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수소 생산·저장 신기술 개발현황과 유통·활용 안전관리 강화 동향분석

수소 생산·저장 신기술 개발현황과 유통·활용 안전관리 강화 동향분석

  • 지식산업정보원 R&D정보센터
  • |
  • 지식산업정보원
  • |
  • 2022-11-07 출간
  • |
  • 2147483647페이지
  • |
  • 618쪽
  • |
  • ISBN 9791158622237
판매가

380,000원

즉시할인가

342,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42,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장 수소경제 이행을 위한 국가·기업별 추진사업과 전략1. 수소경제로의 이행1) 수소경제의 의미 및 수소의 종류(1) 수소경제 의미(2) 수소 종류가. 추출 수소 생산량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개질 수소 생산 시스템 개발나. 청색 수소 시장과 동반 성장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시장다. 녹색 수소 활용에 필수적인 수전해 설비 시스템의 국산화2) 수소경제의 비전과 비즈니스 기회(1) 에너지안보(2) 탄소중립(3) 공급망 파급효과가. 저장 : 수소 액화와 암모니아A) 수소 액화 플랜트 건설 및 핵심 설비에 대한 국산화B) 친환경 수소 저장 매체(Carrier)로서 블루, 그린 암모니아 활용나. 운송 : 차세대 튜브트레일러와 액화수소 캐리어A) 국내 운송 - 타입4(Type4) 수소 튜브트레일러 개발B) 해외 운송 - 액화수소 전용 운반 선박 개발다. 충전 : 수소 복합 충전소와 이동식 충전소A) 기존 주유소·LPG 충전소의 수소 복합 충전소화B) 이동식 수소 충전소 도입라. 활용 : 수송·산업·건물·발전 분야A) 수소를 활용한 상용차 시장B) IMO 규정 충족을 위한 수소 연료 추진선 시장C) 수소환원제철 시장D)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SOFC) 시장3) 국내외 수소경제 동향 및 정책대응(1) 독일가. 정책 동향나. 시장 동향(2) 프랑스(3) 영국(4) 미국가. 정책 동향나. 시장 동향(5) 중국가. 정책 동향나. 시장 동향(6) 일본가. 정책 동향나. 시장 동향(7) 호주가. 정책 동향나. 시장 동향(8) 한국가. 국내 수소경제 시장 전망나. 국내 정책적 대응 동향다. 수소 전주기 안전관리 종합계획2. 국내 주요 그룹사별 수소사업 추진현황 및 해외 진출전략1) 국내 주요 그룹별 수소사업 추진 현황(1) 현대자동차그룹(2) 현대중공업(3) SK그룹(4) 효성그룹(5) 두산그룹(6) 한화그룹(7) 포스코그룹(8) 롯데그룹(9) 한국전력(10) 한국가스공사2) 우리기업 해외 진출전략(1) 국가별 동향 및 프로젝트 참여 기업 모니터링가. 독일나. 미국다. 중국라. 일본마. 호주(2) 얼라이언스 참여를 통한 기업 간 교류 강화(3) 해외기업과의 합작법인(JV) 설립 등 전략적 제휴3) 수소경제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기업의 전략방향(1) 기업 R&D 및 정부 정책을 긴밀하게 연계가. 기업의 실질적 경쟁력과 직결되는 산업 분야를 적극적으로 지원나. 수소산업 기반 기술의 견고한 성장을 위한 중소기업·스타트업 육성(2) 밸류체인 전 주기를 아우르는 수직적 통합(Vertical Integration) 추구3. 수소 경제 시장 전망1) 글로벌 청정 수소 시장2) 수전해 시장3) 연료전지 시장4) 장기 시장 규모제2장 수소생산 관련 신기술 동향 -수전해/원자력 그린(청정)수소-1. 수소생산 기술개발과 공급사업 동향1) 수소 수요 증가와 생산 배경2) 국내외 수소생산 기술개발 동향(1) 연료이용 수소생산기술가. 해외나. 국내(2) 바이오매스 및 폐자원 이용 수소생산기술가. 해외나. 국내(3) 물분해(수전해) 수소생산기술가. 해외나. 국내3) 수소생산 공급사업 현황(1) 수소생산 공급사업가. 전통적 수소생산공급 사업A) 부생수소 공급사업B) 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나. 폐자원 및 바이오 수소생산공급 사업A) 바이오가스 활용 수소생산사업B) B2H 사업C) 해양 미생물 활용 수소생산사업D) 플라즈마 활용 탄소 자원화 기술개발사업E) W2H 사업F) 폐자원 활용 수소생산사업다. 재생에너지 연계 수전해 수소생산 공급사업A) 태양광 기반 수전해 수소생산사업B) 풍력발전 활용 수소 발전시스템C) P2G 실증사업D) 해수 수전해 수소생산(2) 암모니아 생산 및 전환사업가. 암모니아 개질 수소생산 공급사업A) 암모니아 개질 수소생산사업B) 그린수소 생산 및 암모니아 제조 사업C) 대규모 그린수소 및 암모니아 생산공장 구축사업D) 그린수소 활용 암모니아 제조 플랜트 건설사업E) 블루수소 생산사업(현대중공업-아람코 수소프로젝트)나. 그린 암모니아 생산 및 공급사업A) 해상풍력을 활용한 그린수소-암모니아 플랫폼 구축사업2.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 기술과 연구동향1) 수전해 기술2) 차세대 그린수소 생산 기술3) 수전해 그린수소 기술개발 동향(1) 알칼라인 수전해(AEC) 기술가. 현황나. 해결해야 할 이슈(2) 양이온 교환막(PEM) 수전해 기술가. 현황나. 해결해야할 이슈(3) 음이온 교환막(AEM) 수전해 기술가. 현황나. 해결해야할 이슈4) 수전해 그린수소 산업동향(1) 국내외 기술 개발 동향가. 해외 기술개발 동향나. 국내 기술개발 동향(2) 산업 동향가. 해외 산업 동향나. 국내 산업 동향5) 수전해용 분리막 연구 개발동향(1) 알칼라인 수전해용 분리막(2) 고분자전해질막 수전해용 분리막(3) 음이온교환막 수전해용 분리막6) 녹색수소 생산기술 ‘수전해’ 특허출원 분석3. 원자력 청정수소 기술 연구동향1) 원자력 수소와 지속가능 수소 조건2) 원자력 활용 수소 생산기술과 국내외 R&D 동향(1) 국내외 동향(2) INL의 수소 샷 이행 원자력 수소 연구 동향3) 미국의 원자력 수소 정책동향4) 국내 원자력 수소 타당성과 시사점4. 수소 생성 및 그린수소 시장 현황과 전망1) 수소 생성 시장(1) 글로벌 전체 시장 규모(2) 세부항목별 시장 규모(3) 지역별 시장 규모(4) 기업 동향가. NEL Hydrogen나. TM Power다. Air Liquide라. Cummins마. Engie2) 그린수소 에너지 시장(1) 시장 규모(2) 경쟁 현황(3) 그린수소 에너지 분석제3장 수소 저장·운송 신기술 동향 -암모니아 추출/도시가스 수소혼입-1. 암모니아 추출 수소 및 저장·운송 관련기술 동향1) 그린 암모니아의 필요성2) 암모니아 관련 주요국의 정책지원 현황3) 암모니아 관련 산업 동향(1) 암모니아 수소 캐리어 현황(2) 암모니아 연료 산업 현황(3) 그린 암모니아 생산 현황4) 암모니아 기반 수소 추출 기술개발 동향(1) 열화학적 암모니아 분해 기반 수소 추출 촉매 반응 기술가. 열화학적 암모니아 분해 촉매 개발나. 멤브레인 반응기 기반 고순도 수소 추출 기술다. 고순도 수소 대량 추출 시스템 실용화 기술(2) 암모니아로부터 높은 효율로 수소 생산해내는 촉매 공정 기술 개발2. 기체수소 저장/운송(유통) 관련 기술동향1) 수소의 저장과 운송(1) 수소 기체/액체 운송(2) 튜브 트레일러/배관 비교(3) 파이프라인2) 천연가스 인프라 활용 수소 운송 ‘도시가스 수소혼입’(1) 기존 천연가스 인프라와 수소운송 핵심 역할가. 천연가스 네트워크 100% 수소전환을 추진 중인 영국나. 일본, 민간 협업으로 도시단위 수소 프로젝트 추진다. 수소 이용분야 R&D 및 실증사업도 활발히 진행라. 우리나라의 수소사업 전망과 기존 인프라의 활용 방안(2) 국내, 도시가스에 수소혼입 실증 본격 추진가. 도시가스 수소혼입나. 기대효과다. 실증 필요성라. 해외 실증사례마. 실증 계획(3) 수소취성 해결 ‘관건’가. 해외연구 사례3) 수소 파이프라인 강재 기술개발 동향(1) 수소 파이프라인(2) 수소 파이프라인 현황(3)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가. 국외 기술개발 동향나. 국내 기술개발 동향4) 수소환경 시험평가 및 표준화 동향(1) 배경 (2) 국내외 시험평가 기준 검토가. 소재의 수소취성평가 관련 표준시험법나. 소재의 수소취성 관련 국내외 산업표준다. 수소환경 소재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국제 표준화 동향(3) 국내외 수소환경 소재시험평가 기관 검토가. 미국 Sandia 국립연구소(SNL)나. 미국 Hydrogen Material Compatibility Consortium다. 일본 HYDROGENIUS라. 일본 NIMS의 CLean마. 한국 표준과학연구원바. 한국가스안전공사 에너지안전 실증연구센터사. 대전 수소산업 전주기 제품 안전성 지원센터(4) 국내 기술개발 동향3. 액체·액상 수소 저장/운송(유통) 관련 기술동향1) 액화수소의 물성 및 특성2) 중소형 수소액화저장시스템 주요동향(1) 정의 및 필요성(2) 중소형 수소 액화 저장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기술(3) 중소형 수소 액화 저장 시스템 기술 개발 동향가. 기술개발 이슈A) 중소형 수소액화저장시스템 관련 기술 동향B) 액체수소 충전용 디스펜스C) 액체수소용 방폭형 극저온 온도센서D) 액체수소용 Flowmeter 개4E) 액체수소용 극저온 유체 레벨게이지 개발F) 액체수소용 극저온 밸브 개발G) 액체수소 인프라 구축 경제성 확보나. 생태계 기술 동향A) 해외 동향B) 국내 동향C) 국내 기관 기술개발 동향3) 물리적·화학적 수소 저장 기술동향(1) 해외 개발동향가. 물리적 수소저장기술나. 화학적 수소저장기술(2) 국내 개발동향가. 물리적 수소저장기술나. 화학적 수소저장기술4) 액화수소 저장과 운송을 위한 진공기술(1) 수소 운송의 문제점가. 파이프라인과 튜브트레일러나. 액상수소(LOHC와 암모니아)다. 액화수소(2) 수소 저장 및 저장탱크(3) 액화수소 저장탱크가. 글로벌 동향나. 국내 동향5) 액체수소 저장용 소재 기술개발 동향(1) 액체수소 저장용 소재(2) 수소액화 플랜트 현황(3)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가. 국외 기술개발 동향나. 국내 기술개발 동향6) 수소 모빌리티용 수소저장 용기관련 시장전망(1) 시장의 개요(2) 시장 동향가. 시장 규모 및 전망나. 경쟁 현황7) 국내, 전주기 액화수소산업 생태계 구축 위한 실증사업8) 국내, 액화수소 안전기준 제·개정을 통한 수소산업 안전성(1) 배경(2) 액화수소 시설 구축 계획(3) 국내 액화수소 안전기준 마련가. 해외 액화수소 안전기준 현황나. 국내 액화수소 안전기준 현황(4) 국내 액화수소 주요 안전기준가. 액화수소 일반제조(설치) 기준나. 액화수소 저장탱크 제조 기준다. 액화수소 탱크로리 제조 기준라. 액화수소 안전밸브 제조 기준마. 액화수소 긴급차단장치 제조 기준바. 액화수소 운반 및 운반차량 등의 기준사. 액화수소 저장식 수소자동차 충전 기준아. 이동식 액화수소 충전 기준(선박용)자. 액화수소 초저온용기 제조 기준차. 액화수소 기화장치 제조/재검사 기준카. 액화수소 저장시설 기준타. 액화수소 용기부속품 제조/재검사 기준파. 액화수소 방폭전기기기 관련 기준(5) 액화수소 안전기준 제·개정 추진 계획제4장 수소 유통·공급 특허분석 및 수소충전 주요동향1. 국내외 수소 유통업 사업내용1) 수소 유통업(저장 및 이송서비스 제공)(1) 튜브 트레일러 이송사업(2) 파이프라인 구축사업(3) 그린수소 수송 파이프라인 건설사업(4) 부생수소 출하센터 구축사업(5) 수소 수요-공급관리를 위한 수소 ESS 인프라 구축 및 실증사업2) 액화수소 기반 수소 유통업(1) 액화수소 기반 수소유통사업가. 액화수소 플랜트 구축사업나. 부생수소 활용 액화수소 플랜트 구축사업다. LNG 냉열 활용 수소 제조 시스템사업라. LNG 냉열 활용 액화수소 생산 및 공급시설 구축사업마. 액화수소 저장 및 운송 실증사업(2) 액화수소 기반 수소충전소 운영사업가. 액화수소 메가스테이션 구축사업나. LNG 냉열 활용 액화수소 메가스테이션 구축사업 다. 액화수소 충전소 상용화 실증사업라. 냉열 활용 물류센터 구축사업마. 수소충전소 CO₂ 회수사업3) 액화 및 액상수소 해상운송업(1) 액화수소 기반 수소 해상운송업가. 액화수소 공급망 실증사업(2) LOHC 기반 수소 해상운송업가. 유기 하이드라이드 공급망 구축 실증사업나. LOHC 활용 수소 공급사업(3) 암모니아 기반 수소 해상운송업가. 수소 서플라이체인 구축사업(암모니아)나. 그린 암모니아 저장 및 운송사업다. 액상 암모니아 운송사업라. 그린 암모니아 해상운송 및 벙커링 사업2. 수소 공급 분야 특허 빅데이터 분석1) 추진 배경2) 분석 개요(1) 분석 범위(2) 기술 분류 체계(3) 검색식(4) 특허 분류(5) 유효특허 선별(유효특허 총 6,999건; 중복분류 포함 7,544건)3) 글로벌 특허 동향(1) 수소 공급 분야 Landscape 분석(2) 수소 생산 분야 Landscape 분석(3) 수소 저장·운송 분야 Landscape 분석4) 주요 출원인 분석(1) 수소 생산(2) 수소 저장·운송3. 수소 충전 관련 기술 현황1) 수소 충전 유형2) 수소충전소 국내외 현황(1) 수소충전소 일본 현황(2) 수소충전소 미국 현황(3) 수소충전소 유럽 현황(4) 수소충전소 국내 현황3) 수소충전소 운영사업 분석(1) 단독 수소충전소 운영사업가. 수소충전소 구축사업(튜브 트레일러 수소충전소 구축)나. 이동식 수소충전소 구축사업다. 수소 버스용 충전소 실증사업라. 통합형 수소충전소 구축사업마. 소형 모빌리티용 수소충전소 구축사업(2) 융복합 수소충전소 운영사업가. 배관방식 수소충전소 구축사업나. 복합 수소충전소 구축사업(LPG)다. 그린수소 활용 수소충전소 구축사업라. 융복합 스테이션 구축사업마.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충주 바이오수소융복합충전소바. 버스연계形 가포수소충전소사. 도심 최초 융복합 충전소(서울 강동)4) 수소충전 장비/부품 및 안전관련 기술개발 주요동향(1) 수소충전용 장비 및 부품 관련 주요동향가. 범위 및 분류A) 가치사슬B) 용도별 분류C) 기술별 분류나. 시장 분석A) 세계시장B) 국내시장다. 기술개발 이슈A) 수소가스 압축기술 및 액화수소기술B) 수소 충전용 장비/자재 개발(피팅류, 밸브류, 펌프류, 파이프 등)C) 액체수소 저장탱크 개발라. 생태계 기술 동향A) 해외 플레이어 동향B) 국내 플레이어 동향C) 국내 기관 기술개발 동향마. 수소충전소 특허출원 동향(2) 수소충전 방호·안전가. 수소충전소 운영과 문제점나. 수소충전소 이슈 및 해결 방향다. 수소 관련 방호·안전 기술개발 동향라. 수소 안전·환경·인프라 국가별 동향A) 해외B) 국내마. 국내 수소충전소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바. 국내 수소충전소 맞춤형 안전관리A) 개별 수소충전소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안전관리B) 수소충전소 특성을 고려한 안전관리 실시(3) 수소충전소 전략적 배치계획(2021-2025) 가. 추진 배경나. 전략적 배치방안A) 기본 방향B) 배치 방법C) 전국 지역별 배치(안)다. 향후 활용 방안5) 수소충전소 내 연료전지용 수소연료 품질 관리 및 표준화 동향(1) 수소연료 품질에 관한 표준(ISO 14687:2019)(2) 수소충전소 내 수소 품질 보증 및 관리에 관한 표준(ISO 19880-8:2019)(3) 수소 품질 관리를 위한 분석법 검증에 관한 표준(ISO 21087:2019)(4) 수소연료 품질 현장 진단 의의제5장 수소연료전지 개발동향과 혼소발전 분야 실증사례1. 수소경제 시대 가속화와 수소연료전지 주요동향1) 수소 활용(1) 수송용 수소활용(2) 산업용 수소활용(3) 건물용 수소활용(4) 발전용 수소활용2) 수소경제와 연료전지3) 연료전지 구성과 기술(1)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가. PEMFC 기술이슈나. PEMFC 기술 적용 시장현황(2)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Solid oxide fuel cell)가. SOFC 기술 이슈나. SOFC 기술 적용 시장동향4) 고효율 양방향 세라믹연료전지 기술개발 동향(1) 고효율 양방향 세라믹연료전지 특성 및 기술범위가. 세라믹연료전지나. 고온수전해(SOEC)와 탄소중립을 위한 양방향 세라믹연료전지 기술다. 양방향 세라믹 연료전지 기술의 우주 개척시대 활용(2) 고효율 양방향 세라믹 연료전지의 주요 소재·부품 기술 이슈가. ESC & ACS: 전해질 두께에 따른 제품 기술나. 고성능 이온전도성 전해질 소재 기술다. 양방향 세라믹 연료전지를 위한 고신뢰성 세라믹 전극 소재기술라. 단위전지/스택 제조 기술의 고도화 및 자동화 기술5) 국내외 연료전지 산업기술동향(1) 국내(2) 해외가. 미국 나. 일본다. 중국(3) 산업 동향6) 수소연료전지 시장동향 및 규제현황(1) 수소연료전지 시장 동향 및 전망가. 시장 규모나. 경쟁 현황(2) 국가별 연료전지 정책동향 및 규제현황가. 글로벌 정책 동향나. 글로벌 주요 R&D 정책 동향다. 국내 정책 동향7) 수소 연료전지시스템 특허동향과 기술경쟁력 분석(1) 특허동향 분석가. 연도별 출원동향나.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다. 주요 출원인 분석라. 해외 주요출원인 주요 특허 분석마. 국내 주요출원인 주요 특허 분석(2) 연료전지 국가별 경쟁력2. 수소·암모니아 발전(發電) 기술동향과 전망1) 탄소 중립을 위한 무탄소 발전의 활용2) 수소·암모니아 발전 기술 글로벌 동향(1) 발전 개요(2) 수소·암모니아 글로벌 동향가. 암모니아 수급나. 지정학적 리스크 측면다. 경제적 측면라. 정책적 측면(3) 수소·암모니아 가스터빈 기술 동향 및 전망(4) 국내, 수소·암모니아 발전 실증사업가. 민관합동 「수소·암모니아 발전 실증 추진단」 발족A) 해외 사례B) 수소·암모니아 혼소·전소 발전 상용화 계획나. `22년 「수소·암모니아 발전 로드맵」 마련3. 수소활용 발전사업 현황과 관련기술 동향1) 수소연료전지 발전 현황2) 수소 발전관련 추진사업 현황(1) 연료전지 기반 사업가. 연료전지 발전사업A) 연료전지 발전사업B) 연료전지발전용 그린수소 생산사업C) 부생수소 활용 연료전지 발전사업D) 주유소 내 연료전지 구축사업나. 연료전지 기반 기타사업A) 연료전지 활용 스마트팜 사업B) 가정건물용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스템 실증사업C) IoT 기반 전원 독립형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D) 소규모 그린수소 생산 공급사업(2) 수소 기반 발전사업가. 수소혼소 발전사업나. 수소가스터빈 발전사업3) 수소터빈/융·복합 발전 관련 기술개발(1) 해외가. 수소터빈나. 융·복합 발전(2) 국내제6장 수소 산업분야 활용과 수소 모빌리티 신기술 동향1. 산업분야 수소활용 기술개발 현황1) 수소 기반 환원 제철 공정과 전환 기술동향(1) 고로 환원 반응과 제선 기술 특징가. 탄소 및 수소에 의한 철광석 환원A) 일산화탄소(CO)에 의한 환원 반응B) 수소(H₂)에 의한 환원 반응나. 탄소계 고로 기반 공정 특성다. 고로기반 CO₂ 저감형 Hybrid 제철기술개발(`17~`24년)라. 수소환원 제철 공정 기술A) 수소환원 제철 공정 특성B) EU의 수소 환원 신제철 기술 개발C) 수소 환원 기반 일관제철소의 전환에 따른 에너지공급 체계의 변화2) 건설·산업기계용 수소엔진 기술동향(1) 수소엔진의 개념 및 특징(2) 수소엔진 기술 개발 동향(3) 수소엔진 시장 현황 및 전망2. 수소모빌리티 기술개발과 보급현황1) 수소자동차의 기술 현황(1) 수소전기차의 구동 원리 및 구조(2) 수소전기차의 기술개발 방향(3) 수소차의 주요 특성(4) 수소차의 연비 경쟁력2) 수소자동차 보급 정책분석(1) 수소자동차 보급 현황(2) 수소차 보급 목표(3) 수소충전소 현황 및 개선사항3) 수소차의 글로벌 기술전략과 기능부품 기술개발(1) 수소모빌리티의 글로벌 기술 선도 전력과 비전가. 현대자동차 ‘스택 고도화 기술’나. 포스코 ‘고성능 분리판 개발’다. 동양피스톤 ‘패키징 부품 경량화·소형화’라. 한양대학교 ‘단위셀 핵심기술’마. 현대로템 ‘수소전기트램 연료전지시스템 개발’바. 한국자동차연구원 ‘수소전기트램용 연료전지요소 부품 및 시스템 개발’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소트램의 안전성 기준 마련’(2) 수소상용차를 위한 고압ㆍ대유량 수소저장시스템의 기능부품 기술개발가. 요소부품 국산화와 대형 상용차 시장 경쟁력나. 요소부품 R&D 개발현황 글로벌 경쟁력(3) 수소전기차 vs 전기차 판매실적4) 수소트램 조기 상용화(1) 수소트램 특징 및 현황 (2) 사업 내용 및 향후 계획가. “수소트램 시스템 통합ㆍ검증기술” 분야나. “수소트램전용 수소연료전지 및 요소부품기술” 분야다. “수소트램 기술기준 및 주행성능평가기술” 분야라. “수소트램 실주행 환경 실증 및 운영기술” 분야5) 수소선박 개발현황과 산업전망(1) 수소선박 구성가. 수소선박나. 수소선박의 구성A) 연료 저장·공급 시스템B) 연료전지시스템C) 전기 추진·제어시스템(2) 해외 수소선박 개발 현황가. 미국나. 노르웨이다. 독일라. 네덜란드마. 스위스와 캐나다바. 영국사. 일본(3) 국내 수소선박 개발 현황가. 기업 수소선박 개발나. 지자체 수소선박 개발6) 수소 모빌리티 관련 사업현황(1) 수소 모빌리티 사업가. 수소차 카쉐어링 사업나. 수소 버스 실증사업다. 수소 택시 실증사업라. 수소전기트램 실증사업마. 수소 선박 실증사업바. 수소 선박 벙커링 사업(2) 액화수소 기반 수소 모빌리티 사업가. 수소 모빌리티(액화수소) 상용화 실증사업(3) 수소 모빌리티 임대사업가. 수소 트럭 PPU(Pay Per USE)사업나. 수소 모빌리티 임대사업다. 수소공급 대리점 사업제7장 국내외 수소도시 사업모델 및 안전관리1. 국내외 수소도시 실증사례 현황1) 국내 수소도시 개념과 추진현황(1) 수소도시 개념과 역할(2) 국내 수소도시 추진동향가. 울산A) 울산 수소타운B) 울산 수소시범도시 사업나. 안산 수소시범도시 사업다. 전주·완주 수소시범도시 사업라. 삼척 수소R&D 특화도시 사업마. 시사점2) 수소도시 관련 해외 동향(1) 일본 동향가. 기타큐슈 수소 타운나. 고베 수소 스마트 시티 계획다. 도쿄 올림픽 선수촌 정비사업(신재생에너지 정비계획)라. 환경성 수소사회 모델마. 수소 고속도로(2) 유럽 동향가. 독일다. 영국다. 덴마크 라. 네덜란드 (3) 호주 동향(4) 시사점2. 수소도시내 수소인프라 시설의 위험성 검토(가스누출, 화재, 폭발)1) 수소 관련 기술동향 및 안전사고 사례 분석(1) 국내 현황(2) 국외 현황2) 수소안전 분야 산업동향(1) 국외 동향(2) 국내 동향3) 수소안전 분야 기준 개정 동향(1) 국외 동향(2) 국내 동향4) 수소시범도시 안전성 강화방안(1) 기술 분야(2) 환경 분야(3) 사회 분야(4) 안전 분야(5) 경제 분야(6) 사업화 분야3. 수소 기반 건축물 구축 및 운영사업 현황1) 수소 교통복합기지 사업2) 수소 도시 시범사업3) 수소복합단지 구축사업4) 수소 전용 항만 구축사업5) 수소 주택 구축사업6) 수소도시 타운하우스형 주거모델 실증사업7)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한 에너지 주거플랫폼 사업도표/그림 목차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