끈질긴 도전과 현실의 한계를 뛰어넘어 꿈을 이룬
과학 선구자들의 궤적을 따라가는 독서 여행!
우리나라 최초의 로켓 나로호 이후로 대한민국 독자 개발 우주발사체인 누리호가 2022년 6월 21일 발사에 성공하여 많은 격려와 관심을 받았다. 누리호는 대한민국 최초의 저궤도 실용 위성 발사용 로켓이며,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우리나라는 세계 열한 번째의 자력 우주로켓 발사국에, 1톤 이상의 실용 위성을 궤도에 안착시킬 수 있는 국가(우리나라를 포함한 7개국) 반열에 올랐다. 또한 미국의 민간 우주선 개발업체인 스페이스 X가 최초로 민간인 궤도비행 우주여행을 시작해 전 세계적으로 이목을 끌기도 했다. 이 모든 것은 우주여행을 꿈꾼 이들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여기에 쥘 베른의 소설 「지구에서 달까지」는 그들에게 꿈을 심어주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모든 학문 이론이나 과학기술이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앞서간 이들의 끈질긴 도전과 현실의 한계를 뛰어넘는 피와 땀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선구자적인 역할을 했던 이들의 궤적을 살펴보는 것도 꽤 의미 있는 독서 여행이 아닐까? 이 독서 여행을 함께하기 위해 인생의 동반자이자 학문적 동지인 정규수 박사와 정광화 박사가 2010년 출간한 「로켓, 꿈을 쏘다」에 냉전 시대의 로켓 개발을 이끌었던 베르너 폰 브라운과 세르게이 코롤료프의 인간사적인 부분을 대폭 보강하여 「로켓을 꿈꾼 소년들」을 펴냈다.
저자 정규수 박사는 서울대학교 문리대 물리학과를 거쳐 미국 피츠버그 대학에서 소립자 이론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1976년에 귀국하여 국방과학연구소 연구원에서 30여 년을 근무하며 한국의 국방과학기술 선진화에 힘썼다. 이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로켓과 우주발사체 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로켓 관련 저서들 집필에 집중했다. 그 결과 ‘로켓 과학’ 시리즈’(전 3권,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ICBM, 악마의 유혹」, 「ICBM 그리고 한반도」 등을 펴냈으며, 우리나라에서 명실상부한 로켓 관련 전문가로 손꼽힌다.
또 다른 저자인 정광화 박사는 서울대학교 문리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피츠버그 대학에서 소립자 이론물리학으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귀국하여 1978년부터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근무하며 진공표준확립 연구를 수행했다. 2006년부터 한국표준과학연구원원장, 2009년부터 4년간 충남대학교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 2013년부터 3년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장을 역임했다. 정규수 박사와 같은 지도교수 밑에서 학위를 받았고, 1975년 이후 한집에서 살고 있으며, 이 책에서 폰 브라운과 코롤료프의 인간사적인 부분을 세심하게 다듬는 역할을 했다.
현대적인 로켓 개발과 우주개발 역사의 문을 연
폰 브라운과 코롤료프를 만나다!
「로켓을 꿈꾼 소년들: 폰 브라운과 코롤료프」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베르너 폰 브라운과 세르게이 코롤료프 두 사람의 파란만장한 일생을 날실로 삼고, 그들을 둘러싼 세계대전과 혁명 그리고 냉전이라는 역사의 소용돌이를 씨실로 삼아 풀어낸 쥘 베른의 키즈에 관한 이야기다. 비록 두 사람은 서로 만난 적이 없지만 미ㆍ소 양 대국의 경쟁 대표로 로켓 개발에서 마치 두 가닥 새끼줄을 꼬듯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그들에게 주어진 험난한 과정을 극복하고 마침내 달 착륙이라는 인류의 업적을 이루는 과정을 담았다.
이 두 사람의 위대한 업적에 가려 잘 드러나진 않았지만, 전쟁과 혁명 그리고 냉전이라는 역사의 소용돌이에 휘말리면서 불합리한 체제 속에서 각자의 국가를 위해 로켓을 개발하고 우주 경쟁의 기선을 잡기 위해 수많은 연구자가 쏟은 꿈, 좌절과 노력, 갈등과 희생 등이 마치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로켓을 꿈꾼 코롤료프와 폰 브라운은 닮은 점이 참 많았다. 두 사람 모두 어린 시절에 쥘 베른의 공상과학소설 「지구에서 달까지」를 감명 깊게 읽었고, 치올콥스키와 오베르트에게서 우주여행에 관한 강렬한 동기를 부여받았다. 이 두 사람에게 치올콥스키와 오베르트는 기술 발전에 대한 명확하고 구체적인 미래상을 가지고 우주로 나가야 한다는 확실한 영감을 심어준 우주 개척의 ‘멘토’였다.
베르너 폰 브라운과 세르게이 코롤료프의 행적을 따라가다 보면 폰 브라운이 어떻게 불꽃놀이용 폭죽을 현대적인 탄도탄 V-2로 태어나게 했고, V-2가 어떻게 대륙간탄도탄으로 변모되었는지 자연스레 알 수 있다. 코롤료프는 자신이 개발한 대륙간탄도탄 R-7 세묘르카로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했고 최초의 우주인을 지구궤도에 쏘아 올리는 데 성공했으며, 달ㆍ화성ㆍ금성으로 탐사선을 쏘아 보냈다. 독일 출신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으로 건너간 폰 브라운은 코롤료프의 스푸트니크로 시작된 본격적인 미ㆍ소 우주 경쟁에서 새턴-V로 응수하여 달 경쟁에서 미국을 승리로 이끌었다. 그들은 그 과정에서 자신들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미사일 경쟁의 단초를 제공했고, 싫든 좋든 상관없이 냉전의 한복판에 설 수밖에 없었다.
저자는 이 두 사람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우주여행을 위한 로켓을 개발하고자 하는 강렬한 열망과 비전을 지닌 과학기술자로 성장한 폰 브라운과 코롤료프의 열정과 노력이 국가의 필요성과 맞물려서 엄청난 성과를 이루었으며, 어린 시절에 품은 꿈을 현실에서 펼쳐나갔다. 현대적인 로켓 개발과 우주개발의 역사는 이 두 사람에 의해 개념과 방향이 결정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폰 브라운과 코롤료프는 로켓을 만들면서 우주를 꿈꾸었고, 우주를 꿈꾸면서 무기도 만들었지만, 종국에는 초꼬슴의 바람처럼 우주개발이 생의 전부가 되었다. 그들의 로켓이 이중성을 가졌듯이 그들 역시 꿈과 절망 및 성공과 죽음이 ‘꼬였다 풀렸다’를 반복하는 이중나선(double helix) 같은 삶을 살다 갔다.”
우주여행이라는 거대한 꿈을 마침내 실현한 두 사람의 열정과 노력이 오늘을 사는 모두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올지 판단할 수 없지만, 미래를 준비하는 우리 청소년들에게 가슴 벅찬 독서 여행으로 안내해주리라고 믿는다.
[이 책의 구성]
전체 4부로 이루어진 이 책은 1부 ‘최초의 꿈, 최초의 사람들’에는 세 명의 선구자(치올콥스키, 고더드, 오베르트)와 두 소년(폰 브라운과 코롤료프)의 배경과 성장 과정 이야기로 문을 연다. 2부 ‘역사의 소용돌이와 빗나간 꿈’에서는 로켓 전문가로 성장한 폰 브라운이 로켓 개발을 위해 독일 육군에 합류하여 본격적인 활동을 펼치는 이야기와 직업학교 졸업 후 본격적으로 로켓 개발을 하던 코롤료프가 스탈린의 정치적 숙청에서 강제수용소로 유배 가는 등의 수난을 다룬다. 3부 ‘냉전의 서막, 미ㆍ소 우주 경쟁의 시작’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평화포로가 되어 미국으로 건너간 폰 브라운은 우주개발 전도사로서의 활약을 펼치고, 코롤료프 역시 재기하여 본격적인 로켓 개발에 돌입하는 과정에 맞물려 본격적인 미ㆍ소 미사일 경쟁에 돌입하는 이야기가 펼쳐진다. 4부 ‘마침내 실현된 꿈, 달을 정복하다’에서는 미국과 소련의 우주 경쟁 속에서 폰 브라운을 중심으로 한 아폴로 계획의 전개 과정과 코롤료프의 유인 달 착륙 계획에서 빚어지는 갈등을 살펴본다. 마지막 부록에는 로켓에 관심 있는 독자들을 위해 뮌헨에 있는 국립독일박물관에서 저자의 지인이 촬영한 실제 V-2의 작동 개념도와 엔진 부품 그리고 V-2 생산 공장이었던 미텔베르크(Mittelwerk)의 컬러사진이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