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성공한 걸까, 희생한 걸까’
최선을 다해 살았지만 공허한 50대
이제는 ‘인생의 방향키’를 돌려야 한다.
오십을 코앞에 둔 어떤 사람이 유명 심리상담 프로그램에 출연해 번아웃 증상으로 인한 괴로움을 토로했다. 수년 동안 지속된 무력감의 원인은 과거에 있었다. 불우했던 환경과 부모로부터 받은 학대로 인한 상처를 마음속 깊은 곳에 묻어두고 살아온 것이다. 사회적으로 성공했지만 과거의 트라우마에서 벗어나지 못한 그의 심리는 아직 어린 시절, 그 어디쯤 머물러 있었다.
이렇게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년을 위한 특별한 책 《50대 남자를 위한 심리학》이 출간되었다. 저자는 사회심리학자이자 심리 상담가로, 반세기 넘게 ’인생의 과제‘를 탐구해 오고 있는 노학자다. 그가 이번에는 상처 입은 50대 남자들의 마음을 어루만져 준다. 우리 사회에서 50대 남자들이 느끼는 심리적 위기감은 가볍지 않다. 살기에 급급해, 성공하기 위해 평생 일만 하면서 자신이 뭘 좋아하는지 한 번도 제대로 생각해 보지 않다가, 정년이 보이는 시점에서 ’이제부터라도 재미있는 일을 하면서 살겠다‘라고 의욕을 보이지만, 취미생활조차 선뜻 시작하기 어렵다. 왜 이렇게 된 것일까?
이제는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살고 싶은데
내가 무엇을 하고 싶은지 모르겠다.
‘오십이 되면 이렇게 해야지!’ 많은 사람이 이런 생각을 한다. 하지만 막상 그렇게 되지는 않는다. 인간에게는 육체적 나이와 사회적 나이, 심리적 나이가 있다. 오십이 되었어도 심리적으로는 다섯 살인 사람도 있고, 성숙한 사람은 일흔의 정서를 보이기도 한다. 다시 말해 ‘어른 아이’가 있는가 하면, ‘아름다운 노년’으로 준비가 된 사람도 있다. 어느 시점이 되어 인생이 막막해지는지 그렇지 않은지, 이를 가르는 중요한 것이 바로 ‘심리적 나이’다.
심리적인 문제들은 나이가 들수록 해결하기 힘든 일이 많아진다. 신경증이 심각해지기도 한다. 직업을 바꾸거나 이혼을 하는 경우, 20대와 50대가 받아들이는 의미가 다르듯이 퇴직 후 겪는 우울증은 젊은 시절의 우울증과는 다르다. 이처럼 인생이 막막해지는 절망감은 나이가 들수록 해결하기 어려워진다. 중년의 인생에서는 현실에서 도망치지 않으면서도, 인생의 ‘적절한’ 목적을 가지고 잘 살아가는 지혜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오랫동안 반동형성과 방어적 가치관으로 살아와 자기 자신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진심으로 무엇을 하고 싶은 ‘의욕’이 생기지 않는다.
‘당신을 위해’라는 말은 거짓말이다.
지금부터는 ‘나를 위해 사는 사람’이 인생의 승자다.
사람은 자기 자신을 위해 일한다. 그런데도 상대를 위해 일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상대에게 무언가를 요구하게 되고 불만이 생긴다. 대부분 자신이 미움받고 싶지 않아서 그런 것이다. 청년기에 열심히 노력했지만 장년기에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해지는 사람은, 아마도 자신의 내적 소망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것이 아니라 부모나 주위 사람의 기대를 실현하기 위해서 살았기 때문일 것이다. 미국의 심리학자 댄 카일리는 ‘내가 어떤 사람인지’ 관심이 줄어들면 자기 의지로 인생을 선택할 기회가 없어진다고 말한다.
물론 열심히 최선을 다해 살았지만, 사회에서 받은 훌륭한 명함만으로 정체성이 생기진 않는다. 인생의 토대를 제대로 다지지 않고 마음의 지팡이 없이 둥둥 떠 있는 삶은 이리저리 휘둘리기 쉽다. 가장 중요한 것은 ‘심리적 자립’이다. 다른 사람과 이어 지면서 자립하는 것이다. 지금부터는 작은 것이라도 스스로 선택해 보자. 어릴 때부터 되짚어 보며, 그때그때 풀지 못한 채 남아있는 인생의 과제를 하나씩 해결하고 한 걸음씩 심리적 성장을 해나가자. 과거의 분석을 시작함으로써 마음이 편안해지는 인생으로 방향키를 돌릴 수 있다.
내 마음속에는 여러 가지 심리적 문제가 있다.
이 운명을 견디고 살아온 내가 대단하다.
산다는 것은 성장과 자유, 또는 퇴행과 속박 사이의 갈등이다. 성장과 자유에도 고통이 따르고, 퇴행과 속박에도 고통이 따른다. 중년기의 과제는 힘들고 책임감의 무게에 괴로워하면서도 ‘진심’을 잃지 않고 자기 운명을 사랑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 나이에 맞는 ‘심리적 나이’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50이 되어 어떻게 살아야 할지 모르겠다면, 지금까지 자신의 인생에 남아있는 마음속 상처부터 해결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심리적 문제는 돈으로 해결할 수 없다. 자신의 무의식에 직면하는 ‘용기’로만 해결할 수 있다.
당신은 어쩌면 겉으로는 행복하게 보여도 평생 속박당하고 모욕당하고 걷어차이며 괴로웠을지 모른다. 그럼에도 그런 인생을 50까지 싸우며 살아온 자신을 칭찬하고 믿어 보자. 그렇지 않고서는 그다음 인생으로 나아 갈 수 없다. 나 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정하고 현실에서 도망치지 않는 사람이 아름다운 50대를 보낼 수 있다. ‘나는 심리적으로 몇 살인가?’ 행복한 인생의 출발선에 당신이 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