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흩날리는 흙먼지
1. 혼란의 시작
십상시(十常侍)/봉기(蜂起)/종풍이미(從風而靡)/부관참시(剖棺斬屍)/도원결의(桃園結義)
2. 무너져가는 한(漢)
매관매직(賣官賣職)/엄목포작(掩目捕雀)/복수불반(覆水不返)/양탕지비(揚湯止沸)
3. 동탁의 농권
망탁조의(莽卓操懿)/인중여포 마중적토(人中呂布 馬中赤兔)/양금택목(良禽擇木)/입조불추(入朝不趨)
4. 일어나는 호걸들(上)
영아부인 무인부아 (寧我負人 毋人負我)/사세삼공(四世三公)/치주고회(置酒高會)
5. 일어나는 호걸들(下)
우도할계(牛刀割鷄)/제랑득호(除狼得虎)/몽진(蒙塵)/영아재고장(嬰兒在股掌)
6. 흩어지는 영웅들
원교근공(遠交近攻)/왕좌지재(王佐之才)/무주공산(無主空山)/고립무원(孤立無援)
7. 동탁의 최후
분골쇄신(粉骨碎身)/절영지회(絶纓之會)/개세영웅(蓋世英雄)/만세가무(萬歲歌舞)/각자도생(各自圖生)
2장. 호걸들의 각축
1. 조조와 도겸의 악연
불공대천(不共戴天)/경천위지(經天緯地)/부정모혈(父精母血)/총중고골(塚中枯骨)
2. 헌제의 여정
난신적자(亂臣賊子)/초근목피(草根木皮)/임기응변(臨機應變)/부유설검(腐儒舌劍)
3. 물고 물리는 싸움
구호탄랑(驅虎呑狼)/원문사극(轅門射戟)/누란지위(累卵之危)/도탄(塗炭)
4. 조조와 장수의 대결
단병접전(短兵接戰)(1)/망매지갈(望梅止渴)/사지즉전(死地則戰)
5. 여포와 공손찬의 최후
이란격석(以卵擊石)/반복무상(反覆無常)/좌대이멸(坐待夷滅)
6. 원술의 말로
도광양회(韜光養晦)/홍문지회(鴻門之會)/투서기기(投鼠忌器)/농중조 망중어(籠中鳥 網中魚)/갈사밀수(渴思蜜水)
7. 손책의 흥기(興起)
신원설치(伸寃雪恥)/심구고루(深溝高壘)/곡유오 주랑고(曲有誤 周郎顧)/국색(國色)
3장. 황하에 이는 물결
1. 관도를 뒤덮은 전운
만전지책(萬全之策)/패왕지기(霸王之器)/난우지기(難遇之機)/간뇌도지(肝腦塗地)
2. 관도에서의 다툼
탐낭취물(探囊取物)/오관참육장(五關斬六將)/승부변화 불가불상(勝負變化 不可不詳)/위위구조(圍魏救趙)/입추지지(立錐之地)
3. 손권의 등장
개문읍도(開門揖盜)/신역택군(臣亦擇君)/박학다식(博學多識)/회귤유친(懷橘有親)/덕윤용서(德潤傭書)
4. 반목하는 형제
승승장구(乘勝長驅)/경국지색(傾國之色)/전재현상(箭在弦上)/아연실색(啞然失色)/명실상부(名實相符)
5. 원가(袁家)의 패망
궁구막추(窮寇莫追)/병귀신속(兵貴神速)/논공행상(論功行賞)
6. 조조의 고질병
신상필벌(信賞必罰)/창서칭상(倉舒稱象)/호서배(狐鼠輩)/불능증손(不能增損)
4장. 장강에 부는 바람
1. 유비와 제갈량의 만남
비육지탄(髀肉之歎)/복룡봉추(伏龍鳳雛)/삼고초려(三顧草廬)/단사호장(簞食壺漿)/유어득수(猶魚得水)
2. 형주로 향하는 칼끝
부중지어(釜中之魚)/만인지적(萬人之敵)/금파옥액(金波玉液)/삼촌지설(三寸之舌)
3. 적벽에 치솟는 불길(上)
강노지말(强弩之末)/부신구화(負薪救火)/세불양립(勢不兩立)/고육지책(苦肉之策)
4. 적벽에 치솟는 불길(下)
인사불성(人事不省)/수륙병진(水陸竝進)/허장성세(虛張聲勢)/담소자약(談笑自若)
5. 유비의 형주 임차
교룡득운우(蛟龍得雲雨)/부중치원(負重致遠)/백리지재(百里之才)/백미(白眉)
6. 여몽의 각성
수불석권(手不釋卷)/괄목상대(刮目相對)/불입호혈 부득호자(不入虎穴 不得虎子)
5장. 서쪽으로 번진 불길
1. 유장의 선택
여반장(如反掌)/교토삼굴(狡兔三窟)/양약고구(良藥苦口)/순치지국(脣齒之國)
2. 유비의 익주 공략
고장난명(孤掌難鳴)/안색불변(顔色不變)/방약무인(傍若無人)/양질호피(羊質虎皮)
3. 익주 점령 그 이후
두문불출(杜門不出)/애자지원(睚眥之怨)/숙맥불변(菽麥不辨)
4. 조조와 마초의 다툼
병불염사(兵不厭詐)/전화위복(轉禍爲福)/낭패(狼狽)
5. 조조의 후계 구도
금의야행(錦衣夜行)/묵묵부답(黙黙不答)/좌고우면(左顧右眄)
6.형주 영토 분쟁과 조조의 한중 공략
단도부회(單刀赴會)/낭발(狼跋)/박장대소(拍掌大笑)/득롱망촉(得隴望蜀)/선공후사(先公後私)
6장. 셋으로 나뉜 땅덩이
1. 한중을 둘러싼 공방
초잠식지(稍蠶食之)/인후지지(咽喉之地)/금고진천(金鼓振天)/중과부적(衆寡不敵)/계륵(鷄肋)
2. 관우의 최후
단병접전(短兵接戰)(2)/도불습유(道不拾遺)/탄환지지(彈丸之地)
3.조조의 최후와 조비의 즉위
선견지명(先見之明)/칠보성시(七步成詩)/참사기의(斬蛇起義)/좌불안석(坐不安席)
4. 위문제 조비
즐풍목우(櫛風沐雨)/십중팔구(十中八九)/유방백세(流芳百世)/위호부익(爲虎傅翼)
5. 오(吳)의 위기
거재두량(車載斗量)/고침안면(高枕安眠)/토붕와해(土崩瓦解)/승부재장(勝負在將)
6. 유비의 최후
언과기실(言過其實)/고굉지력(股肱之力)/해로동혈(偕老同穴)
7장. 제갈량의 분투
1. 제갈량의 남방 평정
공심위상(攻心爲上)/칠종칠금(七縱七擒)/경거망동(輕擧妄動)
2. 제갈량의 기산 출병
존망지추(存亡之秋)/조수불급(措手不及)/수미상응(首尾相應)/구상유취(口尙乳臭)/읍참마속(泣斬馬謖)
3. 위(魏)와 오(吳)의 다툼
호사수구(狐死首丘)/전전반측(輾轉反側)/천재일우(千載一遇)
4. 계속되는 기산 공방
동량지재(棟梁之材)/백발백중(百發百中)/복중린갑(腹中鱗甲)
5. 오장원에서의 대결
이일대로(以逸待勞)/모사재인 성사재천(謀事在人 成事在天)/숙흥야매(夙興夜寐)/식소사번(食少事煩)
6. 제갈량의 최후
위분지체(位分之體)/혼비백산(魂飛魄散)/신상미한(身尙未寒)/좌임(左衽)
8장. 빼앗는 자와 빼앗긴 자
1. 조예의 행보
화중지병(畫中之餠)/대기만성(大器晩成)/구우일모(九牛一毛)/격지원유(格之遠猷)
2. 위(魏)와 촉(蜀)의 다툼
기각지세(掎角之勢)/무공이환(無功而還)/낭고(狼顧)/일거양득(一擧兩得)
3. 사마씨와 조씨의 대결
명재단석(命在旦夕)/유예미결(猶豫未決)/부가옹(富家翁)/지피지기(知彼知己)/진심갈력(盡心竭力)
4. 제갈각의 성쇠
남전생옥(藍田生玉)/골육상잔(骨肉相殘)/긍기능인(矜己陵人)
5. 이어지는 혼전
화사첨족(畫蛇添足)/오합지졸(烏合之卒)/경적필패(輕敵必敗)/전국위상(全國爲上)/구양입호(驅羊入虎)
9장. 분구필합(分久必合)
1. 촉(蜀)의 패망
농권(弄權)/출기불의(出其不意)/무인지경(無人之境)/면박여츤(面縛輿櫬)/석권(席卷)
2. 촉 패망 그 이후
백기지혹(白起之酷)/군자표변(君子豹變)/낙불사촉(樂不思蜀)/읍양이선(揖讓而禪)
3. 죽림칠현의 출현
혜금완소(嵇琴阮嘯)/백안시(白眼視)/군계일학(群鷄一鶴)
4. 기울어지는 오(吳)
복소파란(覆巢破卵)/송구영신(送舊迎新)/순망치한(脣亡齒寒)/금수강산(錦繡江山)/조불급석(朝不及夕)
5. 진(晉)의 통일
양육지교(羊陸之交)/사직지신(社稷之臣)/좌전벽(左傳癖)/파죽지세(破竹之勢)
6. 번외 이야기
개과천선(改過遷善)/폐월(閉月)/형설지공(螢雪之功)
부록1. 삼국시대 이전 간략 연표
부록2. 삼국시대 연표
부록3. 고사성어 독음색인
부록4.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