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원효의 세계관으로 읽은 오감도

원효의 세계관으로 읽은 오감도

  • 박영호
  • |
  • 다래헌
  • |
  • 2016-10-03 출간
  • |
  • 288페이지
  • |
  • 152 X 225 X 22 mm /523g
  • |
  • ISBN 9788987122748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본서는 원효의 세계관을 원용해서 『조선중앙일보』에 발표된 이상의 연작시 <오감도> 전체 15편을 해석적으로 상세하게 논의한 연구서다. 본서의 원전은 저자의 박사학위논문 「이상의 연작시 〈오감도〉 연구」다. 원전에 대한 심사위원들의 심사보고서에는 ‘이상 문학 연구의 파천황’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심사위원 중 염무웅 교수는 기존의 이상 문학 학계에 던지는 핵폭탄이라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진다.
본서는 크게 나누면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Ⅰ장은 서론 부분이다. 이 서론 부분에서는 연구 범위, 연구 방법, 관점의 근거, 연구 목적 등이 밝혀져 있다. 아울러 관점의 실마리가 마련된 근거를 밝히고, 관점의 타당성을 설명하는데 많은 부분이 할애되어 있다. 본론에서 논의에 끌어다 쓰는 원용 사상과 이론의 핵심은 원효의 세계관으로 현상론(인식론)과 수행론이 주류다. 기존의 논의들에서는 이와 같거나 유사한 관점이 전혀 고려되지 않았었기 때문이다.
Ⅱ장에서는 이상과 불교의 친연성에 대해 천착하고 있다. 전반부는 이상이 재학 또는 졸업한 초ㆍ중등학교와 불교와의 관계에 대한 논급이다. 신명학교의 불교계 연관 가능성과 동광고등보통학교ㆍ보성고등보통학교와 불교계와의 관계에 대해서 소략하게 논급되어 있다. Ⅱ장 후반부는 비구(比久)ㆍ이상(李箱)ㆍ하융(河戎) 등의 자호(自號)에 대한 불교적 관점의 논의다.
자호에 대한 논의의 근본 토대는 집을 떠나 걸식하며 불도(佛道)를 수행하는 남자를 의미하는 자호 ‘比久’에 있다. 그래서 김해경(金海卿: 李箱의 본명)의 대표 자호인 ‘李箱’은 물론 화명(畵名)인 ‘河戎’의 상징적 의미에 대한 논의도 최종적으로는 ‘비구’와 같다는 데에 귀착한다.
저자는 ‘李箱’이라는 필명이 「지도의 암실」 등에 등장하는 ‘트렁크(t?runk)’의 중국어 표기 중 하나인 ‘행리상(行李箱)’의 축약으로 본다. ‘李箱’의 원의미가 ‘행장상자(여행가방)’라면 본가를 떠나 백부의 집에서 생활하는 자신의 상황을 상징화하려는 데서 처음 착안되었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본다. 그렇더라도 「지도의 암실」 창작 무렵에는 ‘李箱’의 의미가 ‘비구’에 귀착한 것으로 저자는 본다.
‘河戎’은 일본 시인 與田準一(Yoda Junichi)의 시 「해항풍경(海港風景)」 일부를 옮겨 적어놓은 메모 「여전준일(與田準一)」의 ‘해병(海兵)’에서 비롯된 것으로 저자는 본다. 「與田準一」에서 그려지는 이미지는 선가(禪家)의 가르침인 ‘사벌등안(捨筏登岸)’의 이미지와 매우 흡사하고, 저쪽 언덕[彼岸]에 이르면 뗏목을 버리고 언덕 위로 오를 사벌등안의 주체는 불도수행자들이므로, ‘河戎’이 「與田準一」의 ‘해병’을 달리 표현한 것이라면 이 또한 ‘비구’와 같은 의미로 지어졌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Ⅲ장은 <오감도> 해석에 끌어다 쓰는 원용 사상과 이론의 대요를 정리한 부분이다. 하나의 주제로 말하면 ‘원효의 세계관’이고, 주제를 크게 나누면 ‘유식사상(唯識思想)’과 ‘원효의 기신론(起信論)’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식사상’과 ‘원효의 기신론’으로 구분해서 핵심만 기술하고 있다.
Ⅳ장은 『조선중앙일보』에 발표된 〈오감도〉 전체 15편을 원효의 세계관에 의거해서 해석적으로 논의한 본서의 본체 부분이다. 원효의 인식론(현상론)과 수행론이 한 켜씩 차례차례 놓이는 적층구조를 <오감도>의 시화(詩化) 구조로 가설하고 세세하게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지금까지 수많은 <오감도> 관련 연구물들이 있었지만 전체 작품을 일목요연한 구조체계에 의해 내용을 규명한 성과물은 본서 이전에는 없었다.
Ⅴ장은 결론부분이다. 앞에서 논의한 것들을 소략하게 정리해서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Ⅳ장의 논의 결과를 기반으로 『조선중앙일보』에 발표되지 못한 <오감도>의 작품들로 「지비(紙碑)」(『조선중앙일보』 발표)와 <이단(易斷)>, <위독(危篤)>을 추정한다. 이들을 포함해서 애초 연재 계획으로 추정되는 <오감도> 전체 구조를 도식적으로 제시하기도 한다.


목차


Ⅰ. 서론 11


Ⅱ. 이상과 불교의 친연성(親緣性) 28

1. 불교와의 인연 28
2. 불도수행자를 의미하는 자호(自號)들 33


Ⅲ. 원용 사상과 이론 대요(大要) 48

1. 유식사상(唯識思想) 49
1) 정신주체 체계 50
(1) 감각정신주체 전5식 51
(2) 분별정신주체 제6식 52
(3) 사량정신주체 제7식 55
(4) 심층무의식, 근본정신주체 제8식 57
(5) 「종생기」에 나타난 정신주체 체계 60
2) 인식시스템이론과 현상론 63
(1) 인식시스템이론 65
(2) 현상론 66
[1] 삼성(三性)과 비유 66
[2] 삼무자성(三無自性) 68
3) 연기론(緣起論) 70
2. 원효의 기신론(起信論) 74
1) 현상과 인식 발현 체계론 74
2) 현상과 인식 치단(治斷) 체계론 81
(1) 대승불교 수행 52단계 82
[1] 10신위(信位) 82
[2] 10주위(住位) 83
[3] 10행위(行位) 84
[4] 10회향위(廻向位) 85
[5] 10지위(地位) 86
[6] 등각위(等覺位) 87
[7] 묘각위(妙覺位) 88
(2) 정신주체의 생멸 치단과 각성(覺性) 88
(3) 객관현상의 심적 대응과 각성 90
3. 갈무리 93

Ⅳ. 〈오감도(烏瞰圖)〉 해석 97

1. 표제 〈烏瞰圖〉의 의미 101
2. 서사(序辭) _ 「시제1호」 105
3. 심층무의식의 태동 119
1) 주객미분 심층무의식[業識] 태동 _ 「시제2호」 120
2) 심층무의식의 주관[轉識] 발현 _ 「시제3호」 125
3) 심층무의식의 객관[現識] 발현 _ 「시제4호」 128
4. 지식(智識) 현현과 치단 수행론 140
1) 심신(心神)자아집착주체[智識] 현현 _ 「시제5호」 141
2) 지식 치단 수행 148
(1) 하위 수행성과 구계지(具戒地) 추구 _ 「시제6호」 148
(2) 상위 수행성과 원행지(遠行地) 지향 _ 「시제7호」 158
5. 상속식(相續識) 현행과 치단 수행론 172
1) 현상연결정신주체[相續識] 현현 175
(1) 의식의 상관존재집착분별 현행 _ 「시제8호 해부」 175
(2) 의식의 심신자아집착[分別事識] 발아 _ 「시제9호 총구」190
(3) 의식의 심신자아집착 확립 _ 「시제10호 나비」 194
2) 의식상의 심신자아집착 치단 수행 199
(1) 수번뇌(修煩惱) 치단 _ 「시제11호」 206
(2) 수번뇌를 치단한 세계 _ 「시제12호」 209
(3) 견번뇌(見煩惱) 치단 _ 「시제13호」 212
(4) 유여열반(有餘涅槃) 성취 _ 「시제14호」 219
6. 결사(結辭): 6계집(計執) 발현 _ 「시제15호」 232
(1) 자성(自性)이 인(因)이라는 계집 발현 _ 1연 234
(2) 숙작(宿作)이 인이라는 계집 발현 _ 2연 236
(3) 자재(自在)가 인이라는 계집 발현 _ 3연 238
(4) 실아(實我)가 인이라는 계집 발현 _ 4연 240
(5) 무인무연(無因無緣)이라는 계집 발현 _ 5연 242
(6) 자아가 작자수자(作者受者)라는 계집 발현 _ 6연 243
7. 갈무리 248

Ⅴ. 결론 260


■<烏瞰圖>ㆍ「二十二年」ㆍ「診斷 0:1」 영인 273

■찾아보기 28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