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조선 중 후기 정치제도 연구

조선 중 후기 정치제도 연구

  • 한충희
  • |
  • 혜안
  • |
  • 2022-11-17 출간
  • |
  • 344페이지
  • |
  • 150 X 225mm
  • |
  • ISBN 9788984946897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7,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7,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저자 한충희 계명대 명예교수는 40년간 조선시대 정치제도사를 정력적으로 연구해 온 원로 사학자이다. 정년 전에 〈조선초기 정치제도와 정치〉를 종합적으로 연구한 데 이어, 정년 후 10년 간 조선 중후기 정치제도의 설치 배경과 변천, 당시의 정치ㆍ경제ㆍ군사ㆍ정치세력 등과의 관계를 구체적이면서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이 책에 담았다. 저자가 보는 조선 중ㆍ후기 정치제도의 특징은 이러하다.
① 조선중기의 의정부는 의정부서사제기(중종 11~28년경)ㆍ육조직계제기(성종 16~중종 10, 중종 28경~선조 24), 원상(院相)ㆍ왕의 측근(연산말)ㆍ공신(중종초)ㆍ권신(중종말)ㆍ외척(명종대)ㆍ언관(중종 11~13) 등의 대두에 따라 기능발휘에 차이가 있기는 하나 국정 전 분야에 걸쳐 활발한 정치활동을 전개하면서 국정을 총령하거나 주도하는 기능을 하였다.
② 조선중기 비변사는 국정운영체계상으로는 의정부ㆍ육조의 지휘를 받아 임무를 처리하는 것이 원칙이나, 비변사를 운영한 당상(堂上)은 남북방 군사업무에 장기간 재직하였음과 관련하여 당상이 의정부ㆍ병조의 지휘ㆍ간섭을 배제하고 변사 등 군정관련 정사를 전담하였다.
③ 조선 중ㆍ후기의 중앙관아는 급변하는 정치ㆍ군사ㆍ경제ㆍ사회상과 관련되어 새로이 비변사ㆍ선혜청ㆍ규장각과 훈련도감 등 군영아문이 설치되어 의정부를 명목상의 기관으로 전락시키고 육조ㆍ육조속아문 기능을 약화시키면서 모든 정치ㆍ군사를 주관하였다.
④ 조선 중ㆍ후기의 문반 경관직은 급변하는 정치ㆍ군사ㆍ경제ㆍ사회상과 관련되어 새로이 등장한 비변사ㆍ선혜청ㆍ규장각과 훈련도감 등 군영아문의 겸직당상(도제조ㆍ제조)과 군영대장이 정치ㆍ군사를 주관함에 따라 경관직의 중심축이 이전까지의 의정부ㆍ육조 정직에서 비변사 등의 겸직당상과 군영대장으로 옮겨졌다. 또 당시에 대두된 당파ㆍ세도정치가가 이러한 정치제도에 편승하여 당상겸직을 통해 비변사는 물론 군영아문까지 장악하면서 왕권을 약화시키고 공적 정치질서를 붕괴시키면서 국정을 전단하거나 주도하였다.
⑤ 조선 중ㆍ후기의 군현은 법제적인 기능은 초기의 것이 그대로 계승되었지만 많은 군현이 강격되고 승격된 것은 직접적으로는 급변하는 경제ㆍ사회상과 관련된 반란ㆍ반역ㆍ강상죄인 등에서 야기되었고, 이를 통하여 왕조를 유지하고 국방을 강화하며 중앙집권ㆍ유교적 신분질서 유지와 효율적인 지방통치에 기여하였다.
⑥ 조선 중ㆍ후기에는 내침하는 남북방의 외적 방어와 관련되어 많은 변진이 설치ㆍ승격되었고, 비록 왜란과 호란기에는 적의 군세와 관련되어 큰 효과가 없었으나 그 외의 시기에는 왜ㆍ야인의 직접적인 침입을 방어하고 수도방어를 보조하여 국경과 민심을 안정시키고 국가의 평화를 유지시키는 한 토대가 되었다.
⑦ 조선시대의 능관(陵官)은 조선초기에는 20릉에 참봉(종9)이 40직에 불과하였으나 조선중기 이후 점차로 증가한 능관(참봉)으로 인해 심화된 참하관의 인사적체를 해소하기 위해 1707년(숙종 33) 이후에는 여러 번에 걸쳐 종9품직인 참봉직 중 1직을 종5품 영(令), 종7품 직장(直長), 종8품 봉사ㆍ별검으로 승격시키는 관제조정이 있기도 하였다.

이상과 같은 정치제도의 운영과 특징을 볼 때 조선 중ㆍ후기의 정치제도는 조선초기에 비해 국정운영체계가 조선중기에는 ‘왕-의정부-6조 체제’가 지속되기는 하나 변사 등 군정은 ‘왕-비변사 체계’로 운영되었고, 조선후기에는 비변사가 국정을 총령함에 따라 ‘왕-비변사-육조ㆍ5군영 체계’로 운영되었다.
또한 관직체계는 조선중기에는 ‘의정부ㆍ6조ㆍ삼사 등 정1~정3품 당상관직’이 중심이 되었지만, 조선후기에는 비변사ㆍ선혜청 등 정치ㆍ경제를 전관한 관아가 도제조 등 겸직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군영아문의 대장이 요직이 되면서 ‘겸직인 비변사ㆍ선혜청 등 도제조ㆍ제조ㆍ부제조ㆍ유사당상, 군영대장’이 중심이 되었다. 아울러 3의정ㆍ6조판서 등은 본직으로서 보다는 예겸직인 비변사도제조 등을 통하여 정치력을 발휘하였고, 이를 토대로 의정부는 명목상이나마 최고 정치기관으로 존속될 수 있었다.
정치운영은 조선중기에는 의정부ㆍ육조ㆍ삼사 등 당상관이 국왕을 받들고 법제적인 관아기능, 행정체계를 통하여 국정을 총령하고 분장하였다. 반면 조선후기에는 집권당파가 비변사ㆍ선혜청 등 당상겸직과 군영대장직을 독점하거나 다수를 점하면서 비변사ㆍ군영아문 등을 지배하였고, 공론보다는 당파의 이해에 따라 정치를 독단하거나 주도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유년 국왕보필과 관련되어 세도정치가 행해진 순조·헌종·철종대에 외척이 중심이 된 안동김씨와 풍양조씨 세도정치기에 더욱 심화되었다.
결국 조선 중ㆍ후기에 개편되면서 운영된 관아ㆍ관직제 즉, 비변사ㆍ5군영 등 아문과 도제조ㆍ제조ㆍ군영대장 등 관직은 당시의 급변하는 정치ㆍ군사ㆍ경제 등에 대처하면서 수도권의 방어를 강화하고 왕조를 지속시킴에 기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선후기, 특히 1701년(숙종 27) 이후는 노론과 세도정치가가 정치를 전단ㆍ주도하는 토대가 되었다. 이 책을 통해 조선 중기와 후기, 중앙과 지방의 정치제도와 정치운영의 실태가 보다 명확하게 밝혀진 점에 사학사(史學史)적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목차

간행사
서언

제1장 朝鮮中期 議政府의 政治活動硏究
1. 서언
2. 議政府 政治活動
3. 議政府 政治活動分野
4. 議政府 政治活動과 國政運營
5. 결어

제2장 朝鮮 中宗 5~宣祖 24년(성립기)의 備邊司에 대하여
1. 서언
2. 備邊司의 成立과 變遷
3. 備邊司의 組織
4. 備邊司의 機能
5. 備邊司와 議政府ㆍ六曹(兵曹)
6. 결어

제3장 朝鮮 中ㆍ後期(성종 16~고종 2년) 中央官衙 變遷硏究
1. 서언
2. 直啓衙門의 變遷
3. 六曹屬衙門의 變遷
4. 軍營衙門의 設置와 變遷
5. 臨時衙門의 運營
6. 中央官衙의 變遷과 政治運營
7. 결어-조선 중ㆍ후기 중앙관아 변천의 특징

제4장 朝鮮 中ㆍ後期(성종 16~고종 2년) 京官 文班職 變遷硏究
1. 서언
2. 京官 文班職의 變遷背景
3. 直啓衙門 官職의 變遷
4. 吏ㆍ戶ㆍ禮ㆍ兵ㆍ刑ㆍ工曹 屬衙門 官職의 變遷
5. 京官職의 變遷과 政治運營
6. 결어-조선 중ㆍ후기 경관직 변천의 특징

제5장 朝鮮中ㆍ後期 郡縣의 變遷과 國防ㆍ地方統治
1. 서언
2. 郡縣變遷 背景
3. 郡縣의 設置ㆍ革去와 復置
4. 郡縣의 昇格과 降格
5. 郡縣變遷과 國防ㆍ地方統治
6. 결어-郡縣變遷의 意義

제6장 朝鮮 中ㆍ後期 邊鎭 變遷硏究
1. 서언
2. 邊鎭의 變遷背景
3. 邊鎭의 設置와 革去
4. 邊鎭의 昇格과 降格
5. 邊鎭의 變遷과 國防
6. 결어

제7장 朝鮮時代(1392, 태조 1~1785, 정조 9) 陵官制硏究
1. 서언-문제의 제기
2. 陵官의 設置와 增置ㆍ昇格 背景
3. 陵官의 昇格
4. 陵官과 官制ㆍ人事行政
5. 결어

결어
부록 「議政府謄錄」 解題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