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춘추공양전

춘추공양전

  • 공양고
  • |
  • 자유문고
  • |
  • 2005-03-03 출간
  • |
  • 566페이지
  • |
  • 152 X 223 mm
  • |
  • ISBN 9788970300733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춘추삼전(春秋三傳)이란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과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과 《춘추좌전(春秋左傳)》을 가리키는 말이다.
공자가 산정(刪定)한 춘추시대 노(魯)나라 사서(史書)인 《춘추(春秋)》를 ‘경(經)’이라 하고, ‘좌씨춘추(左氏春秋), 곡량춘추(穀梁春秋), 공양춘추(公羊春秋)’는 이 경서(經書)를 해석한 ‘전(傳)’이라고 일컫는다.
특히 이 삼전(三傳)은 《춘추(春秋)》의 경문(經文)만 같고 해석 방법이 서로 달라 예로부터 매우 중요한 경전으로 여겨져 왔다.
중국에서는 예부터 왕자(王者: 天子)가 새로 태어나면 대대로 사관(史官)이 있었다. 천자(天子)가 무엇인가 말을 하면 사관(史官)은 반드시 그것들을 기록하였다. 그것은 천자가 언행(言行)을 삼가고 자손에게 법칙을 보이기 위해서였다. 사관(史官) 중에서 좌사(左史)는 왕의 말을 기록하고 우사(右史)는 왕의 행동을 기록하였다. 그 왕의 행동을 기록한 것이 춘추(春秋)이고 왕의 말을 기록한 것이 상서(尙書: 書經)이다.

춘추삼전(春秋三傳) 중에서 《춘추좌전(春秋左傳)》은 춘추시대의 사실(史實) 내용이 풍부하고 규모도 최대로 방대하며 역사(歷史)를 위주로 한 저작(著作)으로 역사에 대한 특징들이 기사(記事)에 상세하게 나열되어 있다.
반면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과 《춘추공양전(春秋公梁傳)》은 형태가 비슷하고 역사를 위한 저작이라기보다는 춘추(春秋)의 경문(經文)을 해석하는 데 치중했다.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은 공자(孔子) 춘추(春秋)의 명분(名分)과 의리(義理)를 내세워 춘추경문(春秋經文)을 해설한 것으로 고문학(古文學)의 최고서라 할 만하다. 명분(名分)이나 참 의리(義理)가 무엇인가를 살피고, 역사를 꿰뚫어보는 지혜를 얻기 위해서 한 번은 필독해야 할 경서(經書)이다.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은 곡량전(穀梁傳)보다 더 경문 해석에 대한 특이점을 갖고 있다.
춘추(春秋)을 읽는 데 있어서, 춘추(春秋)에 쓰인 언사(言辭)와 조구(造句)나 경문(經文) 속에 은미하게 함유된 미언대의(微言大義)나 또는 공자가 춘추를 편찬할 당시의 시대적 사상이나 감정을 탐색할 수 있는 전(傳)은 공양전(公羊傳)만 한 게 없다고 했다.
또한 경문(經文)을 해석하는 데에서도 춘추(春秋)에 기재된 각종 사건의 출발이나 그것을 인용하고 열어가는 것이나 경(經)의 뜻을 밝혀 해석하는데 있어서 공양전(公羊傳) 만한 게 없다. 곧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은 당시의 역사와 앞서가는 역사의 미래를 꿰뚫는 지혜를 갖출 수 있다면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은 역사에 있어서 의(義)의 잣대를 어떻게 적용하고 또 의(義)의 기준이 무엇인가를 일목요연하게 밝혀주는 역사서이고, 《춘추좌전(春秋左傳)》은 과거를 비추어 미래를 점칠 수 있는 예언자적인 저서라 해도 과언이 아니라 할 수 있다.

이렇듯 춘추삼전(春秋三傳)은 각각 그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좌전(左傳)은 사실(史實)로써 공자의 춘추(春秋)를 주석하여 증명하고 공양전(公羊傳)은 오로지 경문(經文)에 대하여 문답 형식으로 설명 한 것인데 비해 곡량전(穀梁傳)은 고문학(古文學)에 가깝다 할 수 있다.
특히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과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은 사서(史書)로서 뿐만 아니라 문학적 가치도 매우 높다. 따라서 중국의 문화지식(文化知識)이나 경학사(經學史), 정치사상사(政治思想史), 학술사(學術史) 등을 연구하는 사람은 반드시 읽지 않으면 안 되는 책이다.

※ 원문 자구색인 수록

서문: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이란 어떤 책인가?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은 약칭(略稱)하여 공양전(公羊傳)이라 한다. 또는 공양춘추(公羊春秋)라고도 일컫는다.
공양전(公羊傳)이란 공자(孔子) 춘추(春秋)의 삼전(三傳) 가운데 하나이다.

공자(孔子) ‘춘추’의 삼전(三傳)이란 《춘추좌전(春秋左傳)》과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과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을 가리킨다. 이 세 가지 전은 경문(經文)만 같고 해석 방법이 서로 달라 유가(儒家)에서 중요한 경전으로 여기고 있다.

전해오는 말로는, 공양전(公羊傳)은 전국시대(戰國時代)에 제(齊)나라 사람인 공양고(公羊高)가 편찬한 것으로, 본래는 스승의 입과 귀로 서로 전해 내려오다가 서한(西漢)의 경제(景帝) 때 겨우 필사본(筆寫本)이 이루어져서 책이 되었다고 한다.
이때부터 좌전(左傳)과 곡량전(穀梁傳)과 같이 한 형태로 갖추어졌다. 공양전이 완전한 형태의 책으로 갖추어진 것은, 한(漢)나라 애제(哀帝) 때 저명한 학자인 유흠(劉歆)이 전문(傳文)을 인용하여 경(經)을 해석하면서, 공자가 산정(刪定)한 노(魯)나라 사서(史書)인 춘추(春秋)를 ‘경(經)’으로 높이고 ‘좌씨춘추(左氏春秋)’와 ‘공양춘추(公羊春秋)’와 ‘곡량춘추(穀梁春秋)’는 경서(經書)를 해석한 것으로 삼아 ‘전(傳)’이라고 일컬었다.
후세 사람들이 전(傳)으로써 경(經)에 붙여서 합하여 한 편(一編)으로 만들어 이때부터 세 가지 본(本)을 ‘춘추삼전(春秋三傳)’이라고 일컫게 되었다.

반고(班固)가 찬(撰)한 《한서예문지(漢書藝文志)》에 보면 공양전(公羊傳)은 11권으로 되어 있으며 공양외전(公羊外傳) 50편이 별도로 있었는데 외전은 모두 없어졌다고 했다. 또 반고(班固)의 공양전(公羊傳) 주(注)에는 “공양자(公羊子)는 제나라 사람이다.”라고 했다.
또 당(唐)나라 때 안사고(顔師古)는 “공양자(公羊子)의 이름은 고(高)이다.”라고 했다. 공양(公羊)에 함축된 뜻은 무엇인가? 이는 사람의 복성(複姓)이라 했다. 당(唐)나라 서언(徐彦)이나 동한(東漢)의 하휴(何休)는 공양고(公羊高)의 몇 대 후손인 공양수(公羊壽)가 제자인 호모생(胡母生: 胡母子都)과 함께 한(漢)나라 경제(景帝) 때 죽백(竹帛)에 필사하여 서적을 만들었다고 했다.

공양전(公羊傳)이 책으로 완성되기 전에는 입과 귀로 서로 전해져 왔다. 이러한 전승(傳承) 과정을, 동한(東漢)의 하휴(何休)가 지은 《춘추공양전》 서문(序文)이나 당(唐)나라 서언(徐彦)이 지은 《대굉서설(戴宏序說)》을 인용해 보면 “자하(子夏)가 공양고(公羊高)에게 전하고 공양고는 그의 아들 공양평(公羊平)에게 전했다. 공양평은 그의 아들 공양지(公羊地)에게 전하고 공양지는 그의 아들 공양감(公羊敢)에게 전했다. 공양감은 그의 아들 공양수(公羊壽)에게 전했는데 이때가 한(漢)나라 경제(景帝) 때이다. 공양수는 그의 제자이며 제(齊)나라 사람인 호모자도(胡母子都)와 함께 죽백(竹帛)에 나타냈다.”라고 했다.

이 단계에 대해 세 가지 설이 있다.
첫째는 ‘공양전(公羊傳)’은 공자(孔子)의 제자인 자하(子夏)로부터 전해졌다는 것이다.
둘째는 ‘공양전(公羊傳)’이 책으로 이루어지기까지의 시기가, 자하(子夏)를 따라서 한(漢)나라 경제(景帝) 초까지 340여 년이 경과되었다는 것이다.
셋째는 한(漢)나라 경제(景帝) 때 공양전이 겨우 책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이상의 세 가지 설 중에서 공양전이 한나라 경제(景帝) 때 만들어졌다는 설이 가장 신뢰할 만하다 하겠다.

또 《사고전서(四庫全書)》 ‘총목제요(總目提要)’의 ‘춘추공양전주소(春秋公羊傳注疏)’에는 “지금 공양전 안의 내용 중에서 ‘자심자왈(子沈子曰)’ ‘자사마자왈(子司馬子曰)’ ‘자여자왈(子女子曰)’ ‘자북궁자왈(子北宮子曰)’이나 또 ‘고자왈(高子曰)’ ‘노자왈(魯子曰)’은 모두 전수(傳受)한 경사(經師)들인데 공양자(公羊子)에 다 나오지 않는 것들이다.”라고 했다. 이 밖에 경전 속의 여러 가지 정황을 보더라도 공양고(公羊高)에게서 다 나왔다고 보기 어렵고 자하(子夏)가 전했다고 보기도 어렵다. 단, 공양전은 여러 사람이 함께 창작한 것이며 최후에는 공양수(公羊壽)와 그의 제자인 호모자도(胡母子都)가 함께 필사(筆寫)하여 책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보는 것이 제일 타당하다 하겠다.

공자(孔子)의 춘추(春秋)에는 세 가지 전(傳)이 전해지고 있다. 한서예문지에 보면 본래 춘추의 전(傳)은 총 23가(二十三家)의 전(傳)이 있고 모두 948편이나 된다고 했다. 그 중에서도 오늘날까지 전하는 것은 좌전(左傳) 30권과 공양전(公羊傳) 11권과 곡량전(穀梁傳) 11권 등 3개 전(傳)만 전해오고 있다. 그 나머지는 모두 없어졌다.
춘추(春秋) 삼전(三傳) 중에서 ‘좌전(左傳)’은 춘추시대(春秋時代)의 사실(史實) 내용이 풍부하고 규모도 최대로 방대하며 역사(歷史)를 위주로 한 저작(著作)으로 역사에 대한 특징들이 기사(記事)에 상세하게 나열되어 있다. ‘공양전(公羊傳)’이나 ‘곡량전(穀梁傳)’은 형태가 비슷하고 역사를 위한 저작(著作)이 아니라 춘추(春秋)의 경문(經文)을 해석하는데 치중했다. 공양전은 곡량전보다 더 경문 해석에 대한 특이점을 가지고 있다 하겠다.

춘추(春秋)를 연구하는 데에서, 춘추에 쓰인 언사(言辭)와 조구(造句)나 경문(經文) 속에 은미하게 함유된 미언대의(微言大義)나 또는 공자(孔子)가 춘추를 편찬할 당시의 시대적 사상이나 감정을 탐색할 수 있는 전은 공양전(公羊傳)이라 하겠다.
또한 경문(經文)을 해석하는 데에서도 춘추(春秋)에 기재된 각종 사건의 출발이나 그것을 인용하고 열어가는 것이나 경의 뜻을 밝혀 해석하는데 있어서 공양전 만한 게 없다.
좌전(左傳)은 사실(史實)로써 공자의 춘추(春秋)를 주석하여 증명하였다면 공양전(公羊傳)은 오로지 경문(經文)에 대하여 문답 형식으로 설명을 가했다 하겠다. 반면 곡량전(穀梁傳)은 고문학(古文學)에 가까울 뿐이라고 했다.
또 공양전(公羊傳)은 경문(經文)에서 알기 어려운 부분들을 거론함에 있어서 층층이 설명을 가하여, 한 번에 의문이 풀리는 가슴 시원한 느낌을 준다.

이상에서 말한 것처럼 공양전은 사서(史書)라기보다는 문학적 가치가 많은 것으로, 《춘추좌전(春秋左傳)》에 비해 간편하고 해설이 명료한데도 불구하고 일반인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하지만 중국의 문화지식(文化知識)이나 중국의 경학사(經學史)나 정치사상사(政治思想史)나 학술사(學術史)를 연구하는 사람은 반드시 읽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공양전에서 은공(隱公) 원년의 기사(記事)에 “거마(車馬)를 봉(?)이라 이르고 재화(財貨)를 부(賻)라고 이르고 의피(衣被)를 수(?)라고 이른다.”라고 했고, 은공(隱公) 3년의 내용 안에는 “천자(天子)가 죽은 것을 붕(崩)이라 이르고 제후가 죽은 것을 훙(薨)이라 이르고 대부가 죽은 것을 졸(卒)이라 이르고 사(士)가 죽은 것을 불록(不祿)이라 이른다.”라고 했다.

환공 4년의 “수렵이란 무엇인가? 사냥이다. 봄의 사냥은 묘(苗)라 이르고 가을의 사냥은 수(蒐)라 이르고 겨울의 사냥은 수(狩)라고 이른다.”라는 기사나, 환공 8년의 “증(烝)이란 무엇인가? 겨울 제사이다. 봄은 사(祠)라 이르고 여름은 약(?)이라 이르고 가을은 상(嘗)이라 이르고 겨울은 증(烝)이라 이른다.”라는 기사나, 장공 10년의 “어찌하여 혹은 침(侵)이라고 이르고 혹은 벌(伐)이라 이르는가? 추각(?角)을 침(侵)이 이르고 정자(精者)를 벌(伐)이라고 이른다.”라는 기사 등등…. 고대 문화의 언어 해설들을 풀어 놓은 것이 수없이 많아 공양전은 춘추시대의 중국문화지식과 중국문사를 연구하는데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역사적 문헌(文獻)이라 여겨 오고 있다.

이 해역서(解譯書)는 한나라 때 하휴(何休)의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을 저본(底本)으로 삼아 《춘추좌전(春秋左傳)》(자유문고 발행)을 참조하고,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上海古籍出版社 발행)을 참조하였다.
해역에 완벽을 기하려 했으나 천학비재(淺學菲才)한 사람이라 오류가 많을 것으로 생각한다. 많은 양해 있기를 바란다.


목차


《춘추공양전》이란 어떤 책인가?/3

제1편 은공 시대(隱公時代)/29
1. 은공(隱公) 원년 기미(己未)/31
가. 왕(王)의 정월(正月)은 크게 통일시키기 위한 것/31
나. 은공이 주루의보(주婁儀父)와 맹세하다/33
다. 정(鄭)나라 군주가 단(段)과 싸우다/34
라. 천자(天子)의 재(宰)가 예물을 가져오다/35
마. 송(宋)나라 사람과 숙(宿)에서 동맹을 맺다/37
2. 은공 2년 경신(庚申)/38
가. 은공이 융(戎)과 잠(潛)에서 회합하다/38
나. 융(戎)과 당(唐)에서 동맹을 맺다/39
다. 백희(伯姬)가 기(紀)나라로 시집가다/41
3. 은공 3년 신유(辛酉)/42
가. 경술(庚戌)일에 천자(天子)가 붕어하다/42
나. 윤씨(尹氏)가 세상을 뜨다/43
다. 제나라와 정나라가 석문에서 동맹하다/44
4. 은공 4년 임술(壬戌)/47
가. 송나라 군주와 청(淸)에서 만나다/47
나. 주우(州?)를 복수(?水)에서 죽이다/49
5. 은공 5년 계해(癸亥)/50
가. 당(棠)에서 물고기를 구경하다/50
나. 처음으로 육우(六羽)를 추다/51
다. 송(宋)나라에서 장갈(長葛)을 포위하다/53
6. 은공 6년 갑자(甲子)/54
가. 애산(艾山)에서 동맹을 맺다/54
7. 은공 7년 을축(乙丑)/55
가. 숙희(叔姬)가 기(紀)나라로 시집가다/55
8. 은공 8년 병인(丙寅)/57
가. 송나라와 위(衛)나라가 수(垂)에서 만나다/57
9. 은공 9년 정묘(丁卯)/60
가. 남계(南季)가 예물을 가지고 예방하다/60
10. 은공 10년 무진(戊辰)/61
가. 중구(中丘)에서 제후들과 회합하다/61
11. 은공 11년 기사(己巳)/63
가. 등(?)나라와 설(薛)나라 군주가 찾아오다/63

제2편 환공 시대(桓公時代)/65
1. 환공(桓公) 원년 경오(庚午)/66
가. 환공(桓公)이 즉위(卽位)하다/66
2. 환공 2년 신미(辛未)/68
가. 송(宋)나라 독(督)이 군주를 시해하다/68
나. 고(?)나라의 솥을 송나라에서 취하다/70
3. 환공 3년 임신(壬申)/72
가. 제나라 군주와 영(?)에서 회합하다/72
4. 환공 4년 계유(癸酉)/74
가. 환공이 낭(郎)에서 사냥하다/74
5. 환공 5년 갑술(甲戌)/75
가. 진(陳)나라 군주 포(鮑)가 세상을 떠나다/75
6. 환공 6년 을해(乙亥)/77
가. 정월에 그 사람이 오다/77
7. 환공 7년 병자(丙子)/79
가. 함구(咸丘)에 불을 지르다/79
8. 환공 8년 정축(丁丑)/80
가. 기묘(己卯)일에 증제(烝祭)를 지내다/80
9. 환공 9년 무인(戊寅)/82
가. 계강(季姜)이 경사로 시집가다/82
10. 환공 10년 기묘(己卯)/84
가. 조(曹)나라 군주인 종생(終生)이 죽다/84
11. 환공 11년 경진(庚辰)/85
가. 악조(惡曹)에서 동맹을 맺다/85
12. 환공 12년 신사(辛巳)/88
가. 곡지(曲池)에서 동맹을 맺었다/88
13. 환공 13년 임오(壬午)/90
가. 환공이 기(紀)나라와 정나라 군주와 회합하다/90
14. 환공 14년 계미(癸未)/91
가. 정나라 군주를 조(曹)에서 만나다/91
15. 환공 15년 갑신(甲申)/92
가. 가보(家父)가 수레를 요구하다/92
16. 환공 16년 을유(乙酉)/95
가. 환공이 조(曹)나라에서 회합을 갖다/95
17. 환공 17년 병술(丙戌)/96
가. 의보(儀父)와 유(?)에서 동맹을 맺다/96
18. 환공 18년 정해(丁亥)/97
가. 환공이 제나라에서 훙거(薨去)하다/97

제3편 장공 시대(莊公時代)/99
1. 장공(莊公) 원년 무자(戊子)/101
가. 부인(夫人)이 제(齊)나라로 달아나다/101
나. 왕녀(王女)가 머무를 집을 짓다/103
2. 장공 2년 기축(己丑)/105
가. 공자 경보(慶父)가 어여구(於餘丘)를 정벌하다/105
3. 장공 3년 경인(庚寅)/106
가. 익(溺)이 위(衛)나라를 정벌하다/106
4. 장공 4년 신묘(辛卯)/107
가. 기(紀)나라 군주가 세상을 떠나다/107
나. 장공이 고(?)에서 사냥하다/110
5. 장공 5년 임진(壬辰)/112
가. 예(倪)의 여래(黎來)가 찾아오다/112
6. 장공 6년 계사(癸巳)/113
가. 위(衛)나라 삭(朔)이 위나라로 들어가다/113
7. 장공 7년 갑오(甲午)/115
가. 별이 비오듯이 떨어지다/115
8. 장공 8년 을미(乙未)/116
가. 진(陳)나라와 채(蔡)나라 사람을 기다리다/116
9. 장공 9년 병신(丙申)/118
가. 제나라 대부와 기(?)에서 동맹을 맺다/118
10. 장공 10년 정유(丁酉)/121
가. 제나라 군사를 장작에서 쳐부수다/121
11. 장공 11년 무술(戊戌)/123
가. 송(宋)나라 군사를 진(?)에서 쳐부수다/123
12. 장공 12년 기해(己亥)/124
가. 송나라 만(萬)이 그 임금을 시해하다/124
13. 장공 13년 경자(庚子)/126
가. 제나라에서 수(遂)나라를 멸망시키다/126
14. 장공 14년 신축(辛丑)/128
가. 선(單)나라에서 송나라 정벌에 가담하다/128
15. 장공 15년 임인(壬寅)/129
가. 주루(주婁) 사람들이 예(兒)를 정벌하다/129
16. 장공 16년 계묘(癸卯)/130
가. 유(幽)에서 동맹을 맺다/130
17. 장공 17년 갑진(甲辰)/131
가. 제나라 사람이 수(遂)에서 몰살하다/131
18. 장공 18년 을사(乙巳)/132
가. 융족(戎族)을 제수(濟水) 서쪽으로 몰아내다/132
19. 장공 19년 병오(丙午)/133
가. 부인 강씨(姜氏)가 거(?)나라로 가다/133
20. 장공 20년 정미(丁未)/134
가. 제나라에 크게 화재가 생겼다/134
21. 장공 21년 무신(戊申)/135
가. 부인(夫人) 강씨(姜氏)가 훙거(薨去)하다/135
22. 장공 22년 기유(己酉)/136
가. 진(陳)나라에서 공자(公子) 어구(禦寇)를 죽이다/138
23. 장공 23년 경술(庚戌)/137
가. 장공이 제나라에서 이르다/137
24. 장공 24년 신해(辛亥)/139
가. 조(曹)나라 장공(莊公)을 장사 지내다/139
25. 장공 25년 임자(壬子)/142
가. 위(衛)나라 군주가 세상을 뜨다/142
26. 장공 26년 계축(癸丑)/143
가. 조(曹)나라에서 대부(大夫)를 죽이다/143
27. 장공 27년 갑인(甲寅)/144
가. 유(幽) 땅에서 동맹을 맺다/144
28. 장공 28년 을묘(乙卯)/146
가. 주루(?婁)나라 쇄(?)가 세상을 떠나다/146
29. 장공 29년 병진(丙辰)/148
가. 가을에 비충(蜚蟲) 떼가 나타나다/148
30. 장공 30년 정사(丁巳)/149
가. 기(紀)나라 숙희(叔姬)를 장사 지내다/149
31. 장공 31년 무오(戊午)/151
가. 설(薛)에 대(臺)를 쌓다/151
32. 장공 32년 기미(己未)/152
가. 장공(莊公)이 노침(路寢)에서 죽다/152

제4편 민공 시대(閔公時代)/157
1. 민공(閔公) 원년 경신(庚申)/158
가. 제나라와 낙고(洛姑)에서 맹세하다/158
2. 민공 2년 신유(辛酉)/160
가. 장공(莊公)은 길체(吉?)하다/160

제5편 희공 시대(僖公時代)/165
1. 희공(僖公) 원년 임술(壬戌)/167
가. 형(邢)나라가 진의(陳儀)로 옮겨 가다/167
나. 초나라에서 정나라를 정벌하다/169
2. 희공 2년 계해(癸亥)/172
가. 정월에 초구(楚丘)에 성을 쌓았다/172
나. 진(晉)나라에서 하양(夏陽)을 멸망시키다/173
3. 희공 3년 갑자(甲子)/176
가. 서(徐)나라가 서(舒)나라를 빼앗다/176
4. 희공 4년 을축(乙丑)/178
가. 제후들이 채(蔡)나라를 멸망시키다/178
5. 희공 5년 병인(丙寅)/181
가. 진(晉)나라에서 태자를 죽이다/181
6. 희공 6년 정묘(丁卯)/184
가. 초(楚)나라에서 허(許)나라를 포위하다/184
7. 희공 7년 무진(戊辰)/185
가. 소주루(小?婁)의 자작이 찾아오다/185
8. 희공 8년 기사(己巳)/186
가. 적인(狄人)이 진(晉)나라를 정벌하다/186
9. 희공 9년 경오(庚午)/188
가. 규구(葵丘)에서 동맹을 맺다/188
10. 희공 10년 신미(辛未)/190
가. 적인(狄人)이 온(溫)나라를 멸망시키다/190
11. 희공 11년 임신(壬申)/194
가. 강씨(姜氏)가 제나라 후작을 만나다/194
12. 희공 12년 계유(癸酉)/195
가. 초(楚)나라에서 황(黃)나라를 멸망시키다/195
13. 희공 13년 갑술(甲戌)/195
가. 희공이 제후들과 함(鹹)에서 회합하다/195
14. 희공 14년 을해(乙亥)/196
가. 적인(狄人)이 정(鄭)나라를 침범했다/196
15. 희공 15년 병자(丙子)/198
가. 초나라에서 서(徐)나라를 정벌하다/198
16. 희공 16년 정축(丁丑)/201
가. 운석(隕石) 5개가 송(宋)나라에 떨어지다/201
17. 희공 17년 무인(戊寅)/203
가. 제나라 후작인 소백(小白)이 죽다/203
18. 희공 18년 기묘(己卯)/204
가. 노나라에서 제나라를 구원하다/204
19. 희공 19년 경진(庚辰)/205
가. 증(?)나라 군주를 제물로 쓰다/205
20. 희공 20년 신사(辛巳)/207
가. 고(?)나라 군주가 찾아오다/207
21. 희공 21년 임오(壬午)/208
가. 제후들이 녹상(鹿上)에서 동맹을 맺었다/208
22. 희공 22년 계미(癸未)/212
가. 주루(?婁)나라와 승형(升?)에서 싸웠다/212
23. 희공 23년 갑신(甲申)/214
가. 초나라 사람이 진(陳)나라를 정벌하다/214
24. 희공 24년 을유(乙酉)/215
가. 천자(天子)가 정나라에서 지내다/215
25. 희공 25년 병술(丙戌)/216
가. 송나라에서 그의 대부를 죽이다/216
26. 희공 26년 정해(丁亥)/218
가. 제나라 군사를 휴(?)까지 추격하다/218
27. 희공 27년 무자(戊子)/220
가. 기(杞)나라 군주가 찾아오다/220
28. 희공 28년 기축(己丑)/221
가. 공자 매(公子買)가 위나라를 수비하다/221
나. 위(衛)나라 후작을 잡아 경사(京師)로 보내다/225
29. 희공 29년 신묘(辛卯)/228
가. 가을에 큰 우박이 내리다/228
30. 희공 30년 신묘(辛卯)/229
가. 적인(狄人)이 제나라를 침범하다/229
31. 희공 31년 임진(壬辰)/230
가. 공자 수(公子遂)가 진(晉)나라에 가다/230
32. 희공 32년 계사(癸巳)/233
가. 위(衛)나라가 적인(狄人)에 침범하다/233
33. 희공 33년 갑오(甲午)/234
가. 국귀보(國歸父)가 노나라를 예방하다/234

제6편 문공 시대(文公時代)/239
1. 문공(文公) 원년 을미(乙未)/240
가. 문공(文公)이 정월에 즉위하다/240
2. 문공 2년 병신(丙申)/242
가. 희공(僖公)의 신주를 만들었다/242
3. 문공 3년 정유(丁酉)/245
가. 진(秦)나라가 진(晉)나라를 정벌하다/245
4. 문공 4년 무술(戊戌)/247
가. 초(楚)나라 사람이 강(江)나라를 멸망시키다/247
5. 문공 5년 기해(己亥)/248
가. 공손오(公孫敖)가 진(晉)나라에 가다/248
6. 문공 6년 경자(庚子)/249
가. 진(晉)나라에서 양처보(陽處父)를 죽이다/249
7. 문공 7년 신축(辛丑)/251
가. 문공이 주루(주婁)나라를 정벌했다/251
8. 문공 8년 임인(壬寅)/253
가. 공자 수(遂)가 형옹(衡雍)에서 동맹하다/253
9. 문공 9년 계묘(癸卯)/255
가. 모(毛)나라 군주가 금(金)을 요구하다/255
10. 문공 10년 갑진(甲辰)/259
가. 여률(女栗)에서 동맹을 맺다/259
11. 문공 11년 을사(乙巳)/260
가. 조(曹)나라 군주가 찾아오다/260
12. 문공 12년 병오(丙午)/261
가. 기(杞)나라 백작이 찾아오다/261
13. 문공 13년 정미(丁未)/264
가. 태실(太室)의 지붕이 무너지다/264
14. 문공 14년 무신(戊申)/267
가. 신성(新城)에서 동맹을 맺다/267
15. 문공 15년 기유(己酉)/270
가. 화손(華孫)이 와서 동맹을 맺다/270
16. 문공 16년 경술(庚戌)/273
가. 네 번째 고삭례(告朔禮)를 하지 않다/273
17. 문공 17년 신해(辛亥)/275
가. 제후들이 호(扈)에서 회합하다/275
18. 문공 18년 임자(壬子)/276
가. 정축(丁丑)일에 문공(文公)이 훙거하다/276

제7편 선공 시대(宣公時代)/279
1. 선공(宣公) 원년 계축(癸丑)/280
가. 정월에 선공(宣公)이 즉위하다/280
나. 제나라 군주를 평주(平州)에서 만나다/280
2. 선공 2년 갑인(甲寅)/284
가. 을해(乙亥)일에 천자(天子)가 붕어하다/284
3. 선공 3년 을묘(乙卯)/285
가. 광왕(匡王)을 장사 지내다/285
4. 선공 4년 병진(丙辰)/287
가. 거(?)나라의 상(向) 땅을 선공이 점령하다/287
5. 선공 5년 정사(丁巳)/288
가. 봄에 선공이 제나라에 갔다/288
6. 선공 6년 무오(戊午)/289
가. 조돈(趙盾)과 손면(孫免)이 진(陳)나라를 침공하다/289
7. 선공 7년 기미(己未)/294
가. 손양부(孫良夫)가 노(魯)나라에 와서 동맹하다/294
8. 선공 8년 경신(庚申)/295
가. 태묘(太廟)에 제사가 있었다/295
9. 선공 9년 신유(辛酉)/298
가. 노나라에서 근모(根牟)를 점령하다/298
10. 선공 10년 임술(壬戌)/300
가. 하징서(夏徵舒)가 그 군주를 시해하다/300
11. 선공 11년 계해(癸亥)/303
가. 공손귀보(公孫歸父)가 거(?)나라를 정벌하다/303
12. 선공 12년 갑자(甲子)/305
가. 초(楚)나라가 정나라를 포위하다/305
13. 선공 13년 을축(乙丑)/309
가. 초(楚)나라에서 송나라를 정벌하다/309
14. 선공 14년 병인(丙寅)/309
가. 공손귀보(公孫歸父)가 곡(穀)에서 회합하다/309
15. 선공 15년 정묘(丁卯)/310
가. 공손귀보가 송나라와 회합하다/310
나. 찰(札)이 소백(召伯)과 모백(毛伯)을 죽이다/313
16. 선공 16년 무진(戊辰)/316
가. 유우(留?)나라를 멸망시키다/316
17. 선공 17년 기사(己巳)/317
가. 선공이 단도(斷道)에서 동맹하다/317
18. 선공 18년 경오(庚午)/318
가. 주루(주婁)나라 사람이 증(?)나라 군주를 죽이다/318

제8편 성공 시대(成公時代)/321
1. 성공(成公) 원년 신미(辛未)/322
가. 정월에 성공(成公)이 즉위했다/322
2. 성공 2년 임신(壬申)/323
가. 제나라 군사가 대패(大敗)하다/323
나. 문양(汶陽) 땅을 점령하다/328
3. 성공 3년 계유(癸酉)/329
가. 신궁(新宮)에서 화재가 나다/329
4. 성공 4년 갑술(甲戌)/331
가. 기(杞)나라 군주인 백작이 찾아오다/331
5. 성공 5년 을해(乙亥)/332
가. 순수(荀首)를 곡(穀)에서 만나다/332
6. 성공 6년 병자(丙子)/334
가. 신사(辛巳)일에 무궁(武宮)을 세우다/334
7. 성공 7년 정축(丁丑)/336
가. 오(吳)나라가 담(?)나라를 정벌하다/336
8. 성공 8년 무인(戊寅)/337
가. 진(晉)나라에서 그의 대부들을 죽이다/337
9. 성공 9년 기유(己酉)/340
가. 백희(伯姬)가 송나라로 시집가다/340
10. 성공 10년 경진(庚辰)/342
가. 불길(不吉)하여 교제(郊祭)를 지내지 않다/342
11. 성공 11년 신사(辛巳)/343
가. 계손행보(季孫行父)가 진(晉)나라에 가다/343
12. 성공 12년 임오(壬午)/344
가. 성공이 사택(沙澤)에서 회합을 갖다/344
13. 성공 13년 계미(癸未)/345
가. 극기(극錡)가 군사를 요청하다/345
14. 성공 14년 갑신(甲申)/346
가. 숙손교여가 제나라 공녀를 맞이하다/346
15. 성공 15년 을유(乙酉)/347
가. 척(戚) 땅에서 동맹을 맺다/347
나. 조(曹)나라 군주를 잡아 경사(京師)로 보내다/349
16. 성공 16년 병술(丙戌)/351
가. 정월에 비가 내려 나무가 얼다/351
나. 계손행보(季孫行父)가 초구(苕丘)에 갇히다/354
17. 성공 17년 정해(丁亥)/356
가. 가릉(柯陵)에서 동맹을 맺다/356
18. 성공 18년 무자(戊子)/359
가. 진(晉)나라 사개(士?)가 찾아오다/359

제9편 양공 시대(襄公時代)/361
1. 양공(襄公) 원년 기축(己丑)/363
가. 정월에 양공(襄公)이 즉위하다/363
2. 양공 2년 경인(庚寅)/365
가. 부인(夫人) 강씨(姜氏)가 훙거하다/365
3. 양공 3년 신묘(辛卯)/367
가. 양공(襄公)이 진(晉)나라에서 돌아오다/367
4. 양공 4년 임진(壬辰)/369
가. 부인(夫人) 익씨(?氏)가 훙거했다/369
5. 양공 5년 계사(癸巳)/369
가. 초나라에서 임부(壬夫)를 죽이다/369
6. 양공 6년 갑오(甲午)/372
가. 거(?)나라에서 증(?)나라를 멸망시키다/372
7. 양공 7년 을미(乙未)/373
가. 소주루(小?婁)의 군주가 찾아오다/373
8. 양공 8년 병신(丙申)/375
가. 양공(襄公)이 진(晉)나라에 가다/375
9. 양공 9년 정유(丁酉)/377
가. 송(宋)나라에 화재(火災)가 발생하다/377
10. 양공 10년 무술(戊戌)/378
가. 오(吳)나라의 사(?)에서 회합하다/378
11. 양공 11년 기해(己亥)/380
가. 노나라에서 삼군(三軍)을 편성하다/380
12. 양공 12년 경자(庚子)/382
가. 거(?)나라에서 태(台)고을을 포위하다/382
13. 양공 13년 신축(辛丑)/383
가. 여름에 시(詩)나라를 정벌하다/383
14. 양공 14년 임인(壬寅)/384
가. 거(?)나라에서 동쪽 변방을 침략하다/384
15. 양공 15년 계묘(癸卯)/385
가. 계손숙과 공손표가 외곽 성을 쌓다/385
16. 양공 16년 갑진(甲辰)/387
가. 각 나라의 대부들이 모여 동맹을 맺다/387
17. 양공 17년 을사(乙巳)/389
가. 제나라가 조(?)를 포위하다/389
18. 양공 18년 병오(丙午)/390
가. 행인(行人) 석매(石買)를 체포하다/390
19. 양공 19년 정미(丁未)/391
가. 축아(祝阿)에서 동맹을 맺다/391
20. 양공 20년 무신(戊申)/393
가. 중손속(仲孫?)이 주루(?婁)나라를 정벌하다/393
21. 양공 21년 기유(己酉)/395
가. 난영(欒盈)이 초나라로 달아나다/395
22. 양공 22년 경술(庚戌)/396
가. 초나라에서 그의 대부를 죽이다/396
23. 양공 23년 신해(辛亥)/397
가. 초하루에 일식(日蝕)이 일어나다/397
24. 양공 24년 임자(壬子)/399
가. 중손갈(仲孫?)이 제나라를 침공하다/399
25. 양공 25년 계축(癸丑)/401
가. 최저(崔?)가 노나라를 침공하다/401
26. 양공 26년 갑인(甲寅)/403
가. 순오(荀吳)가 노나라를 예방오다/403
27. 양공 27년 을묘(乙卯)/405
가. 숙손표(叔孫豹)가 제후들과 동맹을 맺다/405
28. 양공 28년 병진(丙辰)/409
가. 제나라 경봉(慶封)이 도망해 오다/409
29. 양공 29년 정사(丁巳)/410
가. 혼(?)이 여제(餘祭)를 시해하다/410
30. 양공 30년 무오(戊午)/415
가. 채(蔡)나라 세자가 군주를 시해하다/415
31. 양공 31년 기미(己未)/418
가. 양공(襄公)이 초궁(楚宮)에서 훙거하다/418

제10편 소공 시대(昭公時代)/419
1. 소공(昭公) 원년 경신(庚申)/421
가. 정월에 소공(昭公)이 즉위(卽位)하다/421
2. 소공 2년 신유(辛酉)/425
가. 소공(昭公)이 진(晉)나라에 가다가 돌아오다/425
3. 소공 3년 임술(壬戌)/426
가. 숙궁(叔弓)이 등나라에 가다/426
4. 소공 4년 계해(癸亥)/427
가. 정월에 큰 우박이 내리다/427
5. 소공 5년 갑자(甲子)/428
가. 노나라에서 중군(中軍)을 폐지하다/428
6. 소공 6년 을축(乙丑)/430
가. 계손숙(季孫宿)이 진(晉)나라에 가다/430
7. 소공 7년 병인(丙寅)/431
가. 소공(昭公)이 초(楚)나라에 가다/431
8. 소공 8년 정묘(丁卯)/432
가. 행인(行人) 간징사(干徵師)를 죽이다/432
9. 소공 9년 무진(戊辰)/434
가. 낭(郎)에 짐승을 기르는 유(?)를 만들다/434
10. 소공 10년 기사(己巳)/435
가. 난시(欒施)가 우리 노나라로 도망해 오다/435
11. 소공 11년 경오(庚午)/436
가. 비포(比浦)에서 군사 훈련을 하다/436
12. 소공 12년 신미(辛未)/439
가. 소공이 황하에 이르렀다 돌아오다/439
13. 소공 13년 임신(壬申)/441
가. 숙궁(叔宮)이 군사로 비(費) 땅을 포위하다/441
14. 소공 14년 계유(癸酉)/444
가. 거(?)나라 군주인 거질(去疾)이 죽다/444
15. 소공 15년 갑술(甲戌)/445
가. 제사를 지내는데 숙궁(叔弓)이 죽다/445
16. 소공 16년 을해(乙亥)/446
가. 계손은여(季孫隱如)가 진(晉)나라에 가다/446
17. 소공 17년 병자(丙子)/447
가. 담(?)나라 군주가 찾아오다/447
18. 소공 18년 정축(丁丑)/448
가. 허(許)나라가 수도를 백우(白羽)로 옮기다/448
19. 소공 19년 무인(戊寅)/449
가. 기묘(己卯)일에 지진이 일어났다/449
20. 소공 20년 기묘(己卯)/451
가. 도적이 위(衛)나라 군주 첩(輒)을 죽이다/451
21. 소공 21년 경진(庚辰)/453
가. 소공(昭公)이 황하에 이르렀다 되돌아오다/453
22. 소공 22년 신사(辛巳)/454
가. 주(周)의 경왕(景王)이 붕어하다/454
23. 소공 23년 임오(壬午)/456
가. 거(?)나라 군주가 도망해 오다/456
24. 소공 24년 계미(癸未)/458
가. 중손확(仲孫?)이 세상을 떠나다/458
25. 소공 25년 갑신(甲申)/459
가. 관욕(??)이라는 새가 둥지를 틀고 살다/459
26. 소공 26년 을유(乙酉)/465
가. 소공(昭公)이 운(運) 땅에 거주하다/465
27. 소공 27년 병술(丙戌)/466
가. 주루(?婁)나라 쾌(快)가 도망해 오다/466
28. 소공 28년 정해(丁亥)/468
가. 소공이 진(晉)나라 간후(乾侯)에서 머물다/468
29. 소공 29년 무자(戊子)/468
가. 운(運) 땅이 공격받아 무너지다 /468
30. 소공 30년 기축(己丑)/469
가. 진(晉)나라의 군주 거질(去疾)이 죽다/469
31. 소공 31년 경인(庚寅)/470
가. 순역(荀?)이 간후의 소공을 위로하다/470
32. 소공 32년 신묘(辛卯)/474
가. 오(吳)나라가 월(越)나라를 정벌하다/474

제11편 정공 시대(定公時代)/477
1. 정공(定公) 원년 임진(壬辰)/478
가. 소공(昭公)의 시신을 간후(乾侯)에서 옮기다/478
2. 정공 2년 계사(癸巳)/480
가. 치문(雉門)의 양쪽 다락을 높이다/480
3. 정공 3년 갑오(甲午)/481
가. 중손하기(仲孫何忌)가 주루(주婁)나라와 맹약하다/481
4. 정공 4년 을미(乙未)/482
가. 공손생(公孫姓)이 심(沈)나라 군주를 죽이다/482
나. 오(吳)나라와 초(楚)나라가 싸우다/484
5. 정공 5년 병신(丙申)/487
가. 월(越)나라가 오(吳)나라로 쳐들어가다/487
6. 정공 6년 정유(丁酉)/488
가. 정공이 정(鄭)나라를 침공하다/488
7. 정공 7년 무술(戊戌)/489
가. 위(衛)나라 북궁결(北宮結)을 제나라에서 체포하다/489
8. 정공 8년 기해(己亥)/490
가. 정공(定公)이 제나라를 두 번이나 침공하다/490
나. 노나라에서 위(衛)나라를 정벌하다/492
9. 정공 9년 경자(庚子)/495
가. 노나라에서 보옥과 큰 활을 다시 찾다/495
10. 정공 10년 신축(辛丑)/496
가. 정공이 협곡(頰谷)에서 회합을 갖다/496
11. 정공 11년 임인(壬寅)/497
가. 숙선(叔還)이 정나라에서 맹약에 임석하다/497
12. 정공 12년 계묘(癸卯)/498
가. 노나라에서 비(費)의 성을 무너뜨리다/498
13. 정공 13년 갑진(甲辰)/500
가. 사연(蛇淵)에 동산을 축조(築造)하다/500
14. 정공 14년 을사(乙巳)/502
가. 북궁결(北宮結)이 노나라로 도망해 오다/502
15. 정공 15년 병오(丙午)/504
가. 정공(定公)이 고침(高寢)에서 훙거했다/504

제12편 애공 시대(哀公時代)/507
1. 애공(哀公) 원년 정미(丁未)/509
가. 생쥐가 교제(郊祭)의 소를 물어뜯다/509
2. 애공 2년 무신(戊申)/510
가. 채(蔡)나라가 주래(州來)로 옮겨 가다/510
3. 애공 3년 기유(己酉)/511
가. 갑오(甲午)일에 지진이 일어나다/511
4. 애공 4년 경술(庚戌)/514
가. 신축(辛丑)일에 포사(蒲社)에 화재가 났다/514
5. 애공 5년 신해(辛亥)/516
가. 윤달에 제나라 경공(景公)을 장사 지내다/516
6. 애공 6년 임자(壬子)/517
가. 국하(國夏)와 고장(高張)이 도망해 오다/517
7. 애공 7년 계축(癸丑)/520
가. 오(吳)나라와 증(?)에서 회합하다/520
8. 애공 8년 갑인(甲寅)/521
가. 제나라에서 훤(?) 땅과 단(?) 땅을 점령하다/521
9. 애공 9년 을묘(乙卯)/522
가. 송나라에서 정나라를 정벌하다/522
10. 애공 10년 병진(丙辰)/523
가. 주루(?婁)나라 군주가 도망해 오다/523
11. 애공 11년 정사(丁巳)/525
가. 오(吳)나라와 함께 제나라를 정벌하다/525
12. 애공 12년 무오(戊午)/526
가. 토지의 세법(稅法)을 실시하다/526
13. 애공 13년 기미(己未)/527
가. 월(越)나라가 오(吳)나라로 쳐들어가다/527
14. 애공 14년 경신(庚申)/529
가. 수렵(狩獵)하여 기린(麒麟)을 잡다/529

※ 원문자구색인(原文字句索引)/532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