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나는 문인화 입니다

나는 문인화 입니다

  • 권윤희
  • |
  • 유니랩
  • |
  • 2022-09-05 출간
  • |
  • 421페이지
  • |
  • 148 X 225 mm
  • |
  • ISBN 9791197162398
판매가

29,000원

즉시할인가

26,1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6,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문인화의 개념은 무엇일까? 쉽게 정의될 수 없고 접근할 수도 없는 개념이다. 흔히 문인화는 문인예술의 정수라 한다. 문인화는 말 그대로 문인의 그림이다. 문인적인 그림이 아닌 문인의 그림이다. 즉, literary painting이 아닌 literati painting이다. 여기에서 만나게 되는 개념이 곧 문인이다. 문인은 시인이 될 수도 있고 때로는 학자도 될 수 있고 선비가 될 수 있다.
문인의 개념은 시간이 흘러도 항시 고매함이라는 선입견이 함께 담겨있다. 그러므로 문인의 그림은 격이 있다고 간주 된다. 시대가 흘러 정보가 넘쳐흐르는 현대에 와서도 문인화라는 예술 장르는 오히려 더 많이 불리고 있다. 이는 공모전에도 문인화 장르가 있으며 문인화전이라고 하여 열리는 개인전을 보아서도 알 수 있다. 이처럼 문인화는 현대에 들어와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어 일정한 영역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문인화에 대한 개념은 사실상 고민이 없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문인화가라고 불리는 이들의 그림이 보통 그림과 거의 구별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문인화는 무엇인가? 문인화의 특질은 무엇인가? 이에 대한 고민이 필자가 본서를 집필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통상 일반적인 개념의 문인화는 곧 인품과 학문을 바탕으로 하여 餘技와 墨戱에 의하여 드러나는 그림을 뜻한다. 그리고 대부분 이 그림은 뜻을 그리는 사의성에 바탕을 둔다. 표현은 주로 수묵으로 하며 拙과 樸의 미학범주가 대부분이다. 이는 곧 졸박과 해학이라는 미학코드이다. 이를 통하여 향유하는 심미경계는 곧 여유와 쉼의 경계이다.
문인화는 개념과 가치뿐 아니라 심미의 경계에 대한 고찰도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문인화의 개념과 본질에 대한 회복뿐 아니라 심미경계의 확장에 접근하고자 한다.
문인화가 가지고 있는 그 함의와 가치는 무한히 넓다. 그러므로 유가 문인예술의 일반적인 특징과 형성 배경을 비롯하여 문인화의 개념과 본질의 파악이 중요하다. 나아가 문인 정신의 구현은 문인화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과 본질로 간주하고 이에 대하여도 살펴보고자 한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것은 곧 예술에 대한 안목이 있어야 가능하다. 즉, 예술의 이해가 전제되어야 제대로 감상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문인화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이를 위해서 기본적인 동양 미학의 개념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동양 예술은 기본적으로 시간이 지나야 얻어지는 熟의 예술이다. 숙은 곧 반복을 통한 연습이다. 이는 동양 예술의 일반적인 정형이다. 이러한 개념은 곧 化의 경계이다. 즉, 化境은 동양 예술이 지향하는 경계이다. 따라서 이러한 화경에 대한 판단 기준과 이를 감수하는 전제와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문인화의 심미 체험에 대한 원리와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동양 예술은 주로 유·도가의 철학과 미학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유·도가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즉, 유가의 미학은 樂을 통한 凝視라 할 수 있다면 도가의 미학은 遊을 통한 초탈이라 할 수 있다. 문인화 미학도 이러한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일찍이 명대의 동기창은 남종화의 개념에 대하여 제기한 바 있다. 이 개념은 세대와 시대를 거쳐 변화되고 오늘에 문인화의 개념으로 펼쳐지게 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하여 오늘날 문인화에 대한 관점을 고민하여 보았다. 이는 결국 ‘문인화는 문인의 그림이다’라는 정의의 발견이다. 즉, ‘문인적인 그림이 아니라 문인의 그림이다.’라는 정의이다.

결론은 문인의 의미에 있다. 문인의 의미를 모르는 사람은 없다. 문인 화가라고 칭하는 작가들은 모두가 스스로가 문인의 격과 자세를 유지하면서 그림에 임한다면 결국 문인 화가라 할 수 있다는 결론이다. 문인화는 작품의 소재나 채색, 장르가 문제가 아니라 작가 스스로가 문인적인 입장에서 그림에 임하는가에 따라 판단되어야 한다는 결론이다.
현대는 다변화되고 변화의 속도는 끝이 없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우리 동양 문화의 정신 문물인 문인화의 격조성과 고결성은 아무리 강조되어도 부족하지 않다. 그러므로 문인화 발전의 모색은 결국 문인화에 대한 개념의 정립에 있으며 이는 결국 문인화라는 예술 장르의 본질을 발견하고 이를 회복하는 바에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입장에서 필자의 조그만 노력이 문인화 장르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목차


Ⅰ. 서론
1. 유가 문인예술의 특징
1) 유가 문인예술의 개요
2) 유가 문인예술의 특징
2. 유가 문인예술의 형성
1) 유가 문인예술의 발현 방법
2) 문인화의 유가 문인 예술성

Ⅱ. 문인화의 개념과 본질
1. 문인화의 개념
1) 문인화의 정의
2) 문인화의 기원
2. 문인화의 본질
1) 학문과 인품
2) 시서화의 융합
3) 문인 정신 구현

Ⅲ. 문인화 심미의 前提
1. 意趣의 개념
1) 意와 寫意
2) 의취 개념
2. ‘似’의 恣意性
1) 形似·神似 개념의 성립 근거
2) 형사·신사 개념의 모호성
3. 문인화에서 ‘化’ 경계
1) 문인화에서 ‘化’ 경계의 타당성 판단 기준
2) 문인화의 특성과 사의성의 상관관계
3) 문인화의 感受와 심미의 미학 범주

Ⅳ. 문인화 심미의 機制
1. 심미 체현의 방법과 과정
1) 심미 체현의 방법
2) 심미 체현의 과정
2. 동양 예술에서 ‘化’의 개념
1) ‘化’의 미학적 의미
2) 동양 예술에서 ‘화’ 경계의 전제조건

3. 意趣의 조건과 그 상징
1) 의취의 조건
2) 의취의 상징

Ⅴ. 문인화의 심미 체험
1. 심미 체험의 원리
2. 심미 체험의 특징
3. 감성 지능의 활용
1) 감성 지능의 眞情
2) 감성 지능의 역할
3) 동양예술의 감성 지능적 심미 체험
(1) 동양예술의 심미 특성
(2) 동양예술의 심미경계 체득
(3) 감성 지능적 심미 체험의 효용
4. 풍죽 문인화의 심미체험
1) 풍죽 문인화의 미학 요소와 형성의 基底
2) 풍죽 문인화 미학의 심미기준
(1) 풍죽 문인화의 미학요소
(2) 풍죽 문인화 미학의 심미기준
(3) 선비풍류의 본질과 조건
3) 풍죽 문인화 미학의 심미이상
(1) 유가 미학의 比德 체현
(2) 선비정신의 구현
5. 〈梅花書屋圖〉의 심미체험
1) 매화서옥도의 형성배경
2) 매화서옥도의 심미요소
6. 〈不作蘭圖〉의 ‘化’ 경계의 심미 체험
1) 화제의 예술철학
(1) 閉門覓覓과 偶然寫出의 積工예술
(2) 性中天과 不二禪의 儒·佛 渾融 철학
2) 부작난도의 문인화 미학
(1) 추사의 문자향적 고졸미감
(2) 강암의 탈중화적 광일미감
7. 名文人畵의 심미 체험
1) 神會荒凉美 : 추사 김정희의 〈歲寒圖〉
2) 淸越隱秀美 : 연담 김명국의 〈探梅圖〉
3) 自適之適美 : 낙파 이경윤의 〈月下彈琴圖〉
4) 意趣疏散美 : 호생관 최북의 〈空山無人圖〉
5) 風韻澹泊美 : 연객 허필의 〈指頭畵〉

Ⅵ. 문인화의 심미 구현
1. 유·도가 미학의 심미 구현 방법
1) 樂을 통한 凝視
2) 遊을 통한 超脫
2. 유ㆍ도가 공존의 이상 경계 구현
1) 待對와 相補의 철학 경계
(1) 大同社會와 無何有之鄕의 共存
(2) 修身과 安身의 共存
2) 천인합일과 정경합일의 미학 경계
(1) 유가의 천인합일의 경계
(2) 도가의 정경합일의 경계
3. 선비 풍류 이상향 구현
1) 풍죽 문인화의 이상 경계
2) 풍죽 문인화의 선비 풍류적 요인
4. 유가 문인예술의 선비정신 구현
1) 유가 문인예술의 지향
(1) 사의성의 추구
(2) 정신성의 추구
(3) 유·도가 미학의 혼융 추구
2) 선비정신의 형성
(1) 선비의 개념
(2) 조선조 유가 문인의 선비정신
(3) 선비정신의 미학적 범주
3) 선비정신의 예술적 구현
(1) 예술의 심미 체험
(2) 조선 문인예술의 선비정신 체현
4. 명문인화가 심미안의 본질
1) 추사 김정희의 심미관
(1) 實事求是의 심미추구
① 詩ㆍ書ㆍ畵ㆍ三絶의 추구
② 문자향, 서권기의 추구
(2) 추사 문인화의 본질
2) 운림 예찬의 심미관
(1) 예찬 심미안의 근저
① 老莊사상
② 禪사상
③ 도교사상
④ 일기論
(2) 예찬 심미안의 경계
(3) 예찬 문인화의 본질

Ⅶ. 문인화 화맥의 형성
1. 운림산방의 문인화맥
1) 운림산방의 화맥 형성
2) 운림산방의 기원
(1) 초의와 소치의 佛緣
(2) 초의·추사와 유산의 友緣
(3) 다산·초의·추사의 茶緣
(4) 추사와 소치의 學緣
3) 운림산방의 미학적 특질
(1) 感物逸趣의 미학
(2) 取境移情의 미학
(3) 通變神遇의 미학
4) 운림산방의 화맥

2. 강암의 풍죽 문인화 화맥
1) 강암의 풍죽 문인화 화맥 형성
(1) 간재학파의 예술 인식
(2) 간재학파 예술의 심미 지향
가. 凝神節義의 저항성
나. 淸揚載道의 선비성
다. 心得意會의 예술성

2) 유재의 박물 세계 형성의 기저
(1) 박물 세계 형성의 師承的 背景
(2) 철학적 배경

3) 강암 풍죽의 형성 요인
(1) 先考의 訓導와 家學
(2) 석정의 예술과 미학
(3) 간재의 사상과 철학

4) 강암 풍죽 미학의 特質
(1) 강암 풍죽의 간재 성리학 ‘理’개념 구현
(2) 강암 풍죽 미학의 특징

5) 강암 풍죽의 傳承
(1) 강암 서예술 傳承의 기저
(2) 강암 서맥의 형성
(3) 강암 학맥의 형성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