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3 오로형 1

2023 오로형 1

  • 오제현
  • |
  • 헤르메스
  • |
  • 2023-01-13 출간
  • |
  • 486페이지
  • |
  • 188 X 257 x 30mm / 1215g
  • |
  • ISBN 9791156937821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머리말 PREFACE

 

「오로형」 개정판 출간에 앞서

 

「오로형」 시리즈는 「오로형」과 「오로형소」를 근간으로 「오로형사기」와 「형사핵정」, 그리고 「형사다」의 출간 및 강의를 통하여 지속적인 상호 보완을 해 오고 있습니다.

 

다만, 작년에 「오로형사기」는 출간하지 않은 반면, 「원정형법」과 「원정형소법」을 새로이 출간하였습니다. 「원정형법」과 「원정형소법」은 오로형 시리즈에서 핸드북 또는 요약서에 해당하는 위치와 역할을 위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이는 기존의 오로형 시리즈의 후반 단계에 해당합니다. 올해에는 조금 더 다듬고 정리하여 더욱 간결하고 효율적인 학습서로 선보이도록 하겠습니다.

 

이에 맞추어 이번 오로형 제7판은 기본서의 역할에 보다 충실하는 것을 개정방향으로 잡았습니다. 전판까지는 기본서의 볼륨을 줄이고자 노력하였으나, 앞으로 그 역할은 앞으로는 「원정」 시리즈가 담당하고, 「오로형」은 시리즈의 중심을 지켜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오로형」 제7판은

 

작년에 출간되지 않았던 「오로형사기」 내용을 「오로형」으로 편입하였습니다. 즉, 주요 사례쟁점과 그에 대한 TIP 그리고 대표 기출사례를 해당 목차에 알맞게 배분, 정리하였습니다. 이로써 기본서 한 권만을 가지고도 핵심사례의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개정법령과 판례를 반영하였습니다.

지난 2021년에는 주거침입죄에 대한 판례변경이 있었는데, 2022년에도 주목할 만한 판례변경이 있었습니다. 이른바 동기설을 폐기한 것으로, 1963년 채택된 이후 약 60년 만에 변경되었습니다. 이번 2022.12.22. 2020도 16420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은 사실관계의 변경과 법적견해의 변경을 구분하지 않고, 형법 제1조 제2항 및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4호를 적용하여 신법에 따름을 분명히 하였습니다.

 

위 전원합의체 판결을 비롯하여 2022년 12월 22일자 선고 분까지의 판례를 검토하여 총 3,340개의 판례를

수록하였습니다.

 

다음으로 22년에 실시된 변호사시험과 법원행시 기출문제의 출처표시 또한 업데이트하였습니다.

 

첫 출간 이후 여러 부침과 변화 속에서도 변함없는 관심과 응원을 보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더 좋은 교재와 강의를 위하여 더 많은 준비와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2023.1.

목차

제1부 형법총론

PART 01 형법의 일반이론

CHAPTER 01 형법의 기본 개념 … 2
제1절┃형법의 의의와 성격 … 2
1. 형법의 의의 … 2
2. 형법의 성격 … 2
제2절┃형법의 기능 … 2
1. 규제적 기능 … 2
2. 보호적 기능 … 2
Ⅰ. 법익의 보호 … 2
Ⅱ. 사회윤리적 행위가치의 보호 … 3
Ⅲ. 법익보호와 사회윤리적 행위가치보호의 관계 … 3
3. 보장적 기능 … 3
Ⅰ. 의의 … 3
Ⅱ. 효과 … 3
Ⅲ. 보장적 기능과 보호적 기능과의 관계 … 3
4. 사회보호적 기능 … 4
Ⅰ. 의의 … 4
Ⅱ. 내용 … 4
제3절┃형법의 발전 … 4
1. 형법의 역사 … 4
2. 위험사회와 위험형법 … 4
Ⅰ. 특징 … 4
Ⅱ. 비판 … 4

CHAPTER 02 형법의 기본원리 … 6
제1절┃죄형법정주의 … 6
1. 죄형법정주의 의의 … 6
Ⅰ. 의의 … 6
Ⅱ. 기능 … 6
2. 죄형법정주의의 연혁과 사상적 배경 … 6
3. 죄형법정주의의 현대적 의의 … 6
4. 죄형법정주의의 내용 - 피고인에게 유리한 경우는 허용 … 7
Ⅰ. 성문법주의(= 법률주의) … 7
Ⅱ. 소급효 금지의 원칙(= 형법불소급의 원칙) … 9
Ⅲ. 명확성 원칙 … 13
Ⅳ. 유추해석 금지의 원칙 … 16
Ⅴ. 적정성의 원칙 … 22
제2절┃형법이론 … 30
1. 형법학파 … 30
2. 형벌이론 … 30
Ⅰ. 응보형주의 … 30
Ⅱ. 목적형주의 … 30
Ⅲ. 결합설 … 31
3. 범죄이론 … 31

CHAPTER 03 형법의 적용범위 … 34
제1절┃형법의 시간적 적용범위 … 34
1. 서설 … 34
2. 형법의 태도 … 34
Ⅰ. 원칙 : 행위시법주의 … 34
Ⅱ. 예외 : 재판시법주의 … 35
3. 한시법 … 38
Ⅰ. 의의 … 38
Ⅱ. 한시법의 추급효 … 38
제2절┃형법의 장소적 적용범위 … 39
1. 서설 … 39
2. 형법의 태도 … 39
Ⅰ. 속지주의의 원칙 … 39
Ⅱ. 속인주의와 보호주의에 의한 보충 … 40
Ⅲ. 외국에서 받은 형집행의 효력 … 42
제3절┃형법의 인적 적용범위 … 44

PART 02 범죄론

CHAPTER 01 범죄론의 기초 … 48
제1절┃범죄의 의의와 종류 … 48
1. 범죄의 의의와 본질 … 48
2. 범죄성립요건ㆍ처벌조건ㆍ소추조건 … 48
Ⅰ. 범죄의 성립요건 … 48
Ⅱ. 범죄의 처벌조건 … 49
Ⅲ. 범죄의 소추조건 … 50
Ⅳ. 범죄성립요건ㆍ처벌조건ㆍ소추조건의 구별 … 50
3. 범죄의 종류 … 50
Ⅰ. 결과범과 거동범 … 50
Ⅱ. 침해범과 위험범 … 51
Ⅲ. 즉시범과 상태범 및 계속범 … 51
Ⅳ. 기타의 경우 … 52
제2절┃행위론 … 53
제3절┃범죄체계론 … 54
제4절┃행위의 주체와 객체 … 55
1. 행위의 주체 … 55
Ⅰ. 문제의 소재 … 55
Ⅱ. 법인의 범죄능력 … 55
Ⅲ. 법인의 처벌 … 56
Ⅳ. 양벌규정의 특수기능 … 58
2. 행위의 객체와 보호의 객체 … 60

CHAPTER 02 구성요건론 … 62
제1절┃구성요건의 일반이론 … 62
1. 구성요건의 의의 … 62
2. 구성요건이론의 발전 … 62
3. 구성요건과 위법성의 관계 … 62
4. 구성요건의 유형 … 63
5. 구성요건의 요소 … 63
Ⅰ. 기술적 요소와 규범적 요소 … 63
Ⅱ. 객관적 구성요건요소와 주관적 구성요건요소 … 64
Ⅲ. 기술된 구성요건요소와 기술되지 않은 구성요건요소 … 64
제2절┃결과반가치와 행위반가치 … 64
1. 결과반가치와 행위반가치 … 64
Ⅰ. 결과반가치 … 64
Ⅱ. 행위반가치 … 64
2. 결과반가치론과 행위반가치론 … 64
Ⅰ. 결과반가치론 … 64
Ⅱ. 행위반가치론 … 65
3. 결과반가치와 행위반가치의 내용 … 66
Ⅰ. 결과반가치의 내용 … 66
Ⅱ. 행위반가치의 내용 … 66
제3절┃부작위범 … 67
1. 부작위 … 67
Ⅰ. 의의 및 행위성 … 67
Ⅱ. 작위와 부작위의 구별 … 67
2. 부작위범 … 68
Ⅰ. 부작위범의 의의와 종류 … 68
Ⅱ. 부작위범의 성립요건 … 69
3. 관련문제 … 75
Ⅰ. 부진정부작위범의 처벌 … 75
Ⅱ. 부작위범의 미수 … 75
Ⅲ. 부작위범과 공범 … 76
Ⅳ. 작위의무의 착오 … 80
Ⅴ. 과실의 부작위범 … 80
제4절┃인과관계와 객관적 귀속 … 80
1. 서설 … 80
Ⅰ. 인과관계의 의의 … 80
Ⅱ. 인과관계의 유형 … 81
2. 인과관계 판단에 대한 학설 … 82
Ⅰ. 조건설(= 등가설) … 82
Ⅱ. 원인설(= 개별화설) … 82
Ⅲ. 상당인과관계설 … 83
Ⅳ. 합법칙적 조건설 … 86
3. 객관적 귀속이론 … 87
Ⅰ. 서설 … 87
Ⅱ. 객관적 귀속의 판단기준 … 87
제5절┃구성요건적 고의 … 94
1. 고의의 의의와 본질 … 95
2. 고의의 체계적 지위 - 범죄체계론과 관련됨 … 95
3. 고의의 내용 … 95
Ⅰ. 지적요소 … 95
Ⅱ. 의지적 요소 … 97
4. 고의의 종류 … 97
Ⅰ. 확정적 고의 … 97
Ⅱ. 불확정적 고의 … 97
Ⅲ. 사전고의ㆍ사후고의ㆍ승계고의 … 100
제6절┃구성요건적 착오 … 101
1. 서설 … 101
Ⅰ. 구성요건적 착오의 의의 … 101
Ⅱ. 구성요건적 착오의 효과 … 101
Ⅲ. 구성요건적 착오의 형태 … 102
2. 구성요건적 착오의 유형 … 102
Ⅰ. 구체적 사실의 착오 … 102
Ⅱ. 추상적 사실의 착오 … 103
3. 구성요건적 착오에 관한 학설과 판례 … 103
Ⅰ. 문제점 … 103
Ⅱ. 견해의 대립 … 103
4. 가감적 구성요건요소에 대한 착오 … 108
Ⅰ. 가중적 구성요건요소에 대한 착오 … 108
Ⅱ. 감경적 구성요건요소에 대한 착오 … 108
5. 인과관계의 착오와 개괄적 고의 … 109
Ⅰ. 인과관계의 착오 … 109
Ⅱ. 개괄적 고의 … 110
제7절┃과실범 … 113
1. 서설 … 114
Ⅰ. 과실의 의의와 종류 … 114
Ⅱ. 과실의 체계적 지위 … 116
2. 과실범의 성립요건 … 116
Ⅰ. 과실범의 구성요건해당성 … 116
Ⅱ. 객관적 주의의무의 제한 … 122
Ⅲ. 과실범의 위법성 … 129
Ⅳ. 과실범의 책임 … 130
3. 관련문제 … 130
Ⅰ. 과실범의 미수 … 130
Ⅱ. 과실범의 공범 … 130
Ⅲ. 과실의 부작위범(= 부작위에 의한 과실범) … 130
제8절┃결과적 가중범 … 131
1. 서설 … 131
Ⅰ. 결과적 가중범의 내용 … 131
Ⅱ. 결과적 가중범의 종류 … 131
2. 결과적 가중범의 성립요건 … 133
Ⅰ. 구성요건해당성 … 133
Ⅱ. 위법성과 책임 … 137
3. 관련문제 … 137
Ⅰ. 결과적 가중범의 공범 … 137
Ⅱ. 결과적 가중범의 미수 … 139

CHAPTER 03 위법성론 … 144
제1절┃위법성의 일반이론 … 144
1. 위법성의 의의 … 144
Ⅰ. 위법성과 불법 … 144
Ⅱ. 구성요건 해당성 및 책임과의 관계 … 144
2. 위법성의 본질 … 145
Ⅰ. 형식적 위법성론 … 145
Ⅱ. 실질적 위법성론(通) … 145
3. 위법성의 평가방법 … 145
4. 위법성 조각사유(정당화사유) … 146
Ⅰ. 서설 … 146
Ⅱ. 위법성조각사유의 법적효과 … 147
Ⅲ. 주관적 정당화 요소 … 147
Ⅳ. 기타 문제 … 150
제2절┃정당방위 … 150
1. 서설 … 150
Ⅰ. 의의 … 150
Ⅱ. 위법성 조각의 근거 … 151
2. 정당방위의 성립요건 … 151
Ⅰ. 정당방위의 상황(= 객관적 정당화 상황) … 151
Ⅱ. 방위행위 … 155
Ⅲ. 상당한 이유 … 155
3. 정당방위의 효과 … 157
4. 과잉방위와 오상방위 … 160
Ⅰ. 과잉방위 … 160
Ⅱ. 오상방위 … 164
Ⅲ. 오상과잉방위 … 164
제3절┃긴급피난 … 166
1. 서설 … 166
Ⅰ. 긴급피난의 의의 … 166
Ⅱ. 긴급피난의 본질 … 166
2. 긴급피난의 성립요건 … 167
Ⅰ. 긴급피난상황(= 객관적 정당화 상황) … 167
Ⅱ. 피난행위 … 168
Ⅲ. 상당한 이유(정 대 정의 관계이므로 엄격한 요건이 요구됨) … 168
3. 긴급피난의 효과 … 169
Ⅰ. 위법성 조각 … 169
Ⅱ. 긴급피난의 특칙 … 170
4. 과잉피난, 오상피난 … 170
5. 의무의 충돌 … 170
Ⅰ. 의무의 충돌 의의와 종류 … 170
Ⅱ. 의무의 충돌의 법적성질 … 171
Ⅲ. 의무의 충돌의 성립요건 … 172
Ⅳ. 의무의 충돌의 효과 … 172
Ⅴ. 관련문제 … 173
제4절┃자구행위 … 173
1. 서설 … 173
2. 자구행위의 성립 요건 … 174
Ⅰ. 자구행위상황(객관적 정당화상황) … 174
Ⅱ. 자구행위 … 175
Ⅲ. 상당한 이유 … 176
3. 자구행위의 효과 … 176
4. 과잉자구행위와 오상자구행위 … 177
Ⅰ. 과잉자구행위 … 177
Ⅱ. 오상자구행위 - 위법성조각사유
전제사실에 대한 착오의 문제 … 177
제5절┃피해자의 승낙 … 178
1. 양해 … 178
Ⅰ. 서설 … 178
Ⅱ. 양해의 법적 성격 … 178
Ⅲ. 양해의 유효요건 … 178
Ⅳ. 양해의 효과 … 179
2. 피해자의 승낙 … 180
Ⅰ. 서설 … 180
Ⅱ. 피해자의 승낙의 성립요건 … 180
Ⅲ. 피해자의 승낙의 효과 … 183
3. 추정적 승낙 … 184
Ⅰ. 서설 … 184
Ⅱ. 유형 … 185
Ⅲ. 성립요건 … 185
Ⅳ. 추정적 승낙의 효과 - 위법성 조각 … 187
제6절┃정당행위 … 188
1. 서설 … 188
Ⅰ. 의의 … 188
Ⅱ. 법적 성질 … 188
2. 법령에 의한 행위 … 188
Ⅰ. 의의 … 188
Ⅱ. 종류 … 189
3. 업무로 인한 행위 … 196
Ⅰ. 의의 … 196
Ⅱ. 종류 … 196
4.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 … 199
Ⅰ. 의의 … 199
Ⅱ. 사회상규와 사회적 상당성 … 199
Ⅲ. 종류 … 200

CHAPTER 04 책임론 … 206
제1절┃책임의 일반이론 … 206
1. 서설 … 206
Ⅰ. 책임의 의의 … 206
Ⅱ. 책임주의 … 206
2. 책임의 근거(= 왜 형사책임을 지는지에 관한 논의) … 207
3. 책임의 본질(= 책임의 내용은 무엇인지에 관한 논의) … 208
4. 책임의 판단 … 209
Ⅰ. 책임판단의 대상 … 209
Ⅱ. 책임판단의 기준 … 209
제2절┃책임능력 … 210
1. 서설 … 210
Ⅰ. 의의와 본질 … 210
Ⅱ. 책임능력의 규정방법 … 210
2. 책임무능력자 … 211
Ⅰ. 형사미성년자 … 211
Ⅱ. 심신상실자 … 212
3. 한정책임능력자 … 215
Ⅰ. 심신미약자 … 215
Ⅱ. 청각 및 언어 장애인 … 216
4.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 … 216
Ⅰ. 서설 … 216
Ⅱ. 가벌성의 이론구성 및 실행의 착수시기 … 217
Ⅲ. 유형 … 217
Ⅳ. 형법 제10조 제3항의 해석 … 220
제3절┃위법성의 인식과 금지착오 … 223
1. 위법성의 인식 … 223
Ⅰ. 의의 … 223
Ⅱ. 위법성인식의 내용 … 223
Ⅲ. 위법성인식의 체계적 지위 - 위법성의 인식이 책임요소라는 점은 일치 … 224
2. 법률의 착오(= 금지착오) … 225
Ⅰ. 의의 … 225
Ⅱ. 법률의 착오의 유형 … 225
Ⅲ. 법률의 착오의 효과 … 227
Ⅳ. 회피가능성 … 228
3.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대한 착오 … 235
Ⅰ. 의의 … 235
Ⅱ. 법적 효과에 관한 견해대립 … 235
제4절┃기대가능성 … 239
1. 기대가능성이론 … 239
Ⅰ. 서설 … 239
Ⅱ. 기대가능성의 판단기준 … 240
2. 강요된 행위 … 242
Ⅰ. 서설 … 243
Ⅱ. 강요된 행위의 성립요건 … 243
Ⅲ. 강요된 행위의 효과 … 245

CHAPTER 05 미수론 … 248
제1절┃미수범의 일반이론 … 248
1. 범죄실현의 단계 … 248
2. 미수범의 처벌근거 … 248
Ⅰ. 객관설과 주관설 … 248
Ⅱ. 절충설 … 249
Ⅲ. 미수범의 유형 … 249
제2절┃장애미수 … 250
1. 의의 … 250
Ⅰ. 개념 … 250
Ⅱ. 구별개념 … 250
2. 장애미수의 성립요건 … 250
Ⅰ. 주관적 구성요건요소 … 250
Ⅱ. 실행의 착수 … 251
Ⅲ. 범죄의 미완성 … 255
3. 장애미수의 처벌 … 255
4. 관련문제 … 255
Ⅰ. 거동범과 미수 … 255
Ⅱ. 부작위범과 미수 … 255
제3절┃중지미수 … 256
1. 서설 … 256
Ⅰ. 의의 … 256
Ⅱ. 법적 성격(형의 필요적 감면의 근거) … 256
2. 성립요건 … 257
Ⅰ. 주관적 요건 … 257
Ⅱ. 객관적 요건 … 260
3. 중지미수의 처벌 … 264
Ⅰ. 필요적 감면 … 264
Ⅱ. 가중적 미수의 문제 … 265
4. 관련문제 … 265
Ⅰ. 예비의 중지 … 265
Ⅱ. 공범과 중지미수 … 266
제4절┃불능미수 … 269
1. 서설 … 269
Ⅰ. 의의 … 269
Ⅱ. 성격 … 270
2. 성립요건 … 270
Ⅰ. 주관적 요건 - 장애미수와 동일 … 270
Ⅱ. 객관적 요건 … 270
3. 불능미수의 처벌 및 관련문제 … 277
Ⅰ. 불능미수의 처벌 … 277
Ⅱ. 관련문제 … 277
제5절┃예비죄 … 277
1. 서설 … 278
Ⅰ. 의의 … 278
Ⅱ. 형법의 태도 … 278
2. 예비죄의 법적 성격 … 279
Ⅰ. 기본범죄에 대한 관계 … 279
Ⅱ. 예비죄의 실행행위성 … 279
3. 예비죄의 성립요건 … 279
Ⅰ. 주관적 요건 … 279
Ⅱ. 객관적 요건 … 280
4. 관련문제 … 281
Ⅰ. 예비죄의 공범 … 281
Ⅱ. 예비죄의 미수와 중지 … 284
Ⅲ. 예비죄의 죄수 … 284

CHAPTER 06 정범 및 공범론 … 286
제1절┃정범 및 공범의 일반이론 … 286
1. 서설 … 286
Ⅰ. 범죄참가형태 … 286
Ⅱ. 범죄참가형태의 규율방식 … 287
Ⅲ. 임의적 공범과 필요적 공범 … 287
2. 정범과 공범의 구별 … 292
Ⅰ. 서설 … 292
Ⅱ. 정범의 개념(제한적 정범개념과 확장적 정범개념) … 292
Ⅲ. 정범과 공범의 구별기준 … 293
3. 공범의 종속성과 처벌의 근거 … 294
Ⅰ. 공범종속성설과 공범독립성설 … 295
Ⅱ. 공범의 종속성의 정도 → 성립에 종속 ○, 처벌에 종속 X … 295
Ⅲ. 공범의 처벌근거 … 296
제2절┃간접정범 … 297
1. 서설 … 297
Ⅰ. 의의 … 297
Ⅱ. 간접정범의 본질 … 297
2. 간접정범의 성립요건 … 298
Ⅰ. 피이용자의 범위 … 298
Ⅱ. 이용행위 … 302
3. 간접정범의 처벌 … 302
Ⅰ. 간접정범의 기수의 처벌 … 302
Ⅱ. 간접정범의 미수의 처벌 … 302
4. 관련문제 … 303
Ⅰ. 간접정범과 착오 … 303
Ⅱ. 간접정범의 한계 … 303
5. 특수교사와 방조 … 304
Ⅰ. 의의 … 304
Ⅱ. 법적 성질 … 304
제3절┃공동정범 … 305
1. 서설 … 305
2. 공동정범의 성립요건 … 306
Ⅰ. 주관적 요건 … 306
Ⅱ. 객관적 요건 … 315
3. 공동정범의 처벌 … 323
Ⅰ. 일부실행ㆍ전부책임 … 323
Ⅱ. 공동정범의 인과관계 … 323
4. 관련문제 … 324
Ⅰ. 공동정범과 신분 … 324
Ⅱ. 공동정범과 착오 … 324
Ⅲ. 동시범 … 326
Ⅳ. 합동범 … 333
제4절┃교사범 … 336
1. 의의 … 337
2. 교사범의 성립요건 … 337
Ⅰ. 교사자에 관한 요건 … 337
Ⅱ. 피교사자에 관한 요건 … 339
3. 교사의 착오 … 341
Ⅰ. 실행행위의 착오 … 341
Ⅱ. 피교사자에 대한 착오 … 345
4. 교사범의 처벌 … 345
5. 관련문제 … 345
Ⅰ. 교사의 교사 … 345
Ⅱ. 교사의 미수 … 346
Ⅲ. 예비의 교사 … 346
제5절┃종범 … 347
1. 서설 … 347
Ⅰ. 의의 … 347
Ⅱ. 본질 … 347
Ⅲ. 형법각칙상의 방조 … 347
2. 종범의 성립요건 … 348
Ⅰ. 방조자에 관한 요건 … 348
Ⅱ. 피방조자에 관한 요건 … 354
3. 방조범의 착오 … 354
Ⅰ. 실행행위에 대한 착오 … 354
Ⅱ. 피방조자에 대한 착오 : 교사범의 착오와 동일하게 방조범이 성립 … 355
4. 방조범의 처벌 … 355
5. 관련문제 … 356
Ⅰ. 방조범의 교사, 교사의 방조범, 방조범의 방조 → 모두 방조범 … 356
Ⅱ. 방조의 미수 … 356
제6절┃공범과 신분 … 357
1. 서설 … 357
Ⅰ. 의의 … 357
Ⅱ. 신분의 의의와 종류 … 357
2. 형법 제33조의 해석론 … 359
Ⅰ. 본문과 단서의 관계 … 359
Ⅱ. 형법 제33조 본문의 해석 … 360
Ⅲ. 형법 제33조 단서의 해석 … 362
Ⅳ. 비신분자가 이중적 신분자의 범죄에 가담한 경우 … 365
Ⅴ. 소극적 신분과 공범 … 367

CHAPTER 07 죄수론 … 370
제1절┃죄수의 일반이론 … 370
1. 죄수론의 의의 … 370
2. 죄수결정의 기준 … 370
3. 수죄의 처벌원칙 … 372
제2절┃일죄 … 373
1. 서설 … 373
2. 법조경합 … 373
Ⅰ. 본질 … 373
Ⅱ. 법조경합의 유형 … 374
Ⅲ. 불가벌적 사후행위 … 377
Ⅳ. 법조경합의 처리 … 380
3. 포괄일죄 … 380
Ⅰ. 의의 … 380
Ⅱ. 포괄일죄의 유형 … 380
Ⅲ. 포괄일죄의 처리 … 385
제3절┃수죄 … 389
1. 상상적 경합 … 389
Ⅰ. 의의와 본질 … 389
Ⅱ. 상상적 경합의 요건 … 389
Ⅲ. 상상적 경합의 법적 효과 … 394
2. 실체적 경합범 … 397
Ⅰ. 의의 및 유형 … 397
Ⅱ. 실체적 경합의 요건 … 397
Ⅲ. 실체적 경합의 법적효과 … 399

PART 03 형벌론
제1절┃형벌의 종류 … 406
Ⅰ. 형벌의 의의 … 406
Ⅱ. 형벌의 종류 … 406
Ⅲ. 몰수 … 409
Ⅳ. 형의 경중 … 418
제2절┃형의 양정 … 419
1. 의의 … 419
2. 형의 양정의 단계 … 419
Ⅰ. 법정형 … 419
Ⅱ. 처단형 … 419
Ⅲ. 선고형 … 419
3. 형의 가감례(제56조) … 419
Ⅰ. 형의 가중 … 419
Ⅱ. 형의 감경 … 420
Ⅲ. 형의 면제 … 421
Ⅳ. 자수와 자복 … 422
4. 양형 … 424
Ⅰ. 의의 … 424
Ⅱ. 양형의 기준 … 424
Ⅲ. 양형의 조건 … 424
5. 판결선고 전 구금 및 판결의 공시 … 425
Ⅰ. 판결선고 전 구금 일수 → 형기에 전부 산입되어야 함(헌재) … 425
Ⅱ. 판결의 공시(제58조) … 425
제3절┃누범 … 425
1. 서설 … 425
Ⅰ. 개념 … 425
Ⅱ. 구별개념 … 426
2. 누범가중의 요건 … 426
Ⅰ. 전범에 관한 요건 … 426
Ⅱ. 후범에 관한 요건 … 428
3. 누범의 효과 … 429
4. 판결선고 후의 누범발각 … 430
제4절┃집행유예ㆍ선고유예ㆍ가석방 … 430
1. 집행유예 … 430
Ⅰ. 서설 … 431
Ⅱ. 집행유예의 요건(제62조)[17법행] … 431
Ⅲ. 보호관찰ㆍ사회봉사ㆍ수강명령 … 432
Ⅳ. 집행유예의 효과 … 433
Ⅴ. 집행유예의 실효와 취소 … 434
2. 선고유예 … 436
Ⅰ. 서설 … 436
Ⅱ. 선고유예의 요건 … 436
Ⅲ. 보호관찰(제59조의2 제1항) … 437
Ⅳ. 선고유예의 효과 … 437
Ⅴ. 선고유예의 실효 … 438
3. 가석방 … 438
Ⅰ. 서설 … 438
Ⅱ. 가석방의 요건 … 439
Ⅲ. 가석방기간과 보호관찰 … 439
Ⅳ. 가석방의 효과 … 440
Ⅴ. 가석방의 실효와 취소 … 440
제5절┃형의 시효ㆍ소멸ㆍ기간 … 442
Ⅰ. 형의 시효 … 442
Ⅱ. 형의 소멸 … 443
Ⅲ. 형의 기간 … 444
제6절┃보안처분 … 445

▒ 판례색인

도서소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