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환경은 모든 생물의 생존을 가능하게 하고, 인류에게 모든 편의와 풍요를 제공해 주는 원천적 기반으로서 영원히 보존되어야 한다. 그러나 산업의 급격한 발전과 인구의 도시집중 및 에너지의 대량 사용으로 자연은 파괴되고 이상기온의 여파로 지구는 이제 그 존재마저 위협받고 있다.
수자원 공학은 이러한 당면한 문제들을 원활하게 해결하기 위한 과목의 하나이며, 수공학 관련분야의 여러 과목들 중에서 가장 기초적인 것이다. 지구상의 물의 발생, 순환, 분포 및 물리적·화학적 특성, 나아가서는 물리적·생물학적 환경과 물의 상호관계를 취급하는 과학으로서 여기에는 인간활동의 응답이 포함된다고 하겠다. 따라서 수자원 공학에 대한 지식은 유체역학의 기본이론을 모체로 하여 수리실험의 결과와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수공구조물을 원활하게 설계하고 시공하여 어떤 문제점을 예측하거나 해결하는 능력을 갖는 데 필수적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서는 수자원 분야의 기본이론을 정확히 이해하여 응용능력이 배양될 수 있도록 수리학, 수문학, 하천공학, 댐공학 및 수자원정책 등으로 분야를 구분하였으며, 이상강우로 인한 홍수피해, 용수부족, 환경악화 등 수자원과 관련된 실제적 현안들을 다루는데 역점을 두었다.
현재 세계 각국은 석유파동 이후 지구상의 부존자원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있으며, 유한자원으로서 물은 이웃 국가 간에 분쟁의 소지가 될 수 있을 만큼 중요한 사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물의 수요가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이고, 개발이라는 미명 아래 진행되는 도시화로 홍수유출 이상기후와 맞물려 상상을 초월하는 수해와 물부족 현상에 직면할 수도 있으므로 이 한정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이용하여야 하는 시급한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자원개발기술사”의 자격취득은 급속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 매우 가치있는 일로서 이 분야에 뜻을 둔 사람들에게는 필수적인 조건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