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공덕귀 생애와 사상

공덕귀 생애와 사상

  • 김명구
  • |
  • 박영사
  • |
  • 2022-11-24 출간
  • |
  • 584페이지
  • |
  • 171 X 244mm
  • |
  • ISBN 9788910980308
판매가

28,000원

즉시할인가

27,72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7,7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공덕귀 평전, 『공덕귀, 생애와 사상』 발문

김학준/윤보선민주주의연구원 초대원장

1. 해위 윤보선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에 관해서는 이승만 대통령 시대에 전개한 반독재민주화운동, 4월혁명의 결과로 이 대통령이 하야한 이후 성립된 제2공화정 시대에 대통령으로서 수행한 활동, 그리고 5ㆍ16군사정변 이후 박정희 대통령을 상대로 전개한 반독재민주화운동을 목격했거나 전해 들은 사람이라면 친숙하게 알고 있다. 특히 그의 회고록 「구국의 가시밭길」(한국정경사, 1967)과 「외로운 선택의 나날: 윤보선 회고록」(해위윤보선대통령기념사업회, 2012)을 읽은 경우에는, 훨씬 소상하게 알고 있다.
그러나 그의 진실된 협력자였던 부인 공덕귀 여사에 관해서는, 공 여사의 구술을 받아 한 신문인이 쓴 「나, 그들과 함께 있었네」(여성신문사, 1994)라는 자서전을 읽은 사람이 아니라면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 그저 ‘남편의 반독재민주화운동을 충실히 내조한 아내’라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생각이 틀린 것은 결코 아니다. 공 여사는 자신을 드러내지 않은 채 남편의 애국적 정치활동을 헌신적으로 도왔다.
이러한 통상적 인식을 크게 교정하게 만드는 책이 출판됐다. 윤 전 대통령에 관한 책을 국문과 영문으로 출판했던 김명구 교수가 집필한 「공덕귀, 생애와 사상」이 바로 그것이다.

2. 이 책은 무엇보다도 공 여사가 단순한 내조자가 아니었으며, 그 스스로 남편을 만나기 훨씬 이전부터 오랜 기간에 걸쳐 민주주의 사상과 인권존중 사상을 갖고 있었으며, 이 내면화된 사상에 따라 남편의 정치노선을 지원하기도 하고 때로는 남편을 올바른 방향으로 선도하기도 했음을 실증적으로 논증했다. 공 여사는 단순한 내조자의 수준을 넘어서서 자신이 포지한 민주주의 사상과 인권존중 사상에 따라 남편과 손발을 맞추기도 하고 남편을 이끌기도 했다는 뜻이다.
이 점에서, 이 책은 윤 전 대통령의 신념과 행동에 관한 기존의 해석을 한 차원 높게 심화시켰다. 다시 말해, 이 책은 윤 전 대통령에 관한 기존의 저술들이 제시한 논지들을 여러 측면에서 보완하고 있다.

3. 그러면 공 여사의 그러한 사상은 어떤 과정을 통해 형성된 것인가? 저자 김 교수는 1911년 5월에 태어난 공 여사가 1949년 1월 38세의 나이에 해위와 결혼하기 이전의 삶을 소상하게 살폈다. 여기에 따르면, 공 여사는 항일의식이 투철한 경상남도 통영의 기독교 가정에서 자라면서 기독교 교육을 중시한 각급 학교를 다녔고 두 차례에 걸쳐 일본 신학교에서 신학을 전공했으며 국내에서는 전도사로 또는 교수로 사역했다. 이 과정에서, 공 여사는 “사람은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형상에 맞게 창조한 존재”라는 신념을 가졌고, 따라서 “사람에게 가장 존귀한 것은 자유이며 이 자유는 누구라도 속박할 수 없다.”라는 믿음을 키웠다. 동시에 평등의 사상과 공의(公義)의 사상을 받아들였다.
교회는 사람들이 사는 땅을 하나님의 나라로 만들 책임이 있음을 강조한 칼 바르트(Karl Barth)의 신학을 배우기도 했고, 빈민을 위해 일생을 바친 가가와 도시히코(賀川豊彦)의 신학과 실천 그리고 가난한 사람을 도와야 한다는 송창근 목사의 성빈사상(聖貧思想)에 감동했으며, 기독교복음의 국가적ㆍ사회적 사명을 강조한 김재준 목사의 신학을 받아들이기도 했다. 철저한 자료검증을 기반으로 집필한 김 교수의 논지를 읽으면, 공 여사가 단순한 신학도가 아니라 기독교 신학에 밝은 학자임을 확인하게 된다.
자신의 신학세계가 그러했기에, 공 여사는 남편의 정치활동이 자신의 신학에 일치하도록 보살폈다. 그뿐만 아니라, 한국정치에 영향력이 큰 기독교 지도자들과 남편을 연결해, 남편이 독재와 인권탄압에 저항하는 운동을 이끌도록 고무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저자는 “공덕귀의 사상은 윤보선 정치사상의 신학적 이론이 되었다. 교계와 정치계를 연결시키는 사상적 연결점도 되었다. 많은 기독교인들이 윤보선에게 지지를 보내고 그 활동에 적극 동참한 이유이다.”라고 썼다.

4. 김 교수의 이 책은 다른 시각에서 보면 구한말 이후 우리나라 기독교의 역사 또는 기독교 정치ㆍ사회운동의 역사를 설명하고 있다. 모두가 그러했던 것은 아니지만, 환난과 핍박 속에서도 기독교의 가르침에 충실하게 생활하고자 했던 기독교인들의 경건한 신앙과 투쟁에 새삼 경의를 표하게 된다. 종교적 신념의 힘이 얼마나 크며 그것이 ‘위대함’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거듭 확인하게 된다. 발문을 쓰기 위해 이 책의 원고를 읽으며 스스로에 대해 부끄러움을 많이 느꼈음을 고백한다.

목차

공덕귀 평전,「공덕귀, 생애와 사상」 발문 i
서 문 v

PART 01 삶의 전반
-신학도가 되기까지-
01고향 통영 3
1. 경제적 상황 3
2. 정치ㆍ문화적 상황-저항과 자긍심의 고장 6
3. 일제 저항의 배경 9
02아버지 공도빈(孔道彬) 13
03호주장로교회의 통영 선교 19
1. 호주장로교회 한국 선교 19
2. 호주장로교회 한국선교, 그 신학과 정책-영적 복음과기독교 이데올로기의 전파 24
3. 대화정교회(충무교회)와 어머니방권악(방말선, 공마리아) 29
04탄생과 어린 시절: 막연한 저항 의식 41
05일신여학교 진학: 신앙과 역사의 합치 의식 배태 47
1. 인도선교사를 꿈꾸다 47
2. 공덕귀와 일신여학교 52
06송창근과의 만남, 그리고 부름(calling): 신앙의 영역과역사적 사명의 합치 의식 63
07유학을 가기까지 69
08일본 요코하마 교리츠여자신학교(共立女子神学校) 유학 과정 73
09공덕귀 시대의 일본 신학의 특성: 천황제와의 관계 77
1. 메이지시대(明治時代) 77
2. 다이쇼(大正)시대의 흐름 84
10공덕귀와 교리츠여자신학교(共立女子神學校) 103
1. 교리츠여자신학교설립의 기원 103
2. 요코하마 교리츠여자신학교 시절의 공덕귀-구령(救靈)의 기독교와 사회적 기독교의 합치 107
11김천 황금동교회 전도사 공덕귀 117
1. 황금동교회에서의 전도사 사역 117
2. 일제(日帝)의 핍박 123
3. 해방-감격과 왜곡 127
12공덕귀와 조선신학교 133

PART 02 정치인의 아내
-국가구원 의식의 이입(移入), 사명의 변화-
01덕수교회 전도사 145
02결혼과정 153
03윤보선 가문, 안동교회 그리고 윤보선 159
1. 윤보선 가문 159
2. 안동교회-국가구원 전통의 교회 165
3. 남편 윤보선-인간화의 일치 168
04안국동의 종부(宗婦)와 고위 관료의 아내: 정치 영향력에 대한 각성 175
056.25 전쟁 181
1. 공덕귀의 6.25 181
2. 대한적십자 총재 윤보선의 공헌과 이승만과의 결별 187
06영부인이 되기까지 193
07청와대 시절 199
08민주당 구파와 신파의 대립 207
095.16 군사정변과 하야(下野) 215
10윤보선에 대한 박정희의 두려움 221
1. 선거 상황 221
2. 갈등의 정치사상적 이유, 그리고 공덕귀 사상의 합류 225
11한일수교 반대운동: 정계와 교계의 가교 235
12염광회(鹽光會)의 발족 245

PART 03 신학도의 귀환, 신학적 정체성의 확인
01안동교회 여전도회장 공덕귀: 안동교회 설립 정체성복원 제안 253
02예장과 기장 분열의 여파 259
03여전도회 사명의 확장 265
04예장(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서울노회 여전도회연합회회장 공덕귀 271
05‘한국교회여성연합회’와의 연결: 신학적 저항의 도구 279
06매춘관광 반대 운동 285
07한국인 원폭 피해자에 대한 문제 제기: 민족애(民族愛)의확장 295

PART 04 민주화운동의 대모
01공덕귀 저항의 시대적 상황: 유신시대 309
1. 기독교계의 저항 311
2. 민주청년학생총연맹(민청학련) 사건 317
3. ‘명동사건’과 유신의 종말 322
02언론자유회복 운동의 지원: 그 한계 327
03세계 기독교와의 협력 견인 335
04구속자가족협의회 회장: 인권과 민주화의 문제 341
05총무 김한림 355
06남영나일론, 동일방적, YH사태: 인권과 생존권의 문제 361
1. 남영나일론사건 364
2. 방림방적임금체불사건과 동일방직사건 368
3. YH사태 375
4. 산업선교에 나타난 공덕귀의 신학 380
07신군부의 등장과 권력 장악: 갈등과 분리 385
08YWCA 위장 결혼식 사건: 윤보선과의 간극 조짐 391
09윤보선과 전두환 신군부, 그리고 공덕귀 399
1. 전두환의 회유, 그리고 안보와 반공의 문제 399
2. 윤보선과 공덕귀의 갈등과 사상적 분리 405
10윤보선과 공덕귀 정치사상: 기독교민족주의와기독교민주주의 409
1. 윤보선의 기독교민족주의 의식 410
2. 공덕귀의 기독교민주주의 의식 414

PART 05 삶의 종반
-삶을 정리하며-
01해위와의 미국과 유럽여행 423
02한국기독교1백주년기념사업과 신학적 상황 429
03한국기독교1백주년기념사업협의회 여성분과위원회 위원장공덕귀 437
1. 그 시작과 준비 437
2. 지역 여성대회 440
3. ‘통일을 위한 어머니의 금식기도회’-공덕귀의 통일관 443
4. 한국기독교100주년기념여성대회의 준비와 전개 448
5. 「한국기독교 여성100년사」 편찬 사업과 종무예배 453
04해위 윤보선의 소천(召天) 459
05박순경 교수 사건 467
1. 박순경의 구속과 사상의 지향점 467
2. 박순경 통일운동의 사상적 근거와 공덕귀 472
06정리 481
1. 성지순례 481
2. 하와이 교회 복원운동 참여-윤보선과 이승만과의 관계복원 484
3. 자서전 출간 487

책을 나가며 491

참고문헌 497

찾아보기 52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