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러시아 드라마를 개척한 여성 극작가 중 대중적으로 가장 성공한 ‘테피’의 대표작. 나데즈다 테피는 은세기 러시아 극장에서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왕성하게 활동하며 러시아 연극 개혁에 동참했던 작가다. 이름을 딴 향수와 초콜릿이 판매될 정도로 대중에게 사랑받았으며, 러시아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2세와 레닌, 임시정부 총리를 지낸 케렌스키가 그녀의 열성 팬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문학적 성과와 대중적 인기에도 불구하고 소련을 탈출해 파리로 망명한 이력 때문에 이후 러시아에서 빠르게 잊혔다. 1990년대 후반에야 러시아 내에서 테피와 같은 여성/망명 작가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어 현재까지 활발히 조명되고 있다.
테피의 작품은 ‘망명’, ‘이주민’, ‘난민’, ‘디아스포라’, ‘여성’이라는 다양한 키워드로 현재적 관점에서도 풍부한 의미로 읽힐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은세기 다른 여성 작가들보다 특별한 평가를 받는다. <운명의 순간>은 테피의 첫 장막극이다. 영웅도 비열한도 아닌 사람들, 일상의 보통 사람들을 주인공으로 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후 고국을 떠나 프랑스 파리로 도망해 살아가는 러시아 망명자들의 삶을 묘사했다. 재치와 유머로 그려낸 망명지 러시아인들의 삶은 곧 테피 자신의 삶이기도 했다. 그렇기에 주인공들을 향한 테피의 시선은 이해와 연민, 공감으로 가득하다. 1937년 파리 ‘러시아 극장’에서, 이후 1944년 파리의 ‘러시아 드라마 극장에서 상연되었다. 소비에트 러시아의 극장에서도 상연 요청이 있었지만 성사되지 못했다.
한편 이 작품은 단행본으로는 한 번도 출간된 적이 없다. 국립러사아문학예술 고문서자료관과 미국 콜롬비아대학교 러시아동유럽예술문화 고문서자료관에 보관되어 있는 원고를 연구자 토마스 케이저와 잘츠만이 발굴, 정리해 2020년 학술잡지 ≪러시아 문학≫에 발표했다. 이 책은 이를 원전으로 삼아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단행본으로는 세계 최초 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