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보건직은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 및 소속기관 등에서 근무하게 되며, 지방 보건직은 광역시 · 도 및 병원 그리고 시 · 군 · 구청과 보건소 및 보건의료원 등에서 행정업무와 함께 보건위생 등의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국가 보건직은 2004년 국립보건원이 질병관리본부로 확대 개편 이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 질병관리청으로 승격 및 개편되어 국가 보건직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으며, 지방 보건직도 채용인원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보건직 공무원이 되기 위해서는 준비해야 하는 과목들이 다양한데 직렬과 직류에 따라 준비해야 하는 과목이 다르다. 그중 보건행정학은 7 · 9급 국가직 및 7급 지방 보건직의 시험과목이므로 이 직렬을 목표로 하는 수험생들은 반드시 준비해야 하는 과목이다. 본서는 국가직 25문항, 지방직 20문항 출제 범위인 보건행정의 개념과 역사, 보건의료서비스, 보건행정조직, 인적자원관리, 보건정책 및 기획, 보건 경제, 사회보장과 의료보장, 보건사업및 평가, 병원관리, 의약분업 등을 포함하여 시험 준비에 부족함이 없도록 하였다.
본서는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영역의 핵심이론을 통해 시험을 처음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는 이론의 기반을, 기본 지식이 있는 학생들에게는 다시 한번 핵심내용들을 상기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기출문제가 지름길”이라는 명제로 국가직 및 서울시와 지방자치단체 등 국가기관에서 시행한 기출문제를 수록하고 해설하여 수험생들이 출제경향을 파악하도록 하였으며 예상문제와 모의고사를 통해 자가진단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