詞) / 변경의 노래(塞上曲)
귀유광(歸有光)
갑인년 시월의 사건(甲寅十月紀事) / 바닷가 사건 기록(海上紀事) 제6수
이반룡(李攀龍)
연말에 소리치며 노래하다(年?放歌) / 자상이 광릉으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함(送子相歸廣陵) / 명경이 강서로 가는 것을 전송하며(送明卿之江西) / 왕중승의 죽음을 슬퍼함(挽王中丞) 제2수 / 양백룡에게 지어 보냄(寄贈梁伯龍) / 태행산의 절정이 되는 황유 마릉 등의 고개에 올라서(登黃?馬陵諸山是太行絶頂處) / 옛 가락(古意) / 명비의 노래(明妃曲)
서위(徐渭)
감산에서 싸워 이긴 노래(龕山凱歌) / 송대 사람이 그린 잠자는 개 그림에 써넣음(題宋人?睡犬) / 밤에 산언덕 집에 묵다(夜宿丘園) / 포도 그림에 써 넣음(題葡萄圖) / 양귀비가 봄잠을 자는 그림(楊妃春睡圖)
왕세정(王世貞)
흠비의 노래(欽?) / 태백루에 올라(登太白樓) / 척장군이 준 보검 노래(戚將軍贈寶劍歌) / 장평을 지나면서 지은 장평의 노래(過長平作長平行) / 광릉으로 주공하를 찾아갔다 못 만났는데, 의진에서 이미 실종되었다 한다(廣陵訪周公瑕不遇, 云自儀眞失之) / 『관후참초선』전기 연출을 보고 느낀 바를 적음(見有演關侯斬貂蟬傳奇者感而有述) / 고니의 노래(?鵠曲)
심일관(沈一貫)
예쁜 여자 뽑는 것을 보고서(觀選淑女)
탕현조(湯顯祖)
소고산 아래 배를 대고 머무름(小姑夜泊) / 루강의 여자를 곡함(哭婁江女子) 제2수 / 칠석날 저녁 취하여 군동에게 답함(七夕醉答軍東) / 생 역할의 장라이에게 부치며 단 역할의 오영을 한하여 읊음(寄生脚張羅二恨吳迎旦口號) 제2수 / 우채가『모란정』창하는 것을 듣고(聽于采唱牡丹) / 유대보가 교서로 조현충을 뵈러 가는 것을 전송하며(送別劉大甫謁趙玄?膠西) / 천축산의 한가을(天竺中秋)
고반룡(高攀龍)
여름 날 한가히 지내며(夏日閑居) / 호숫가에

도서소개

『명대시선』는 명나라 시대, 폭넓은 분야의 시인들의 작품을 수록한 책이다. 명대 문학발전의 특징과 명대 시 발전의 특징을 비롯하여 유기, 고계, 원개, 우겸, 심주, 이동양, 당인, 왕수인, 이몽양, 변공, 서정경, 하경명, 양신, 사진, 귀유광, 이반룡, 서위, 왕세정, 심일관, 탕현조, 고반룡, 사조제, 원굉도, 종성, 진자룡, 장황언, 하완순, 괘지아, 산가 등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