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의 딸이자 아내·엄마를 닮은,
우리 모두의 곁에 있을 한 사람의 이야기”
누적 공감 수 500만, 친구 소환 댓글이 폭풍처럼 달리는 화제의 인스타툰
올리는 에피소드마다 공감과 친구 소환 댓글이 주르륵 달리는 화제의 인스타툰, 육아툰인데 왜인지 미혼들이 많이 보는 만화, 모두가 자신의 이야기라고 말하는 만화, 10만 팔로워가 함께 웃고 울며 무수한 응원을 보내는 인스타툰 『아마도 모두의 이야기』가 드디어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임신 출산 육아를 다루면서도 ‘엄마가 아직 어색한 나’에 대한 고민이 짙게 녹아 있는 이 만화는 아모이의 첫 번째 단행본으로, 오롯이 혼자 겪어내야 해야 했던 임신 출산부터 온 가족이 육아에 함께 참여하며 새로운 가족 형태를 만들어가는 시간을 따듯하면서도 발랄하게 그려내었다.
‘1부 비슷하지만 단 하나인 임신 출산기’에서는 남편과 함께 임신을 계획하면서 완전히 다른 세계로 들어가는 과정을 담았다. 아기를 갖기 위해 노력하고 마침내 기다리던 임신을 하게 되었지만 상상과 달리 현실은 입덧과의 전쟁, 호르몬으로 인한 우울증, 의도치 않게 나오는 트름 등 난감한 일이 한가득하다. ‘2부 행복한 엄마이자 딸이자 내가 되어가는 중’에서는 본격 육아의 길을 걷게 되면서 엄마가 되어가는 자신의 모습에 괴리감을 느낀다. 과거의 나를 그리워하면서도 ‘엄마가 된 나’를 받아들이고 아이의 엄마로서도, 자신으로서도 행복해지는 방법들을 찾아가는 고군분투를 담아냈다. ‘3부 그렇게 가족이 된다’에서는 육아를 함께하게 된 남편과 친정 부모님이 각자 엄마, 아빠, 할머니, 할아버지라는 새로운 이름을 갖게 되고 서로의 관계가 변해가는 과정을 담았다.
페이지를 넘길수록 우리 모두의 곁에 있을 누군가의 딸이자 아내, 엄마가 떠오르기도 하고,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기도 한다. 아이를 키우는 일은 힘듦과 체념의 연속이지만 가족들은 점차 서로를 더 이해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맞닥뜨리는 모순적인 감정들에 대해 다시금 애정이 어린 시선으로 들여다보게 만든다. 결국 이 책은 제목처럼 모두의 이야기가 되는 아주 따듯한 가족 만화이다.
아기를 따라 다다른 그곳은
힘든데 행복한, 이상한 나라였습니다
분유와 동요가 가득한 육아 왕국의 좌충우돌 부모 모험기
친구들과 만나 노래방 가는 걸 좋아하고 하루 끝에 남편과 맥주를 마시며 산책을 하거나 짜파게티를 세 개씩 끓여 먹는, 평범하지만(?) 유쾌한 하루를 보내던 ‘아모이’의 일상이 하루아침에 변했다. 그저 아기를 낳았을 뿐인데 아모이를 둘러싼 세상이 바뀌어버린 것이다. 그곳에서 그의 호칭은 ‘새봄 엄마’가 되었고, 아침에 세운 계획에 맞추기보다 아기의 그날 컨디션에 따라 상황은 시시각각 변해야 한다. 남편과 드라이브하며 듣던 최신 가요는 멈추고 똑같은 동요 시리즈만 몇 시간째, 옷에는 아기의 침과 분유가 가득하다.
『아마도 모두의 이야기』는 작은 인간 하나로 인해 세상이 통째로 달라진 한 가족의 모험기를 담은 이야기이다. 특히 기존의 육아툰과는 달리 이 책은 아기를 통해 또 다른 가족의 형태가 되어가는 부모와 조부모의 성장통에 초점을 맞춘다. 아모이는 엄마가 되었지만 아직도 ‘엄마!’하고 울거나, 남편은 좋아하는 힙합을 포기하지 못해 엉엉 울거나, 할아버지는 손주를 돌보면서야 부족했던 자신의 육아관을 돌이켜 보는 등 가족들의 서툰 모습이 가득하다. 그런 모습을 보면 실패해서는 안 될 것 같은 육아도 사람이 하는 거였다는 생각이 새삼스럽게 든다. 이 책은 모두가 한때는 아이였고, 부모 역할은 누구나 처음이며 ‘부모’라는 이름을 받아들이기까지 고군분투는 당연하다고 말하는 한편, ‘아이를 길러내는 일’로 함께 모인 사람들이 성장해 가는 과정은 힘들지만 사랑스러우면서 뭉클하다고 말한다. 『아마도 모두의 이야기』에는 이 양가적인 감정에 대해 깊이 고민한 흔적들을 담았다. 그리고 그 흔적은 수백만 개의 공감과 댓글로 이어져 독자들이 나서서 ‘아마도 모두의 이야기’라고 말하는 작품이 되었다. 엄마가 되어가는 쇠털같이 보편적이고 평범한 나날을 담아낸 이 만화는 독자들과 만나 정말로 ‘아마도 모두의 이야기’로 거듭날 수 있었다.
『아마도 모두의 이야기』를 위해
독자들이 직접 쓴 추천사
“누군가의 딸이자 아내, 엄마를 닮은, 우리 모두의 곁에 있을 한 사람의 이야기”
(soo_be****)
“내가 보지 못한 부모님의 젊은 날을 상상하며 기혼자에겐 공감을, 미혼자에게는 이해를!”
(raongo****)
“‘아마도 나만의 이야기’라고 매일을 힘들어하는 우리에게 ‘아마도 모두의 이야기’가 되어주는 책”
(_eum_x****)
“혼자 뛰는 마라톤인 줄 알았던 엄마의 초행길이 아마도 모두의 이야기와 손을 잡고 걷기 시작할 때부터 산책길이 되었다” (_park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