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정보봉사개론 (제7판)

정보봉사개론 (제7판)

  • 신인수
  • |
  • 스페라플러스(speraplus)
  • |
  • 2022-09-01 출간
  • |
  • 576페이지
  • |
  • 200x270mm/1094g
  • |
  • ISBN 9791188116171
판매가

35,000원

즉시할인가

31,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1,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 책의 특징]

1. ‘정보봉사론’, ‘정보검색론’, ‘디지털도서관론’으로 영역을 나누어 공무원 시험에 출제되는 모든 영역의 이론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1. 부록에는 기본 주제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필수적인 지식(정보학 분야 학자정리 등)이라 생각되는 분야를 함께 포함하여 외연을 확장하였다.

2. 대상은 지방직, 교육청,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사서교사 임용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참고할 만한 정보학 분야 관련 내용을 모아 종합하였다.

 

내용별 특징을 살펴보면,

○ 정보봉사론: 최근 번역, 소개된 자료의 중요 내용을 기존주제의 틀에 맞도록 반영

○ 정보검색론: 심화 수준의 내용과 순위화 기법 등 최근 도입된 검색분야의 새로운 내용을 소개

○ 디지털도서관: 최근 경향에 따는 새로운 개념(4차 산업혁명과 시맨틱 웹, 도서관 3.0, XML 코딩 소스 등)을 추가하였다.

○ 정보학: 정보와 정보학의 정의, 계량서지학 영역, 데이터사이언스, 학술커뮤니케이션 등의 내용을 추가하였다. 

목차

 

정보봉사론

제 1 장 정보봉사 일반

01 정보봉사의 개념

➊ 정의와 연관개념

➋ 연관개념 간의 관계

➌ 참고봉사의 3요소

➍ 참고봉사 모델

 

02 정보봉사의 기능

➊ 학자별 견해

➋ 정보제공

➌ 교육

➍ 상담 및 지도 서비스/안내

➎ 간접적 기능

➏ 정보안내서비스

 

03 정보봉사의 제공수준

➊ 참고봉사의 수준

➋ 보수이론(conservative theory)

➌ 중도이론(moderate theory)

➍ 진보이론(progressive theory)

➎ 참고과정이론(theory of reference process)

 

04 정보봉사의 필요성과 발전

➊ 정보서비스의 필요성과 도입 배경

➋ 정보서비스의 성장

 

05 참고사서

➊ 참고사서의 의의

➋ 참고사서의 자격과 자질

➌ 참고사서의 역할변화

 

제 2 장 정보봉사의 평가

01 평가의 개요

➊ 평가의 개념과 이유

➋ 평가요소의 설정

 

02 평가의 유형과 기법

➊ 평가유형

➋평가기법

 

제 3 장 이용자 교육

01 이용자 교육의 의의

02 이용자교육의 유형

➊ 비공식적 교육(개별교육)

➋ 공식적 교육(단체교육)

 

03 이용자교육의 방법

➊ 강의

➋ 견학

➌ 시청각매체의 활용

➍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

 

04 이용자교육의 운영

➊ 교육프로그램의 계획

➋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➌ 도서관 연계교육 모델

➍ 교육의 평가

➎ 정보리터러시(Information Literacy)

 

제 4 장 정보봉사의 과정

01 참고과정의 의의

02 이용자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

➊ 정보이용행태의 모형

➋ 학문영역별 정보이용행태

➌ 이용자 연구방법

 

03 정보요구의 형성과 참고질문

➊ 개요

➋ 정보요구의 형성과 분석

➌ 정보면담과정에서 장애요인

➍ 정보질문의 유형

➎ 참고질문의 기록

➏ 참고면담과 커뮤니케이션

 

04 정보면담과정

➊면담의 의의와 필요성

➋ RUSA 가이드 라인

➌ 정보면담기법

 

05 탐색전략 수립

➊ 탐색전략 설정단계

➋ 질문내용의 분석과 확인방법

➌ 수작업 탐색과 온라인 탐색

 

06 탐색실행 단계

➊ 포괄적 자료에서 특정자료로

➋ 특정자료에서 포괄적 자료로

➌ 보완적 접근

➍ 부차적 고려사항

 

07 해답제공 단계

➊ 적합성 평가와 연관성 평가

➋ 해답의 소요시간

 

제 5 장 디지털 정보봉사

01 온라인 참고봉사의 개념

02 디지털 참고봉사의 유형 및 특징

➊ 전자우편

➋ 전자게시판

➌ 웹 폼 방법

➍ (문자)채팅

➎ 화상회의

 

03 협력형 디지털정보서비스

➊ CDRS(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의 의의

➋ 주요 서비스

 

04 가상참고서가

➊ 개요

➋ 특성과 인터넷 참고정보원

➌ 가상참고서가 구축의 필요성

➍ 가상참고서가의 운용사례

 

제 6 장 도서관 네트워크와 원문서비스

01 도서관 네트워크의 개념

02 도서관 네트워크의 발전과 기능

➊ 도서관 네트워크의 발전

➋ 도서관 네트워크의 기능

 

03 국내 도서관 네트워크 및 주요 정보서비스 기관

➊ 국가전자도서관

➋ 국가자료 공동목록 시스템(KOLIS-NET)

➌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➍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ScienceON

➎ 학술정보공동활용협의회(KORSA)

 

04 해외 도서관 네트워크

➊ OCLC(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➋ CARL(The Colorado Alliance of Research Libraries)

 

05 상호대차와 전문서비스

➊ 개요

➋ 유형과 특성

➌ 문헌배달서비스

➍ 전자적 전문서비스

 

제 7 장 참고정보원

01 정보자료의 유형

➊ 정보원의 구분

➋ 참고정보원의 특징

 

02 참고정보원 선택평가

03 참고정보원의 이해

➊ 서지

➋ 색인

➌ 광역주제․주제색인

➍ 백과사전

➎일반 사전

➏ 인물정보원

➐ 지리정보원

➑ 선택을 위한 안내자료

➒ 즉답형 정보원

➓ 정부간행물

 

04 온라인 전자정보원

➊ 개요

➋ 전자책(Electronic Book)

➌전자저널 & 어그리게이터(Electronic Journal & Aggregator)

 

05 인용 및 참고문헌수록 양식

➊ 개요

➋ 인용의 원칙

 

PART 2 정보검색론

제 1 장 정보검색과 시스템 일반

01 정보검색의 개념

02 정보검색의 발전

➊ 용어의 출현

➋ 발전과정

➌ 주요 인물

 

03 정보검색의 내용과 구분

➊ 정보검색의 내용

➋ 축적정보의 내용에 의한 구분

➌ 컴퓨터의 처리방법에 의한 구분

 

04 정보검색시스템의 유형과 특성

➊ 정보검색시스템의 유형

➋ 온라인검색시스템의 종류와 특성

 

05 인터넷 정보검색시스템

➊ 검색엔진의 개요

➋ 검색엔진의 유형

 

제 2 장 색인

01 색인의 의미와 기능

➊ 색인의 의미

➋ 색인의 기능과 성격

 

02 색인의 종류와 특성

➊ 주제색인기법

➋ 인용색인

 

03 시소러스

➊시소러스의 용어 및 용도

➋ 용어의 상호관계

➌ 주제명표목표

 

05 자동색인

➊ 자동색인의 개요

➋자동색인의 발전

➌ 자동색인 기법

 

06 초록

➊ 개요

➋ 초록의 기능

➌ 초록의 종류

➍ 문헌요약의 유형 및 종류

➎ 텍스트 요약

 

07 범주화

➊ 범주화의 개념

➋ 문헌분류

➌ 클러스터링

 

제 3 장 정보의 축적

01 파일의 종류와 특징

➊ 순차파일(Sequential File)

➋ 색인순차파일(Indexed Sequential File)

➌ 직접파일(Direct File)

➍ 리스트형태 파일

➎ 도치파일(Inverted File)

➏ 클러스터파일(Clustered File)

 

02 데이터베이스

➊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및 특징

➋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특징

➌데이터베이스 모델의 유형

➍ 데이터베이스 관련 개념

➎ 개체-관계(ER) 모델

 

제 4 장 정보탐색의 실제

01 정보탐색과정 모델

➊ Bates의 모델

➋ JISC IE의 기능 모델

 

02 정보탐색 전략 수립 및 수립과정

➊ 검색전략수립 과정

➋ 검색전략의 종류

 

03 정보검색기법

➊ 연산자

➋ 가중치기법

➌ 퍼지집합(Fuzzy Set) 검색

➍ 퍼지탐색(Fuzzy Searching)

➎ 질의확장

➏ 탐색보조기법(온라인 탐색수단)

➐ 정보검색 모델

➑ 주요 검색모델의 확장

➒ 연계검색 모델

 

04 브라우징(browsing) 탐색

➊ 개요

➋ 브라우징의 유형

➌ 브라우징 전략

➍ 탐색과 브라우징의 통합

 

제 5 장 정보검색 시스템의 평가

01 정보검색시스템 평가 기준

➊ 평가 고려사항 및 기준

➋ 적합성

 

02 재현율-정확률 평가척도

➊ 재현율-정확률 및 대체 효율척도

➋ 검색결과별 대처방법

➌ 재현율과 정확률의 평균치 산출

➍ 성능곡선과 측정척도

 

03 단일가 척도와 순위화된 검색결과 평가

➊ E-척도와 F-척도

➋ 순위화된 검색결과 평가

 

04 검색결과의 순위화와 사용성 평가

➊ 검색결과의 순위화

➋ 사용성 평가

 

05 검색결과의 결합

 

제 6 장 정보검색 실험

01 Cranfield 테스트

➊ 개요

➋ Cranfield I

➌ Cranfield II

 

02 TREC 시리즈

 

제 7 장 차세대 정보검색

01 시맨틱 검색

➊ 시맨틱 검색과 FRBR

➋ 시맨틱 웹과 인공지능

 

02 온톨로지

➊ 개요

➋ 시소러스와 온톨로지

➌ 온톨로지 언어와 표현

➍ 온톨로지 구축

➎ 시맨틱 검색

 

PART 3 디지털도서관론

제 1 장 디지털도서관 구축

01 도서관 전산화 시스템의 역사

02 도서관전산화 시스템의 기능

➊ 도서관전산화의 방법

➋ 단위별 자동화시스템

 

03 도서관전산화시스템의 분석 및 설계

➊ 자체개발시

➋ 패키지 시스템 의뢰 및 구입시

 

04 디지털도서관의 개념과 구성

➊ 디지털도서관의 개념

➋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제 2 장 디지털 장서관리

01 디지털 장서의 개념 및 유형

➊ 인터넷 정보지형의 이해

➋ 디지털 장서의 유형

 

02 디지털 장서의 개발

➊ 디지털 장서 개발정책

➋ 디지털 장서 구축

 

03 Open Access와 Digital Archiving

➊ Open Access 운동과 한계

➋ 디지털 아카이빙

 

04 디지털 장서의 보존과 관리

➊ 디지털 포맷과 보존

➋ 디지털 장서관리와 보존처리 기술

 

05 디지털 객체 유형과 주요 포맷

➊ 디지털 객체의 유형

➋ 디지털 객체의 포맷

 

제 3 장 메타데이터 관리

01 메타데이터의 개요

➊ 메타데이터의 개념과 생성방법

➋ 메타데이터의 유형과 기능

 

02 메타데이터 스키마와 상호운용

➊ 표준 메타데이터의 스키마

➋ 메타데이터의 상호운용성

➌ 메타데이터의 구문과 작성

 

제 4 장 디지털도서관 네트워크 기술

01 인터넷 정보통신 일반

➊ 네트워크 통신망

➋ 네트워크 구성요소

➌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➍ IP 주소체계

➎ 도메인 네임

 

02 요소기술 관리(디지털 객체기술)

➊ 요소기술 개요

➋ 디지털 요소식별

➌ URL(Uniform Resource Locator)

➍ URN(Uniform Resource Name)

 

03 통합검색 요소기술

➊ Z39.50 protocol

➋ ZING

➌ OAI protocol

➍ 통합검색 기법

➎ SOAP 431

 

04 디지털도서관과 기본프로토콜

➊ OSI 모델

➋TCP/IP

 

제 5 장 차세대 디지털도서관 서비스

01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도서관 서비스

➊ 4차 산업혁명 개요

➋ 미래 도서관의 역할과 기능

➌ 도서관 최신기술 활용 분야

 

02 시맨틱 웹과 차세대 도서관 서비스

➊ 시맨틱 웹

➋ 유비쿼터스 도서관

➌ 인포메이션 코먼스와 미래 도서관

 

03 도서관 2.0과 3.0

➊ 도서관 2.0 개요

➋Web 2.0 기술의 도서관 적용

 

제 6 장 저작권법과 DRM

01 디지털도서관과 저작권

➊ 저작권 개요

➋ 저작권법의 종류

➌ 공정사용, 공정이용(Fair Use)

➍ 저작권법

➎ 보상금

➏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➐ 디지털도서관 보안기법

➑이용자 인증과 방법

 

02 저작권요소, 권한표현언어와 콘텐츠 보호기술

➊ MARC

➋ DC(Dublin Core)

➌ 저작권 권한표현언어

 

03 개방환경에서 디지털 자원의 이용

➊ 개방접근의 개요

➋ CCL(Creative Commons License)

 

PART 4 정보학

제 1 장 정보와 정보학

01 정보와 정보학의 정의

➊ 정보의 정의

➋ 정보학의 정의

 

02 정보와 지식

➊ DIKW 계층

➋ 정보와 지식의 관계

 

제 2 장 계량서지 법칙과 분석기법

01 계량서지법칙

➊ Price의 지수곡선 증가법칙

➋ Bradford 분산법칙

➌ Zipf의 법칙

➍ Lotka 법칙

➎ 문헌의 가치 감소

 

02 계량서지 분석기법

➊ 서지결합분석

➋ 동시인용분석

➌ 동시출현분석

 

제 3 장 계량서지 지표

01 학술지 지표

➊ JCR(Journal Citation Reports)

➋ Elsevier의 SCOPUS 제공 지표

 

02 논문 지표 및 연구자 지표

➊ 논문 지표

➋ 연구자 지표

 

제 4 장 데이터사이언스

01 데이터사이언스 개요

➊ 정의 및 특징

➋ 빅데이터와 관련 기술

➌ 인공지능과 기계학습

 

제 5 장 학술 커뮤니케이션

01 학술 커뮤니케이션 일반

➊ 학술 커뮤니케이션 개요

➋ 학술 커뮤니케이션 과정

 

02 오픈액세스와 오픈사이언스

➊ 오픈액세스

➋ 오픈사이언스

 

PART 5 부록

01 보이지 않는 대학

02 Open S/W 사례

03 DC 인코딩 사례

04 표준 메타데이터 스키마 사례

05 디지털도서관 영역별 주요 표준

06 참고정보원별 평가 요소

07 시소러스 예제

08 정보원 구분

09 도서관인 윤리선언

10 문헌정보학 분야별 주요 학자와 이론

11 신 도서관학 5법칙

12 정보시각화

13 회색문헌

14 장애인 특수자료와 장비 및 기기

15 특정 인구집단을 위한 참고서비스

16 MODS Element

17 색인언어의 구문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