씰룩쌜룩 멜로디, 살랑살랑 드로잉, 폴짝폴짝 스토리, 덩실덩실 미러링이라는 창의적이며 활동적인 4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스크래치, 댄싱 위드 AI, 티처블 머신, 스크래치 랩 등의 코딩 도구를 익히는 한편, 컴퓨팅 사고력 함양과 인공지능의 원리를 체화하게 됩니다.
《놀이로 배우는 인공지능》은 다음 두 개의 학습 보조 웹사이트를 운영합니다.
AI 배움터(https://bit.ly/AI4FunPlay): 스타터 코드, 코딩 카드, 움직임 카드, 무빙마블 활동지, 놀이자료 등을 비롯하여 인공지능을 즐겁게 경험하는 데 필요한 학습자료가 게시되어 있습니다.
AI 놀이터(https://bit.ly/AiLetsPlay): 내가 직접 만든 놀이와 창작품을 공유하고 함께 배우는 ‘학습 커뮤니티’입니다.
주요 내용
1부: 인공지능 놀이를 하기 전에 준비해야 할 도구와 환경을 소개합니다.
2부: ‘우리 몸의 움직임’을 멜로디 작품의 재료로 사용합니다. 우리 몸을 움직여 다양한 소리를 만들어 내고, 인공지능과 함께 조화로운 음악을 연주하면서 온몸으로 소리를 느낍니다. 여기서는 기존에 사용하던 악기 대신에 인공지능의 센서와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나만의 악기를 만들고, 몸의 움직임으로 생동감 있는 멜로디 작품을 창작해 봅니다.
3부: ‘우리 몸의 움직임’을 드로잉 작품의 재료로 사용합니다. 우리 몸을 움직여 다채로운 드로잉 표현을 하고, 인공지능과 함께 아름다움을 그려 내면서 온몸으로 드로잉 과정을 느낍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붓과 팔레트, 캔버스 대신 기계학습이 적용된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스크린 화면을 사용하여 생동감 있는 드로잉 작품을 창작해 봅니다.
4부: ‘우리 몸의 움직임’을 애니메이션 작품의 재료로 사용합니다. 우리 몸을 움직여 캐릭터를 등장시키거나 움직이고, 인공지능과 함께 실시간으로 소통하면서 온몸으로 애니메이션을 창작합니다. 여기서는 미리 계획된 스토리나 이미지 대신에 인공지능의 센서와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나만의 캐릭터를 만들고, 우리 몸의 움직임에 맞춰 실시간으로 피드백하며 스토리를 전개해 나갑니다.
5부: 우리 전통춤인 탈춤을 배워 보고 인공지능과 함께 덩실덩실 탈춤을 즐겨 봅니다. 내가 만든 탈춤을 친구나 가족, 그리고 인공지능에게 가르쳐 봅니다. 또, 실제 탈춤에 사용되는 탈과 한삼(汗衫), 장단 등 탈춤 소품들을 스크린 화면에 구성해 보고 인공지능 기술과 몸의 움직임으로 역동적인 탈춤 한마당을 연출해 봅니다.
6부: 지금까지 경험했던 주요 활동을 되돌아보고, 무사히 여정을 마친 것을 축하합니다. 새로운 여정을 위한 계획을 세워 보고 나를 응원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대상 독자
예술융합창작 수업을 계획하는 현직 초중등 교사 및 예비 교사
아이와 함께 인공지능 기반의 놀이 활동을 해 보고 싶은 학부모
인공지능을 배우고 싶은 어린이
활동적인 놀이를 좋아하는 어린이
드로잉, 악기 연주, 작곡, 춤 등 예술적 활동을 좋아하는 어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