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우리교육100문100답

우리교육100문100답

  • 이범
  • |
  • 다산북스
  • |
  • 2012-08-15 출간
  • |
  • 412페이지
  • |
  • ISBN 9788963707761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머리말 004

1장/효율
한국식 공부법, 효율을 높여라
Q.001 한국식 공부법이 왜 비효율적이라는 건가요?
Q.002 수능과 학력고사의 차이가 뭔가요?
Q.003 ‘역량’을 평가한다는 말은 어떤 의미인가요?
Q.004 언어적 역량이 모자라면 수능에서
어떤 문제가 생기나요?
Q.005 영어 시험에도 ‘언어적 역량’이 필요한가요?
Q.006 언어적 역량을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07 독서는 어떻게 지도하는 게 좋을까요?
Q.008 수학적 역량을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09 앞으로 대학입시가 바뀔 수도 있지 않나요?
Q.010 요새 학생들의 공부기술이 어떤 면에서 취약한 거죠?
Q.011 왜 자기주도학습이 학원의존학습보다 효율이 높나요?
Q.012 성취도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13 초등학생은 자기주도학습이 왜 어려운 거죠?
Q.014 시간 관리는 어떻게 하는 게 좋아요?
Q.015 초등학교 시절 선행학습이 어떤 면에서 해롭다는 거죠?
Q.016 왜 종합반 학원을 피하라는 거죠?
Q.017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왜 평생의 자산이라는 거죠?
Q.018 공부에 의욕이 없는 것은 왜 그런 걸까요?
Q.019 학업 흥미도를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20 공부 안 하면 큰일 난다는 협박이 왜 잘 안 통할까요?

2장/정보
왜곡된 교육정보,
당신은 제대로 알고 있는가?
Q.021 대치동 사교육은 정말 남다른가요?
Q.022 우리도 강남으로 이사해야 하는 건 아닐까요?
Q.023 요새 학교 시험은 왜 이렇게 어려운가요?
Q.024 대입제도가 왜 이렇게 복잡한 건가요?
Q.025 수능의 비중이 낮아졌다던데 정말 그런가요?
Q.026 선행학습이 왜 이렇게 성행하는 거지요?
Q.027 영어 조기교육은 가능한가요?
Q.028 수학 심화학습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29 수학 선행학습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30 문제를 무조건 많이 풀어봐야 하지 않나요?
Q.031 인터넷 강의는 어떻게 이용해야 하나요?
Q.032 컴퓨터와 휴대폰, 어떻게 통제해야 하나요?
Q.033 특목고에 가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34 논술은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요?
Q.035 입학사정관제 준비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36 입학사정관제를 위해 학교는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나요?
Q.037 고교 비평준화 지역이 평준화로 바뀌면
학력이 떨어지지 않나요?
Q.038 오바마는 왜 한국 교육을 부러워하는 거죠?
Q.039 혁신학교가 인기를 끄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Q.040 혁신학교는 연구학교·시범학교하고 뭐가 다른가요?

3장/미래
좌·우 합의로 우리교육의 지표를 바꾸자
Q.041 출산율이 낮아진 것이 교육과 어떤 상관이 있죠?
Q.042 정답을 빨리 찾는 능력을 키우는 게
교육의 목표 아닌가요?
Q.043 왜 창의력을 키우지 않으면 한국경제가 망한다는 거죠?
Q.044 산업계의 창의력을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45 인터넷 강의를 들으면 되지
왜 학교에 다녀야 하는 거죠?
Q.046 아이들을 경쟁시켜야 경쟁력이 높아지는 거 아닌가요?
Q.047 인성교육을 더 강화해야 하지 않나요?
Q.048 의무교육 기간에 국가는 뭘 해줘야 하나요?
Q.049 우파는 어떤 생각을 버려야 하나요?
Q.050 좌파는 어떤 생각을 버려야 하나요?

4장/과제
한국 교육의 핵심 문제와 대안은 이것이다
Q.051 교사에게 채워진 ‘3중 족쇄’란 무엇인가요?
Q.052 일제고사의 대안은 무엇인가요?
Q.053 학교가 입시교육을 하는 건 필요악인가요?
Q.054 대학입시는 왜 논술형으로 바뀌어야 하나요?
Q.055 왜 다들 ‘인문계’ 고교에 가서
‘국영수’를 공부해야 하는 거죠?
Q.056 학생과 교사에게 어떤 선택권을 줘야 하나요?
Q.057 교과교실제와 집중이수제는 선진적인 제도 아닌가요?
Q.058 고교평준화와 특목고 문제,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Q.059 자사고를 포함한 전반적인 고교 체계는
어떻게 바로잡는 게 좋을까요?
Q.060 입학사정관제가 곧 대입전형의 ‘대세’가 되지 않을까요?
Q.061 선진국에서는 다들 입학사정관제로 선발한다던데요?
Q.062 학벌주의가 심해지고 있는 건가요,
약해지고 있는 건가요?
Q.063 학벌주의를 줄이려면 대학을 손봐야 하지 않나요?
Q.064 왜 서양에서는 상대평가를 안 하나요?
Q.065 카이스트와 로스쿨에서는 왜 상대평가를 도입했나요?
Q.066 노무현·김대중 정부의 교육정책은 왜 실패했나요?
Q.067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은 왜 실패했나요?
Q.068 사교육을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69 학교는 왜 이렇게 무능한 거죠?
Q.070 교육을 ‘토목공사’가 아니라
‘생태계 관리’하듯이 하라구요?

덧붙이며/인터뷰
교육평론가 이범의 이야기 Q.071 ∼ Q.100

부록 찾아보기 index

도서소개

교육문제에 대한 모든 의문에 명쾌한 해답을 제시하다! 교육평론가 이범, 당신이 가진 모든 의문에 답하다『우리교육 100문100답』. 이 책은 교육평론가이자 서울시교육청 정책보좌관인 이범이 자녀교육, 입시제도, 교육정책에 대해 평소 독자들이 가진 의문들을 해결해주기 위해 기획한 책이다. 학생과 학부모와 교사들에게 참고가 될 만한 실용적인 혜안으로 채워져 있다. 한국식 교육이 비효율적인 이유와 그 대안, 왜곡된 교육정보, 보편적으로 합의할 수 있는 우리교육의 지표 등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이범 저자의 인터뷰 기록을 수록하였다. 현재의 교육 시스템이 가진 한계와 결함을 일깨우며, 교육에 대한 거시적 안목을 갖추도록 이끌어준다.
“우리아이 교육 문제, 대체 어찌해야 좋을까요?”

교육평론가이자 서울시교육청 정책보좌관, 이 범
자녀교육·입시제도·교육정책에 관한 당신의 모든 의문에 답하다

이 책은 학생과 학부모와 교사들에게 실질적으로 참고가 될 만한 실용적인 얘기들로 채워져 있다. 1장에서는 공부방법에 대한 이야기부터, 한국식 교육의 비효율성 문제 등을 짚어보고 있고, 2장에서는 진짜 중요한 교육정보들 가운데 학생들, 학부모들, 교사들이 놓치고 있는 것들에 대해 정리해준다. 다른 곳에서 들어보기 어려운 이야기들이 많아서 읽다보면 일반적인 교육 실용서와는 또 다른 느낌이 들 것이다. 3장과 4장은 비평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좌우를 막론하고 보편적으로 합의할 수 있는 우리교육의 지표를 정리하고,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을 총정리하며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덧붙이는 장은 이범 저자의 인터뷰 기록이다.
학부모나 학생들은 이 책의 앞부분만 읽고 공부법이나 진학을 위한 길잡이로 활용할 수도 있을 테지만, 저자는 비평적인 정보들을 담고 있는 이 책의 뒷부분까지 꼭 읽어보기를 강조한다. “지금 우리나라 교육은 실용적인 정보만 잘 챙긴다고 해서 갈피를 잡을 수 있는 상태가 아니다. 학부모와 교사들은 현재의 교육시스템에 자녀와 학생들을 적응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 시스템에 어떠한 한계와 결함을 가지고 있는지도 알아야 한다.” 저자의 말처럼, 여기 이 책에 담긴 100가지 질문과 답은 처음부터 끝까지 꼼꼼히 챙겨보라. 저자는 마치 강연장에서 질의에 응답해주듯, 솔직하고 가감 없이 표현하면서 쉽고 명쾌하게 설명해준다. 그동안 가지고 있던 교육문제에 대한 모든 의문에 속 시원한 답을 줄 것이다.

일그러진 대한민국 교육문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100문100답!

‘학원가의 전설’로 통하던 전직 스타강사
‘대한민국 대표’ 교육평론가
서울시교육청의 ‘정책 브레인’ 이범, 우리교육에 대한 모든 의문에 답하다

자녀교육·입시제도·교육정책
무엇을 제대로 알아야 되나?
어떻게 바로잡아야 하나?
어디에서 희망을 찾나?

학생은 병들고, 학부모는 힘들고, 교사는 무능한 나라
우리사회에서 교육 이야기는 항상 뜨거운 주제다. 작게는 가정과 학교에서의 교육 문제, 크게는 입시제도나 교육정책의 문제까지, 교육과 관련된 대한민국의 현실을 얘기하자면 “어째서 학교폭력이 수시로 불거지고 ‘청소년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가 생겼는지”에까지 이른다.
가슴 아프게도 대한민국은 학생도, 학부모도, 교사도 세계에서 가장 괴로울 수밖에 없는 나라다. 3년에 한 번 실시되는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라는 국제비교평가 결과를 보면 한국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상위 수준으로 나오지만, 문제는 그 이면에 있다. 1인당 공부시간을 살펴보면, 한국 학생들은 그 어느 나라보다 오랜 시간을 공부에 매달린다. 학습 효율(투입시간 대비 성과) 지수나 학업 흥미도 지표로 보면 늘 꼴찌 수준인 셈이다. 왜 그럴까? 우리나라의 교육시스템에 구조적인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입시지옥을 이겨내야 하는 자녀를 위해 부모는 아무리 허리가 휘청거려도 사교육에 돈을 쓸 수밖에 없다. 그 덕에 대한민국은 ‘사교육비 지출 세계 1위’라는 부끄러운 타이틀도 얻었다. 내 아이를 뒤처지게 할 순 없다는 마음으로 대한민국의 학부모들은 고된 희생을 자처하고, 대한민국 학생들은 밤늦도록 학원을 돌며 공부에 매달린다. 대한민국 교사들도 입시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가 없다. 학생들의 성적 향상과 대입 진학이 우선시되는 여건 속에서 교사가 창의적인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한다는 건 비난을 자처하는 일이다. 세계에서 가장 재미없는 공부를 가장 오래 하는 학생은 병들고, 그런 자녀를 위해 학부모는 힘들고, 교사는 무능해져야 하는 나라가 바로 대한민국인 것이다.

교육문제, 길을 찾고 싶다면 이 책부터 펴라!
교육평론가 이범은 최근 출간된 『우리교육 100문100답』을 통해 이러한 우리교육의 현실을 제대로 돌아보게 만든다. 자녀교육, 입시제도, 교육정책…… 지금 우리는 무엇을 제대로 알아야 할까? 도대체 어떻게 바로잡아야 하며, 어디에서 희망을 찾아야 할까?
“우리나라 교육은 실용적 정보만 잘 챙긴다고 해서 갈피를 잡을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고 저자는 말한다. 입학사정관제의 예를 보자. 앞으로 입학사정관제가 대세가 될 거라는 얘기에 이미 교육열 높은 곳의 학부모들은 그에 대비한 방법과 전략을 찾느라 야단법석이다. 그런데 최근 ‘입학사정관제 폐지’를 외치는 정치권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렇다면, 입학사정관제가 대세라는 ‘실용적 정보’만 믿고 거기에만 매달리는 학부모와,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비평적 정보’까지 흡수해 판단을 하는 학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