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하는 즐거움, 만들어내는 뿌듯함이 있는 메타버스의 세계!
나만의 아바타로 즐기기만 한다고요?
만드는 즐거움은 더 클 거라고 안동욱 메타버스전문가가 자신있게 말씀드려요.
상상력이 풍부한 어린이 여러분!
메타버스의 세계에서는 무엇을 상상하든 현실이 될 수 있어요.
저와 함께 메타버스의 세계로 들어가보는 건 어떤가요?
메타버스란?
메타버스Metaverse는 가상·초월Mata과 세계·우주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세계를 뜻해요. 인간 삶이 현실과 비현실에서 함께 공존할 수 있는 가상세계라는 의미인데, 게임의 형태로 이런 메타버스가 최근 활용되면서 큰 인기를 끌고 있지요.
메타버스라는 말은 1992년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이라는 작가가 쓴 『스노우 크래쉬Snow Crash』라는 소설에서 처음 쓰였어요. 현실 세계에서 피자 배달원으로 일하는 주인공이 메타버스 안에서 악당들을 무찌르며 최고의 전사로 활약하는 SF 영화 같은 이야기죠.
메타버스라는 세계관은 영화나 소설에서 오래전부터 다뤄지고 있었어요. 단지 메타버스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작품이 『스노우 크래쉬』라는 소설인 거죠.
게임인 듯, 아닌 듯한 메타버스의 세계
어디까지가 메타버스라고 정해진 건 아직 없어요. 넓게 보면 온라인 게임, 포켓몬 고(Pokémon Go), 페이스북까지 메타버스라고 보기도 하거든요. 다만 예전의 온라인 게임이 온라인 안에서 게임으로 끝났다면 메타버스는 오프라인의 삶과 연결되어 있다는 차이점이 있죠. 메타버스에서는 경제활동이나 커뮤니티, 교육 활동, 의료 서비스 등이 이루어지는데 이게 현실의 삶에 영향을 미쳐요. 이 안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현실에서 교육받는 것처럼 효과가 있고, 커뮤니티와 경제활동은 생활에 반영도 되고, 건강이나 산업에도 영향을 주죠. 이런 식으로 삶과 온라인 세상이 연결되었다는 게 온라인 게임과 큰 차이점이에요.
아바타가 하는 심리상담
사람들이 정신건강의학과나 심리치료상담소에 가서 심리상담을 할 때 긴장을 많이 한다고 해요. 내가 누구인지 얼굴을 보이면서 마음의 상처를 표현하는 게 부담스럽고요. 그런데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로 만나서 상담할 때는 더 솔직하고 편안하게 이야기를 한대요. 또 자칫 무거운 분위기로 흐를 수 있는 상담이 게임처럼 느껴지니까 재미있어하기도 하고요. 메타버스 공간에서도 아바타를 활용한 감정표현도 가능해서 실제로 상담의 효과가 높다고 해요.
오큘러스로 체험하는 생생한 현실
메타버스는 PC나 모바일의 평면에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지만 좀 더 진짜 같은 경험을 하는 방법도 있어요. 홀로렌즈(Hololens)나 오큘러스(Oculus)같은 기기의 도움을 받아 메타버스이 세상으로 들어가는 거예요. 고글 형태로 된 이 기기를 쓰면 아바타끼리 마주 보면서 대화도 하고 회의도 할 수 있죠. 또 대화의 장소를 해운대로 정하면 실제로 해운대를 걸으면서 대화하는 기분도 나고요.
일상을 관찰하고 정의하는 연습을
우리가 생활 속에서 하는 일들은 보통 내가 무엇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 습관적으로 해요. 아침에 일어나서 밥 먹고, 이 닦고, 씻고, 옷 입고, 학교 가고 하는 일들이죠. 그런데 저는 이 모든 일을 할 때 내가 지금 하는 일은 ‘먹기’, ‘씻기’, ‘옷 입기’라고 정의를 내려요. 일할 때도 지금 ‘글쓰기’를 하고 있다, ‘그리기’를 하고 있다고 저의 행동을 관찰하는 습관이 있어요. 이런 습관을 가지게 된 이유는 생활 속에서 하는 행동을 메타버스로 옮기는 일을 하기 때문이에요. 현실에서는 생각하지 않고 하는 행동이지만 메타버스에서는 행동 하나하나가 구분되어야 하거든요. 이게 현실과 메타버스의 차이점이죠. 이렇게 행동 하나하나를 관찰하고 정의하면 큰 도움이 돼요.
어떤 전공도 상관없어요
요즘 특성화 고등학교의 경우 게임 전문 고등학교가 있고 마이스터고등학교도 있어요. 일찍 진로를 결정했다면 이런 고등학교를 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에요.
대학은 어떤 분야를 선택하는가에 따라 달라요. 개발자가 되겠다면 컴퓨터 관련이나 소프트웨어 전공이 좋겠죠. 기획자가 되겠다면 심리학이나 철학, 역사, 사회학과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요. 이 밖에는 어떤 전공을 해야 된다는 건 없는 것 같아요.
- 『메타버스전문가는 어때?』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