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명심보감과 격몽요결

명심보감과 격몽요결

  • 추적 ,이이
  • |
  • 자유문고
  • |
  • 1996-08-15 출간
  • |
  • 296페이지
  • |
  • 148 X 210 mm
  • |
  • ISBN 9788970300320
판매가

6,000원

즉시할인가

5,4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5,4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개 요

마음을 밝혀주는 보배로운 거울이라는 명심보감과 공부하는 지침을 가르쳐 주는 격몽요결, 학교의 운영과 학생들의 행동에 대한 모범안을 보여주는 율곡 이이(李珥) 선생의 학교모범으로 이루어졌다.

“공자의 ‘삼계도(三計圖)’에 쓰여 있다. ‘일생의 계획은 어릴 때에 있고 1년의 계획은 봄에 있고 하루의 계획은 새벽에 있는 것이다. 어려서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아는 것이 없는 것이요, 봄에 밭을 갈지 않으면 가을에 바랄 것이 없는 것이요, 새벽에 일어나지 않으면 그 날에 할 일이 없는 것이다.’” (본문 가운데에서)

서문: 『명심보감』『격몽요결』이란 어떤 책인가?

‘마음을 밝혀주는 보배로운 거울’이라는 뜻의 『명심보감(明心寶鑑)』은 동양의 여러 고전 가운데에서 인격수양에 필요한 가장 근본적인 격언이나 명언을 뽑아 엮은 책이다.

그 내용은 유가(儒家)나 도가(道家)를 가리지 않고 잡가(雜家)에 이르기까지 선택하여 일상의 삶속에서 벌어지는 여러 가지 사실에 있어 어떤 것이 바른 것인가를 스스로 깨닫게 하고 그 바른 길을 좇아 행할 수 있게 가르친 인격을 함양하고 자신을 수양하는 ‘보배로운 거울’이다.

이 『명심보감』을 우리들은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학자 추적(秋適)이 지은 것으로 알고 있었으나 근래 성균관대 이우성(李佑成) 교수가 명나라 학자 범입본(范立本)이 지은 『명심보감』을 발견하면서 추적이 그 방대한 양의 범입본 『명심보감』에서 초략(草略)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그 내용은 선(善)을 강조한 계선편(繼善篇), 하늘의 명령은 준엄한 것이라는 천명편(天命篇), 천명을 따르라는 순명편(順命篇), 모든 것의 기본은 효라는 효행편(孝行篇), 자신의 몸을 바르게 가지는 방법을 말한 정기편(正己篇), 자신의 분수를 지켜 편안하라는 안분편(安分篇), 자신의 마음을 잘 보존해야 한다는 존심편(存心篇), 본심은 본성(本性)에서 나오는 것이니 항상 경계하여 지켜야 한다는 계성편(戒性篇), 자신을 경계하기 위해서는 배워야 하기에 부지런히 배우라는 근학편(勤學篇), 자식도 가르치라는 훈자편(訓子篇),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항상 마음을 살피라는 성심편(省心篇). 가르침을 세우라는 입교편(立敎篇), 벼슬자리에 나아가 바르게 다스리라는 치정편(治政篇), 집안도 올바르게 다스리라는 치가편(治家篇), 의(義)로 바른 인간관계를 가져 편안하라는 안의편(安義篇), 언제 어느 때나 예의를 지키라는 준례편(遵禮篇), 언어의 바른 사용과 폐해를 살피라는 언어편(言語篇), 바른 교우관계는 몸을 닦는데 도움이 된다는 교우편(交友篇), 부인의 바른 행실을 말한 부행편(婦行篇) 등 20편으로 되어있었다. 그 뒤 어느 시대인지 알 수 없으나 어떤 학자가 5편을 증보하여 현재의 우리 『명심보감』은 25편으로 되어있다.

‘무지몽매한 것을 쳐 깨뜨리는데 요긴한 비결’이라는 『격몽요결(擊蒙要訣)』은 조선조 유명한 학자인 율곡(栗谷) 이이(李珥) 선생이 1577년(선조 10년)에 해주(海州) 석담(石潭)에서 지었다.

『격몽요결』은 율곡 선생이 서문에서 ‘학문의 길에 막 들어선 이들이 어느 방향으로 어떻게 공부해 나갈지 몰라 방황하고 당혹해 하는 것을 보고 그들에게 공부하는 바른 길을 인도해 주기 위해 지은 것이다.’ 라고 밝혔듯이 모든 내용이 주로 독서하고 학문하는 데 있어서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뜻을 세우라는 입지장(立志章)에서 시작하여 나쁜 옛 습관을 버리라는 혁구습장(革舊習章), 몸가짐을 바르게 하라는 지신장(持身章), 독서의 바른 차례를 말한 독서장(讀書章), 어버이 섬기는 방법을 밝힌 사친장(事親章), 상제(喪制)에 관한 상제장(喪制章), 제례(祭禮)에 관한 제례장(祭禮章), 집안에서의 행동에 관한 거가장(居家章), 사람과 사귈 때의 처세에 관한 접인장(接人章), 세상을 사는 몸가짐과 마음가짐을 밝힌 처세장(處世章)으로 되어 있다. 또 부록으로 율곡 선생이 지은 학생이 행해야 할 행동모범을 적은 ‘학교모범’도 함께 실었다.


목차


『명심보감』『격몽요결』은 어떤 책인가?/3

명심보감(明心寶鑑)/15

제1편 선을 계승하다(繼善篇)/17
1. 복(福)과 재앙(災殃)/17
2. 좋은 일은 조그마한 것이라도 하라 /17
3. 하루라도 착한 일을 하지 않으면/18
4. 악한 것을 듣거든 귀머거리 같이 하라/18
5. 좋은 일은 오히려 만족하지 못한다/19
6. 남모르게 많은 덕을 쌓아야 한다 /20
7. 원수나 원한을 맺지 말라/21
8. 악하게 하는 자도 착하게 대하라/21
9. 하루라도 나쁜 일을 행한다면/22
10. 악은 끊는 물을 만지는 것과 같이 하라/23

제2편 하늘의 명(天命篇)/24
1. 하늘의 명에 순종하는 자는 산다/24
2. 모든 것은 사람의 마음속에 있다/24
3. 신령의 눈은 번개와 같다 /25
4. 하늘이 반드시 벤다/25
5. 오이씨를 심으면 오이를 얻는다/26
6. 하늘에게 죄를 얻으면/26

제3편 운명에 순응하다(順命篇)/27
1. 부자가 되고 귀하게 되는 것은 하늘에 있다/27
2. 운이 가면 천복비에 벼락이 떨어진다/27
3. 부귀는 운명에 말미암는다/28

제4편 효도를 행하다(孝行篇)/30
1. 그 깊은 은혜를 갚고자 한다면/30
2. 제사에는 그 엄숙함을 다한다/30
3. 불효한 자는 불효자를 낳는다/31

제5편 몸을 바르게 하다(正己篇)/33
1. 나의 악한 것을 찾아라/33
2. 남을 용서하는 대장부(大丈夫)/33
3. 용맹을 믿고 적을 가볍게 여기지 말라/34
4. 남의 허물은 말하지 말라/34
5. 착한 사람 보기를 즐겨하라/35
6. 부지런히 일하는 것은 귀중한 것이다/36
7. 욕심을 없애기는 쉽다/36
8. 경계할 것은 여색(女色)에 있다/37
9. 기운이 약하면 병이 난다/38
10. 음식이 깨끗하면 정신이 상쾌하다/38
11. 욕심을 막는 데는 물 막듯이 하라/39
12. 밤중에 밥을 먹지 말라/39
13. 쓸데없는 말과 급하지 않은 일/40
14. 술 취한 가운데도 말이 없으면 참다운 군자/41
15. 자신의 입이 더러워진다/41
16. 눈으로 남의 결점을 보지 말라/42
17. 기뻐하고 성내는 것은 마음속에 있다 /43
18. 낮잠을 자는 재여(宰予)/44
19. 복은 검소하고 맑은 곳에서 생긴다/44

제6편 분수에 편안하다(安分篇)/48
1. 욕심이 많으면 근심이 있다/48
2. 겸손하면 이득을 얻는다/49
3. 세상 돌아가는 기틀을 잘 알면/49

제7편 마음에 두고 잊지 않다(存心篇)/51
1. 방촌(方寸)의 마음을 제어한다면/51
2. 세상 사람들은 푸른 하늘의 뜻을 알지 못한다/51
3. 자기를 용서하는 마음으로 남을 용서한다/52
4. 천하의 부자라도 겸손해야 한다/53
5. 은혜를 베풀면 보답을 구하지 말라/53
6. 행동은 방정해야 한다/54
7. 입을 지키는 것은 병과 같이 하라/55
8. 병이 들었을 때 뉘우친다/56
9. 성품이 안정되면 나물국도 향기롭다/57
10. 그 자손에게는 어찌할 것이요/58

제8편 성품을 닦다(戒性篇)/60
1. 작은 일이 크게 된다/60
2. 모든 행동의 근본은 참는 것이 으뜸이다/61
3. 모든 일에 인자스럽고 따뜻한 정을 남겨두면/64

제9편 부지런히 배우자(勤學篇)/66
1. 널리 배우고 뜻을 두텁게 가져라/66
2. 높은 산에 올라 천하를 바라본다/66
3. 사람이 배우지 않으면 의(義)를 모른다/67
4. 배우지 않으면 어두운 밤길을 가는 것 같다/67
5. 말과 소에 옷을 입힌 것과 같다/68
6. 부지런히 배우면 이름이 더욱 빛난다/68
7. 세상의 큰 보배이다/69
8. 배우기는 다하지 못한 것과 같이 한다/70

제10편 자식을 가르치다(訓子篇)/71
1. 손님이 오지 않으면 집안이 저속해진다/71
2. 작은 일이라도 하지 않으면 이루어지지 않는다/71
3. 자식에게 천금을 물려준들/72
4. 집안에 지혜로운 아버지와 형이 없다면/73
5. 엄한 아버지는 효자를 길러내고/73

제11편 마음을 살피다 上(省心篇上)/75
1. 아내가 어질기 때문이다/75
2. 미래를 알려고 한다면/77
3. 사람에게는 아침저녁으로 재앙과 복이 있다/78
4. 스스로 믿는 자는 남도 믿는다/79
5. 범의 모양은 그릴 수 있으나 뼈는 그리기 어렵다/80
6. 앞일을 점칠 수 없는 것이 인간이다/81
7. 굶주리고 추운 곳에서는 도심(道心)이 일어난다/82
8. 가난하면 지혜가 짧아진다/82
9. 사향을 지니고 있으면 저절로 향기롭다/84
10. 천금보다 더 나은 것은/85
11. 술은 성공과 실패를 얻는 것/87
12. 거친 옷과 거친 음식을 부끄럽게 여기는 자는/88
13. 땅은 이름 없는 풀을 기르지 아니한다/89
14. 걱정이 없다고 말하지 말라/90
15. 꽃은 떨어졌다 피고 피었다가 또 진다/90

제12편 마음을 살피다 下(省心篇下)/94
1. 어질지 못한 것에서 일어나는 것/94
2. 나라와 집안이 오래가는 방법/95
3. 후손에게 영화가 있으리라/96
4. 그 아비를 알려면 먼저 그 자식을 살펴라/98
5. 물이 지극히 맑으면 고기가 없다/98
6. 도둑은 밝게 비치는 것을 싫어한다/99
7. 죄를 받는 것도 복이 적은 사람이 걸린다/99
8. 아내가 어질면 남편에게는 재앙이 적다/101
9. 나무는 먹줄을 좇으면 곧다/101
10. 다시 거두어들일 사람은 뒤에 있다/102
11. 까닭 없이 천금을 얻으면 재앙이 있다/102
12. 내가 남을 해롭게 하면 이것이 화다/103
13. 아랫사람이 순종하며 풍속이 맑다/105
14. 화를 당하지 아니한 자가 드물다/106
15. 모든 사람의 입맛을 맞추기는 어렵다/106
16. 먼 곳의 물은 가까운 곳의 불을 못 끈다/107
17. 조심하는 집안의 문에는 재앙이 없다/108
18. 신선 같이 죽지 않는 방법/109

제13편 가르침을 세우다(立敎篇)/111
1. 나라를 지키는 데도 도가 있다/111
2. 정치를 하는데 있어 긴요한 것은/112
3. 일생의 계획은 어릴 때에 있다/112
4. 다섯 가지 조목과 세 가지 벼리/113
5.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114
6. 관리가 다스리는 데에는/114
7. 장사숙의 좌우명 14가지/115
8. 범익겸(范益謙)의 좌우명(座右銘)/116
9. 부자가 못된 자는 집에 열 가지 도둑이 있다/119
10. 열 가지 도둑이란 무엇입니까/120
11. 세 가지 소모하는 것이 있어서입니다/121
12. 스스로 재앙을 부르는 것이다/122
13. 그 열 가지를 듣기를 원합니다/123

제14편 정사를 다스리다(治政篇)/125
1. 남에게도 도움을 받을 일이 있다/125
2. 푸른 하늘을 속이기는 어렵다/125
3. 나라 일 처리하기를 내 집안 일 같이 한다/126
4. 어찌 사람을 움직이지 못할 것인가/128
5. 그들의 뜻을 펴게 하는 것이다/129
6. 도끼를 맞더라도 바른 길로 간한다/130

제15편 집안을 다스리다(治家篇)/131
1. 살림살이는 검소하게 하라/131
2. 어리석은 사람은 아내를 두려워한다/131
3. 집안이 화목하면 만사가 이루어진다/132
4. 집안의 흥망성쇠를 알다/133
5. 혼인하고 장가드는 데 있어서는/133

제16편 의에 편안하다(安義篇)/134
1. 모든 것은 삼친(三親)에 근본한다/134
2. 형제는 수족과 같고 부부는 의복과 같다/135
3. 가난하다고 멀리하지 않는 것은/135

제17편 예절을 따르다(遵禮篇)/136
1. 군대에 예절이 있으면 무공(武功)이 이루어진다/136
2. 나라를 잘 다스리는 것은 덕뿐이다/137

제18편 언어(言語篇)/139
1. 말이 이치에 맞지 않으면/139
2. 말은 혀를 베는 칼과 같다/139
3. 술은 뜻이 맞으면 천 잔도 적다/140

제19편 벗을 사귀다(交友篇)/142
1. 군자는 그 처(處)하는 곳을 삼가야 한다/142
2. 무식한 사람과 동행을 하면/143
3. 사람 사귀기를 잘한 안평중(晏平仲)/143
4. 의리 없는 친구는 사귀지 말라/144
5. 소인의 사귐은 달콤하기가 단술과 같다/145
6. 길이 멀어야 말의 힘을 알 수 있다/145

제20편 부인의 행실(婦行篇)/146
1. 여자의 네 가지 아름다운 덕/146
2. 부인의 솜씨라고 하는 것은/147
3. 어진 부인은 남편을 귀하게 만든다/148

제21편 추가된 편(增補篇)/150
1. 죄가 크면 가히 풀지 못한다/150

제22편 팔반가 여덟 수(八反歌八首)/152
1. 어버이에게 꾸지람을 듣거든/152
2. 젖 냄새나는 입으로 길고 짧은 것을 다투지 말라/153
3. 늙어가는 사람을 공경하여 대접하라/154
4. 늙은 어버이를 잘 받들고 공경하라/154
5. 어버이를 튼튼하게 하는 약은 없다/155
6. 두 어버이 섬기는 것을 아이 기르듯이 하라/156
7. 부모 섬기는데 힘을 다하라/157
8. 부질없이 아이들의 효도를 믿지 말라/158

제23편 효도를 행하다(孝行篇)/159
1. 머슴살이하며 어머니를 극진히 모신 손순/159
2. 넓적다리 살을 베어 바친 상덕(尙德)/161
3. 가난하지만 효성을 다한 도씨(都氏)/162

제24편 청렴과 의리(廉義篇)/165
1. 솔개가 한 것은 하늘이 한 일이다/165
2. 하늘이 주신 것이다/166
3. 바보 온달에게 시집보내다/169

제25편 학문을 권하다(勸學篇)/171
1. 올해 배우지 않고 내년이 있다고 하지 말라/171
2. 젊었을 때 마땅히 학문에 힘쓰라/172
3. 천릿길도 한 걸음부터/172


격몽요결(擊蒙要訣)/175

제1장 뜻을 세우다(立志章第一)/180
1. 맹자가 어찌 우리를 속였겠는가/180
2. 죽을 때까지 무엇을 이룰 것인가/182

제2장 낡은 습관을 고치다(革舊習章第二)/184
1. 매몰차게 끊어버려야 할 낡은 습관/184
2. 고쳐야 할 낡은 습관 여덟 가지/184

제3장 몸가짐(持身章第三)/187
1. 학문하는 사람의 마음가짐/187
2. 구용(九容)과 구사(九思)에 대해서/188
3. 예(禮)가 아니거든/190
4. 극복할 자기가 있으면/191
5. 때에 맞춰 말하게 되면/192
6. 주위 환경이나 여건은/193
7. 죄 없는 사람 하나를 죽여 천하를 얻을지라도/194
8. 평생을 즐겨 써도 다하지 않는 것/195

제4장 독서(讀書章第四)/197
1. 책을 읽으면 선악을 구별할 수 있다/197
2. 올바른 책읽는 방법/198
3. 오서(五書)와 오경(五經)을 읽는 차례/198
4. 책은 많이 읽기보다는 정독을 하라/203

제5장 어버이를 섬김(事親章第五)/205
1. 천하에서 가장 귀한 것/205
2. 부모가 허락하지 않으면/206
3. 부모를 받들어 모실 기회를 놓치지 말라/207
4. 언제나 부모를 잊지 않는 것이 효도/208
5. 세월은 빠르고 부모 섬기는 기간은 짧다/210

제6장 상제(喪制章第六)/211
1. 상(喪)을 치르는 방법과 절차/211
2. 때에 따라 상석(上席)이 바뀐다/212
3. 조객을 대하는 예의/213
4. 상을 당했을 때 음식 섭취법/214
5. 상사에는 슬퍼함과 공경함을 다한다/215
6. 상중에 지켜야 할 예법/216
7. 복(服) 입는 기간/218
8. 복 입는 가족이나 친척의 상을 당한 사람은/220

제7장 제례(祭禮章第七)/222
1. 제례는 주자의 『가례(家禮)』에 따라야/222
2. 수재(水災)ㆍ화재(火災) 발생시에는/223
3. 제사를 지낼 때 제계하는 예법/223
4. 묘제(墓祭)와 기제(忌祭)는/225
5. 상(喪)과 제(祭)에는 정성을 다해야 한다/226
6. 상(喪)과 제(祭)의 예를 통일시켜야/226

제8장 집안에 있을 때(居家章第八)/228
1. 집안을 보살피는 예법/228
2. 관례와 혼례는 가례에 따라야/229
3. 부모의 자식인 형제간의 사랑/229
4. 부부간의 바른 예절/230
5. 자식 가르치는 법/231
6. 아랫사람 거느리는 방법/232
7. 가난 속에서의 공부와 물건을 받는 예의/234
8. 고을 수령에게 받을 것과 받지 않아야 할 것/237

제9장 사람을 사귀다(接人章第九)/239
1. 사람을 사귀는데 있어서의 예/239
2. 이러한 벗을 사귀어야 한다/239
3. 내가 절해야 하는 대상/241
4. 남이 나를 헐뜯고 욕하면/242
5. 사람을 대했을 때 이런 말을 하라/244
6. 남의 권리나 토지를 빼앗는다면/245
7. 선비는 관청을 드나들지 말아야 한다/246

제10장 처세(處世章第十)/247
1. 시험으로 인재를 뽑는 세상에서의 처세/247
2. 옛날과 오늘날의 공부하는 자세/248
3. 과거공부와 성리학을 함께 한다/249
4. 벼슬자리에 있을 때의 처세/251

학교모범(學校模範)/25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