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춘추좌전(하)

춘추좌전(하)

  • 좌구명
  • |
  • 자유문고
  • |
  • 2003-02-25 출간
  • |
  • 684페이지
  • |
  • 148 X 210 mm
  • |
  • ISBN 9788970300559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미래를 예측하고 현실의 난관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교과서. 중국 노(魯)나라 은공(隱公)부터 애공(哀公)까지 12대 242년간의 역사를 공자가 윤리적 입장에서 비판하여 정사(正邪)와 선악(善惡)의 가치판단을 내린 저서. 공자의 경(經)에 좌구명이 전(傳: 해설)을 쓴 것이 좌전이다.

※ 원문 자구색인 수록

서문: 춘추좌전(春秋左傳)이란 어떤 책인가?

『춘추(春秋)』는 공자(孔子)가 지은, 노(魯)나라 은공(隱公) 원년(B.C. 722년)에서 애공(哀公) 14년(B.C. 481년)까지 242년간 노나라 12대 임금의 역사서이다. 이 공자의 경문(經文)에 좌구명(左丘明)이 전(傳)을 지은 것이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이다.

『춘추』에는 세 가지 전(傳)이 있는데 『좌씨전』·『공양전(公羊傳)』·『곡량전(穀梁傳)』이다.

한(漢)나라 반고(班固)가 지은 『한서예문지(漢書藝文志)』에 보면 춘추는 모두 23가문(二十三家)에서 948편이 있는데 모두 없어지고 4가(四家)가 전해지다 추(鄒)씨·협(夾)씨의 전은 없어지고 『좌씨전』·『곡량전』·『공양전』만 전한다고 했다.

『한서예문지』에서는 공자가 춘추를 지은 이유를 소개했다.
“옛날에 왕자(王者)에게는 대대로 사관(史官)이 있어 군주가 행하는 일을 반드시 기록하였는데 언행을 삼가고 법식을 밝히기 위한 까닭이었다.
좌사(左史)는 말을 기록하고 우사(右史)는 일을 기록하였다.
일을 기록한 것을 춘추(春秋)라고 하고 말을 기록한 것을 상서(尙書)라고 하였다. 제왕은 이와 같이 하지 않을 수 없다.
노(魯)나라는 주공(周公)의 나라이므로 예(禮)와 문물(文物)을 갖추고 사관(史官)은 법도가 있다. 그 사기(史記)를 보아 행사에 의거하고 인도(人道)에 따라 이루어 공을 세우고 패(敗)함에 벌을 이룬다. 해와 달을 빌려 써 역수(曆數)를 정하고 조빙(朝聘)을 빌려 써 예악을 바로잡으며 칭찬하고 꺼리고 깎아내리고 물리치고 하는 바가 있다.
책으로 나타낼 수 없고 제자들에게 입으로 전수한다. 제자들은 물러나 말을 다르게 하므로, 좌구명이 제자가 각각 그 뜻을 쉽게 여겨 진실을 잃을까 두려워하였다. 그래서 사실을 논하여 전(傳)을 만들어 부자께서 말로만 한 것으로써 경을 설명할 수 없음을 밝힌 것이다….”

『춘추』는 노(魯)나라 사기(史記)였는데 왜 공자께서 노나라 사기인 『춘추』를 삭즉삭 제즉제(削則削除則除: 깎을 것은 깎아내고 없앨 것은 없애고)하여 지었을까. 그 이유를 『맹자』 등문공(?文公) 하편에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세상이 쇠퇴하고 정도(正道)가 희미해져 사설(邪說)과 폭행이 일어났다. 신하로서 자기 임금을 죽이는 자가 생기고 자식으로서 그 아비를 죽이는 자가 생기자 공자께서 이를 두려워하시어 『춘추』를 지으셨다. 『춘추』는 천자(天子)의 일을 다룬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자께서는 ‘나를 알아주는 것은 오직 『춘추』를 통해서일 것이며 나를 벌하는 것도 오직 『춘추』를 통해서일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이처럼 『춘추』는 공자의 사상이 깃들어 있는 역사서이며 현재까지도 역사기록의 사표로 일컬어지고 있다.

『춘추좌씨전』은 중국에서도 13경(十三經) 안에 넣었으며 『좌전(左傳)』이라고 약칭되는데 이 약칭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곧 공자께서 지은 『춘추』를 좌구명이라는 사람이 전(傳)을 지어서 그 명칭을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이라고 이름 붙여진 것이다.

사마천(司馬遷)이 지은 『사기(史記)』 12제후(十二諸侯) 연표서(年表序)에 보면 “공자가 춘추를 지은 큰 의의를 여러 제자들에게 구전(口傳)했는데 공자가 세상을 떠난 후 제자들이 각기 춘추의 해석을 다르게 하자 공자와 잘 알고 지내던 좌구명(左丘明)이 공자가 춘추를 지은 대의(大義)를 올바르게 밝히자는 뜻으로 『춘추좌씨전』을 지었다.”라고 했다.
일설에는 좌구명은 공자 때의 사람으로, 공자의 연배인데 좌씨전을 짓지 않았고 후세에 어떤 사람이 글을 짓고 작자를 좌구명으로 가탁(假託)했다는 설이 있는데 이 말이 유력해지고 있다.
좌구명이 전을 지었다는 것을 부정하는 사람들은 좌구명이 공자의 선배였다는 이외에도 『좌전』 애공(哀公) 27년조(條)의 전(傳)을 이야기한다. 애공 27년조에 노도공(魯悼公) 4년의 일이 쓰여 있는데 도공 4년은 애공 14년에서 50년 후이며, 도공이라는 시호를 쓴 것은 도공이 세상을 떠난 뒤의 사람이 전을 지었다는 설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역사 전공자에게 맡기기로 한다.

『춘추좌씨전』이 각광받기 시작한 것은 중국의 삼국시대(三國時代)였으며 서진(西晉)의 두예(杜預:222∼284)가 『춘추경전집해(春秋經傳集解)』를 저작하여 집대성하고 『춘추좌씨전』의 면목을 일신시키면서부터이다.
두예의 『춘추경전집해』가 나오기 이전에는 『춘추』의 경문(經文)과 『좌씨전(左氏傳)』이 별도의 책으로 전해오고 있었고 『공양전』이나 『곡량전』에 밀려 별로 빛을 발하지 못했다.
두예(杜預)가 경문에 대응되는 대로 원문을 넣어 각 년마다 나누어 붙였다. 또 『춘추석례(春秋釋例)』를 지어 『좌씨전』의 내용을 상세히 검토하고 서문도 지어서 넣었다. 이후부터 『좌씨전』은 그 전파속도가 빨라지고 널리 퍼졌다.

당(唐)나라에서 공영달(孔穎達: 국자좨주)이 태종(太宗)의 칙명으로 『오경정의(五經正義)』를 짓는데 『좌씨전』을 정통으로 채택하자 이후부터 『공양전』이나 『곡량전』의 우위에 놓이게 되었으며 오경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송(宋)나라 때 주희(朱熹: 1130∼1200)는 『주자어류(朱子語類)』 제83권에서 “『좌씨전』은 사학(史學)이고 『공양전』 『곡량전』은 경학(經學)이다.”라고 했다.
후한(後漢)시대 정현(鄭玄)도 『육례론(六禮論)』에서 『춘추』 삼전(三傳)의 논평을 했는데 “『공양전』은 미래를 예언하는데 뛰어나고 『곡량전』은 경문(經文)의 의의를 순정(純正)하게 한 데 뛰어나며 『좌씨전』은 예의에 입각하여 옳고 그른 것을 논한 것에 뛰어나다.”고 했다.

『공양전』과 『곡량전』은 유가(儒家)의 사상에 구애된 입장에서 경문(經文)의 의의를 해명하여 사실(史實)을 망각한 부분이 왕왕 있는 반면 『좌씨전』은 풍부한 역사적 사실을 가지고 경문을 실증적으로 설명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좌씨전』은 춘추 시대 귀족사회의 여러 제도를 사실대로 적은 대사서(大史書)이며 그 시대의 사회와 인물, 그 시대의 문물(文物)들을 사실적으로 기술한 문학적인 면도 지니고 있으며 당시 중국의 사상이나 인도(人道)를 논하는 철학적인 면도 내포하고 있다 하겠다.

끝으로 천학비재한 필자가 성인(聖人)의 서(書)인 『춘추좌씨전』을 해역한다는 것이 송구스러울 따름이다. 대가(大家)의 질정(叱正)이 있기를 기대한다.

단 이 해역본(解譯本)은 중국 진(晉)나라의 두예(杜預) 주(注),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 소(疏)이며, 청(淸)나라 사고전서(四庫全書)의 영인본인 황간(黃侃)의 경문구두(經文句讀)의 본(本)을 사용했다. 편의 분류는 경문사(景文社. 1981년)에서 영인한 영인본에 따랐다.


목차


제22편 소공(昭公) ③/15
1. 소공 8년 정묘(丁卯)의 일들/15
가. 위유(魏楡)에서 돌이 말을 하다…16
나. 진(陳)나라 애공(哀公)은 둘째부인을 사랑하다…17
다. 제(齊)나라의 공자들이 망명해 오다…19

2. 소공 9년 무진(戊辰)의 일들/23
가. 제후들이 진(陳)나라에서 회합하다…23
나. 진(晉)나라에서 천자의 영토를 정벌하다…24
다. 진(陳)나라에 화재가 일어나다…27
라. 진(晉)나라 순영(荀盈)이 세상을 떠나다…28

3. 소공 10년 기사(己巳)의 일들/30
가. 진(晉)나라 군주가 죽게 될 것이다…31
나. 혜씨(惠氏) 난씨(欒氏) 고씨(高氏)는 술을 좋아한다…32
다. 평자(平子)가 거(?)나라를 정벌하다…35
라. 진(晉)나라 평공(平公)이 세상을 떠나다…36

4. 소공 11년 경오(庚午)의 일들/39
가. 숙궁(叔弓)이 송(宋)나라에 조문가다…40
나. 비포(比蒲)에서 크게 군사 훈련을 하다…43
다. 채(蔡)나라를 구원할 것을 의논하다…44
라. 노(魯)나라에서 제귀(齊歸)를 장사 지내다…46
마. 진(陳)과 채(蔡)에 성을 쌓다…47

5. 소공 12년 신미(辛未)의 일들/49
가. 북연(北燕)의 백작을 당(唐)으로 들여보내다…50
나. 송(宋)나라 화정(華定)이 예방하다…51
다. 초(楚)나라에서 성호(成虎)를 죽이다…53
라. 계평자(季平子)가 가문의 후계자가 되다…55
마. 초나라에서 오(吳)나라를 두렵게 하다…59

제23편 소공(昭公) ④/65
1. 소공 13년 임신(壬申)의 일들/65
가. 비(費) 고을을 포위하여 오히려 패했다…66
나. 허(許)나라를 다른 곳으로 옮기다…67
다. 초나라 공자가 초나라로 쳐들어가다…69
라. 기질(棄疾)이 초나라 왕이 되다…73
마. 진(晉)나라에서 사기(?祁)궁을 짓다…80
바. 주(주)나라와 거(?)나라가 진(晉)나라에 호소하다…85
사. 채나라와 진(陳)나라를 회복시키다…89
아. 계평자(季平子)가 진(晉)나라에 인질로 있었다…91

2. 소공 14년 계유(癸酉)의 일들/93
가. 의여(意如)가 진(晉)나라에서 돌아오다…94
나. 초나라에서 서부 지방의 군대를 점검하다…96
다. 거(?)나라에서 의회(意恢)를 살해하다…97

3. 소공 15년 갑술(甲戌)의 일들/100
가. 무공(武公)에게 체제(?祭)를 지내다…100
나. 천자(天子)의 태자가 세상을 떠나다…102
다. 소공(昭公)이 진(晉)나라에 가다…105

4. 소공 16년 을해(乙亥)의 일들/108
가. 소공(昭公)이 진(晉)나라에 머물렀다…109
나. 한기(韓起)가 정(鄭)나라를 예방하다…110
다. 한선자(韓宣子)를 정나라에서 전송하다…115
라. 소공(昭公)이 진(晉)나라에서 돌아오다…117

5. 소공 17년 병자(丙子)의 일들/119
가. 소주(小?)의 목공(穆公)이 찾아오다…119
나. 담(?)나라 군주가 찾아왔다…121
다. 낙수(?水)와 삼도산(三塗山)의 제사를 요청하다…124
라. 혜성(彗星)이 대화성(大火星)에 나타나다…125
마. 오(吳)나라가 초(楚)나라를 정벌하다…127

제24편 소공(昭公) ⑤/129
1. 소공 18년 정축(丁丑)의 일들/129
가. 모득(毛得)이 모백과(毛伯過)를 죽이다…129
나. 병자(丙子)일에 큰 바람이 불었다…130
다. 주(?)나라에서 우(?)나라를 습격하다…133
라. 정(鄭)나라에서 화재의 액을 털어내다…134
마. 허(許)나라와 정나라는 원수로 여긴다…137

2. 소공 19년 무인(戊寅)의 일들/138
가. 초(楚)나라에서 겹(?)에 성을 쌓았다…138
나. 정(鄭)나라의 사언(駟偃)이 세상을 떠나다…141
다. 초(楚)나라에서 주래(州來)에 성을 쌓다…143

3. 소공 20년 기묘(己卯)의 일들/145
가. 2월 기축(己丑)일에 해가 정남에 이르다…145
나. 송(宋)나라 원공(元公)은 불공평했다…149
다. 공맹(公孟)이 제표(齊豹)를 가벼이 여기다…150
라. 송나라에 화씨(華氏)와 향씨(向氏)의 난이 있었다…156
마. 제(齊)나라 군주가 옴이 오르다…158
바. 제(齊)나라 군주가 사냥하다…162
사. 정(鄭)나라 자산(子産)이 병들다…165

4. 소공 21년 경진(庚辰)의 일들/167
가. 천자(天子)가 종(鍾)을 주조하려 하다…168
나. 채(蔡)나라 평공(平公)을 장사 지내다…169
다. 송(宋)나라 화비수(華費遂)는 세 아들을 두었다…170
라. 임오(壬午)일 초하루에 일식이 있었다…172
마. 채(蔡)나라 군주가 초나라로 달아났다…177

5. 소공 22년 신사(辛巳)의 일들/178
가. 제(齊)나라에서 거(?)나라를 정벌하다…179
나. 닭이 사람의 제물로 쓰이기를 싫어하다…181
다. 천자인 경왕(景王)을 장사 지내다…183

제25편 소공(昭公) ⑥/187
1. 소공 23년 임오(壬午)의 일들/187
가. 계묘일에 교(郊)와 심(?)이 무너지다…188
나. 선(單)나라에서 자(?)를 점령하다…191
다. 오(吳)나라에서 주래(州來)를 정벌하다…193
라. 남궁극(南宮極)이 지진으로 죽었다…195
마. 초나라에서 낭와(囊瓦)가 영윤이 되다…197

2. 소공 24년 계미(癸未)의 일들/199
가. 감(甘)나라 환공이 왕자 조(朝)를 찾아가다…199
나. 을미(乙未)일에 일식이 있었다…201
다. 초(楚)나라에서 수군(水軍)을 편성하다…203

3. 소공 25년 갑신(甲申)의 일들/204
가. 숙손착(叔孫?)이 송나라를 예방하다…205
나. 황보(黃父)의 회합은 왕실에 대한 상의였다…207
다. 노(魯)나라에 구욕새가 날아와 살다…211
라. 계공조는 포문자(鮑文子)의 집에서 아내를 맞다…212
마. 윤(尹)나라 문공이 동자(東?)를 불사르다…220
바. 장소백(臧昭伯)이 진(晉)나라에 가다…222

4. 소공 26년 을유(乙酉)의 일들/223
가. 제(齊)나라에서 운(운)을 점령하다…224
나. 선(單)나라 군주가 진(晉)나라에 위급을 고하다…229
다. 천자가 활(滑)에서 군사를 일으키다…231
라. 제(齊)나라에 혜성(彗星)이 나타나다…235

제26편 소공(昭公) ⑦/239
1. 소공 27년 병술(丙戌)의 일들/239
가. 소공(昭公)이 제(齊)나라에 가다…239
나. 극완(?宛)은 곧고도 부드러웠다…242
다. 소공(昭公)을 들어오게 하는 모의였다…245
라. 초(楚)나라에서 영윤(令尹)을 비방하다…247

2. 소공 28년 정해(丁亥)의 일들/249
가. 소공(昭公)이 진(晉)나라에 가다…250
나. 진(晉)나라 한선자(韓宣子)가 죽었다…254
다. 진(晉)나라 경양(梗陽) 땅의 소송사건…258

3. 소공 29년 무자(戊子)의 일들/259
가. 소공(昭公)이 운(?)에 거처하다…260
나. 진(晉)나라 도읍에 용이 나타나다…262
다. 진(晉)나라에서 여수(汝水)에 성을 쌓다…266

4. 소공 30년 기축(己丑)의 일들/267
가. 소공(昭公)이 간후(乾侯)에 있었다…268
나. 오(吳)나라 공자가 초나라로 달아나다…270

5. 소공 31년 경인(庚寅)의 일들/273
가. 진(晉)나라에서 소공(昭公)을 들여보내려 하다…274
나. 오(吳)나라에서 초(楚)나라를 침공하다…276

6. 소공 32년 신묘(辛卯)의 일들/279
가. 오(吳)나라가 월(越)나라를 정벌하다…280
나. 노나라 소공(昭公)이 훙거하다…284

제27편 정공(定公) 상(上)/288
1. 정공 원년 임진(壬辰)의 일들/288
가. 진(晉)나라에서 성주(成周)에 성 쌓기를 착수하다…288
나. 숙손성자(叔孫成子)가 소공의 시체를 맞이하다…292

2. 정공 2년 계사(癸巳)의 일들/295
가. 공(鞏)나라에서 간공(簡公)을 죽였다…295

3. 정공 3년 갑오(甲午)의 일들/296
가. 선우(鮮虞) 사람이 진(晉)나라 군사를 쳐부수다…297
나. 채(蔡)나라 소공(昭公)을 초나라에서 잡아두다…298

4. 정공 4년 을미(乙未)의 일들/300
가. 유(劉)나라 문공(文公)이 제후들을 모이게 하다…301
나. 심(沈)나라가 소릉의 회합에 불참하다…308
다. 초나라 군주는 저수(雎水)를 건너다…313
라. 오원(伍員)과 신포서(申包胥)는 친한 벗이다…316

5. 정공 5년 병신(丙申)의 일들/317
가. 초(楚)나라에서 왕자 조(朝)를 죽이다…318
나. 신포서(申包胥)가 진(秦)나라 군사를 빌려 오다…319
다. 양호(陽虎)가 계환자를 가두다…321

6. 정공 6년 정유(丁酉)의 일들/324
가. 정(鄭)나라에서 허(許)나라를 멸망시키다…325
나. 오(吳)나라에서 초나라 수군을 쳐부수다…327

7. 정공 7년 무술(戊戌)의 일들/330
가. 주(周)나라 담편(?翩)이 반란을 일으키다…330

제28편 정공(定公) 하(下)/333
1. 정공 8년 기해(己亥)의 일들/333
가. 정공(定公)이 제(齊)나라를 침공하다…334
나. 진(晉)나라에서 송나라 악기(樂祁)를 돌려보내다…335
다. 진(晉)나라가 위(衛)나라와 맹약을 하려는데…337
라. 사앙(士?)이 성(成)나라 환공(桓公)과 회합하다…339

2. 정공 9년 경자(庚子)의 일들/343
가. 송(宋)나라와 진(晉)나라가 맹약하다…343
나. 양호(陽虎)가 훔쳐간 보옥을 돌려보내다…345
다. 제(齊)나라에서 진(晉)나라 이의(夷儀)를 정벌하다…347

3. 정공 10년 신축(辛丑)의 일들/350
가. 노나라와 제나라가 화평을 맺다…351
나. 진(晉)나라에서 위(衛)나라를 포위하다…354
다. 무숙(武叔)을 숙손씨의 후계자로 삼으려 하다…355
라. 송나라 공자 지(地)가 거부렵(?富獵)을 사랑하다…359

4. 정공 11년 임인(壬寅)의 일들/360
가. 송(宋)나라에서 반란이 일어났다…361

5. 정공 12년 계묘(癸卯)의 일들/361
가. 위(衛)나라에서 조(曹)나라를 정벌하다…362

6. 정공 13년 갑진(甲辰)의 일들/364
가. 제와 위(衛)가 수가(垂가)에 군사를 주둔시켰다…365
나. 조앙(趙?)이 한단의 오(午)에게 말하다…366
다. 공숙문자(公叔文子)가 군주를 집으로 모시다…370

7. 정공 14년 을사(乙巳)의 일들/371
가. 위(衛)나라에서 공숙수(公叔戍) 일당을 축출하다…372
나. 위(衛)나라의 북궁결(北宮結)이 망명해 오다…373
다. 진(晉)나라에서 조가(朝歌)를 포위하다…375

8. 정공 15년 병오(丙午)의 일들/377
가. 주(?)나라 은공(隱公)이 노나라를 찾아왔다…378

제29편 애공(哀公) 상(上)/383
1. 애공 원년 정미(丁未)의 일들/383
가. 초(楚)나라에서 채(蔡)나라를 포위하다…383
나. 제(齊)나라와 위(衛)나라가 오록(五鹿)을 포위하다…386
다. 오(吳)나라에서 진(陳)나라를 침공하다…388

2. 애공 2년 무신(戊申)의 일들/390
가. 노(魯)나라에서 주(?)나라를 정벌하다…391
나. 제(齊)나라에서 진(晉)나라에 곡식을 보내다…393
다. 공손방이 조간자의 빼앗긴 깃발을 다시 찾아오다…397

3. 애공 3년 기유(己酉)의 일들/398
가. 제(齊)와 위(衛)가 진(晉)나라를 포위하다…399
나. 계손(季孫)씨가 병이 들었다…401

4. 애공 4년 경술(庚戌)의 일들/403
가. 채(蔡)나라 소공(昭公)이 오나라에 가려고 하다…404

5. 애공 5년 신해(辛亥)의 일들/407
가. 진(晉)나라에서 백인(柏人)을 포위하다…407

6. 애공 6년 임자(壬子)의 일들/410
가. 진(晉)나라가 선우(鮮虞)를 정벌한 것은…410
나. 초(楚)나라에서 진(陳)나라를 구원하려 하다…412
다. 병의자(?意玆)가 노나라로 도망왔다…415

7. 애공 7년 계축(癸丑)의 일들/418
가. 송(宋)나라에서 정(鄭)나라를 침공하다…419
나. 계강자(季康子)가 주(?)나라를 정벌하다…422
다. 송(宋)나라에서 조(曹)나라를 포위하다…424

8. 애공 8년 갑인(甲寅)의 일들/426
가. 송(宋)나라에서 조(曹)나라를 정벌하다…426
나. 제(齊)나라에서 노나라를 침공하다…431

9. 애공 9년 을묘(乙卯)의 일들/433
가. 제나라에서 공맹작(公孟綽)을 오나라에 보내다…433
나. 진(晉)나라에서 정나라를 구원하다…434

10. 애공 10년 병진(丙辰)의 일들/436
가. 주(?)나라 군주가 도망해 오다…437

11. 애공 11년 정사(丁巳)의 일들/438
가. 제나라에서 쳐들어오다…439
나. 진(陳)나라 원파(轅頗)가 정나라로 도망하다…443
다. 오(吳)나라에서 제나라를 정벌하려 하다…447
라. 노(魯)나라 계손씨가 국토를 수비하다…449

12. 애공 12년 무오(戊午)의 일들/452
가. 노나라에 토지세법이 시행되다…452
나. 오나라의 맹약을 사절하다…454
다. 노(魯)나라에 메뚜기떼가 일어나다…456

13. 애공 13년 기미(己未)의 일들/457
가. 향퇴(向?)가 군사를 구하러 가다…458
나. 오(吳)나라와 진(晉)나라가 맹주를 다투다…460

제30편 애공(哀公) 하(下)/465
1. 애공 14년 경신(庚申)의 일들/465
가. 서상(?商)이 기린(麒麟)을 잡다…466
나. 제나라 간공(簡公)이 감지(?止)를 사랑하다…467
다. 송나라 군주가 환퇴(桓?)를 없애려 하다…471
라. 진항(陳恒)이 군주를 시해(弑害)하다…475

2. 애공 15년 신유(辛酉)의 일들/477
가. 성읍(成邑)이 노(魯)나라를 배반했다…477
나. 진관(陳瓘)이 위(衛)나라를 통과하다…479
다. 공문자의 아내가 혼양부(渾良夫)와 통정하다…482

3. 애공 16년 임술(壬戌)의 일들/485
가. 만성(瞞成)과 저사비(?師比)가 달아나다…485
나. 공자(孔子)가 세상을 떠났다…486
다. 초나라 태자 건(建)이 정(鄭)나라로 달아나다…488
라. 위(衛)나라 군주가 꿈으로 점을 치다…495

4. 애공 17년 계해(癸亥)의 일들/496
가. 위(衛)나라에서 혼양부(渾良夫)를 죽이다…496
나. 진(陳)나라에서 초나라를 침공하다…498
다. 위(衛)나라 군주가 꿈을 꾸다…501
라. 애공(哀公)이 제(齊)나라와 회합하다…503

5. 애공 18년 갑자(甲子)의 일들/505
가. 송(宋)나라에서 황원(皇瑗)을 죽이다…505

6. 애공 19년 을축(乙丑)의 일들/506
가. 월(越)나라에서 초나라를 침공하다…506

7. 애공 20년 병인(丙寅)의 일들/507
가. 제나라에서 회합할 것을 요청하다…507
나. 월나라에서 오(吳)나라를 포위했다…508

8. 애공 21년 정묘(丁卯)의 일들/511
가. 월나라 사람이 노나라에 왔다…511

9. 애공 22년 무진(戊辰)의 일들/512
가. 주(?)나라 은공(隱公)이 월나라에 가서 말하다…512

10. 애공 23년 기사(己巳)의 일들/513
가. 송나라 원공(元公)의 부인이 세상을 떠나다…513

11. 애공 24년 경오(庚午)의 일들/515
가. 진(晉)나라에서 제나라를 정벌하려 하다…515

12. 애공 25년 신미(辛未)의 일들/517
가. 위(衛)나라 군주가 송(宋)나라로 달아나다…517
나. 애공(哀公)이 월(越)나라에서 돌아오다…521

13. 애공 26년 임신(壬申)의 일들/522
가. 숙손서(叔孫舒)가 위나라 군주를 들여보내려 하다…522
나. 송(宋)나라에서는 태자를 세우지 못했다…524
다. 위(衛)나라 출공(出公)이 말했다…528

14. 애공 27년 계유(癸酉)의 일들/529
가. 월나라에서 후용(后庸)이 예방오다…529
나. 순요(荀瑤)가 정나라를 정벌하다…530
다. 애공(哀公)이 삼환(三桓)을 제거하고자 하다…533

정공 시대 연표…287
애공 시대 연표…381

※ 경·전문(經傳文) 자구(字句) 색인(索引)/ 535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