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풍경 속에서 헤매며 길을 찾는 일은 우리 자신과 세계를 발전시켰다
길 찾기 속 놀라운 과학을 재미있게 탐험하는 교양 과학서!
인간은 매우 특별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 바로 길을 찾는 능력이다. 처음 가본 낯선 곳에서도 우리는 주변 환경이나 풍경을 바라보며 길을 찾아 나섰다. 별거 아닌 행위처럼 느껴질 수 있겠지만 길을 찾는 이 행위는 우리의 뇌와 인생 그리고 세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킨 중요한 행동이었다. 이 책에서 저널리스트 M. R. 오코너는 우리의 일상적 행위인 길 찾기 속에 숨겨진 놀라운 과학을 밝혀낸다. 길 찾기가 우리 자신을 성장시키고, 우리의 세계를 발전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말한다. 길 찾기에 어떤 비밀이 있기에 우리를 성장시키고 세계를 발전시킬 수 있었을까? M. R. 오코너는 뇌과학, 인지과학, 신경과학, 인공지능, 인류학, 고고학, 생태학, 운동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연구에서 찾아낸 길 찾기의 과학을 소개한다.
우리의 뇌, 인생, 세계가 오늘날처럼 엄청난 발전을 이루게 된 이유는
바로 우리가 길 찾기를 통해 성장하고 발전했기 때문이다!
길 찾기를 한다는 것은 우리의 뇌를 성장시키는 일과 같다. M. R. 오코너는 우리의 기억력, 감정, 공간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해마와 길 찾기 능력의 상관관계를 제시한다. 길 찾기를 하면 할수록 우리의 해마가 가소성에 의해 발달한다. 해마가 발달할수록 우리의 기억력이 좋아지고, 정신적, 정서적으로 건강해지며, 길을 찾는 일에도 더욱 능숙해진다는 뇌과학, 인지과학, 신경과학적 연구 결과를 소개하며 우리가 길 찾기를 했기에 더 똑똑해질 수 있었음을 말한다. 길 찾기 덕분에 우리는 기억력과 뇌 건강이 좋아지고 공부를 더 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길 찾기는 우리의 인지 능력을 길러주며, 시야를 넓혀주는 일에도 큰 역할을 하였다. 우리는 낯선 곳에서 길을 찾기 위해 헤매고 돌아다니며 모험심과 용기, 그리고 독립성을 기를 수 있었다. 그 결과, 더 멀리 나아가는 일을 두려워하지 않게 되었고, 멀리, 더 빠르게 새로운 세상을 탐험하기 위해 각종 도구를 개발할 수 있었다. 그렇게 우리는 넓게 바라보게 되면서 새로운 길을 찾아 우주까지 뻗어나가게 되었다. 낯선 곳에서 길을 찾는 우리의 능력은 세상을 크게 바라보고 대단한 발전을 이룰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이처럼 우리의 뇌, 인생, 세계를 더 좋게 발전시킨 길 찾기,
이제라도 다시 시작해야 한다! 우리는 길 찾기를 다시 시작하기에 너무 늦지 않았다!
길 찾기는 우리를 성장하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요소였지만, 오늘날 우리는 더 이상 길 찾기를 하지 않는다. 길을 헤매고 다니는 일도 극히 드물어졌다. 스마트폰을 열고 지도 앱을 키면 알아서 길을 찾아주는 시대가 도래했기 때문이다. 길 찾기 덕분에 만들어낸 문명의 이기 탓에 우리가 지닌 특별한 능력을 기르는 일을 덜 하게 된 것이다. 니콜라스 카의 저서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을 본따 빗대자면 ‘길 찾기를 하지 않는 사람들’이 된 셈이다. 가끔씩이라도 스마트폰을 집어넣고 고개를 들어 주변 풍경을 바라보며 길 찾기 능력을 다시 발휘하자. 이 책은 우리 내면 깊은 곳에 감춰진 특별한 능력을 알려주어 더 좋은 인생과 세상을 누릴 수 있는 아주 사소하지만 일상적인 방법, 길 찾기의 효능과 매력을 맘껏 누리라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