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삼겹살의 시작

삼겹살의 시작

  • 김태경 ,연승우
  • |
  • 팜커뮤니케이션
  • |
  • 2019-07-01 출간
  • |
  • 244페이지
  • |
  • 137 X 195 X 17 mm /356g
  • |
  • ISBN 9791195726578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대한민국 삼겹살, 모든 궁금증에 주석을 달다

대한민국 대표 먹거리로 손색없는 삼겹살. 세계 삼겹살의 성지이자 종착지인 우리나라에서 삼겹살은 어떻게 먹게 되었을까. 1930년대 문헌에 당대의 요리전문가가 돼지고기를 가장 맛있는 부위로 극찬할 정도로 삼겹살은 예전부터 맛있는 먹거리로 칭송받았다. 하지만 불과 50년 전만 하더라도 삼겹살은 대중문화의 음식코드에는 맞지 않았다. 일류 요리사들이 특별한 조리법으로만 통용됐던 돼지고기는 서민들은 쉽게 접할 수 없는 고급 음식이었다. 또한 소비자들은 돼지고기 특유의 냄새로 삼겹살을 기피했고 잦은 식중독 사고는 대중 음식으로의 성장에 걸림돌이 됐다. 이후 과학적인 양돈 사양방식의 도입으로 냄새를 없앴고, 일본으로 수출하는 과정 속에서 품질이 훌쩍 업그레이드되면서 돼지고기는 대중 먹거리, 서민 음식의 대표주자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이에 발맞춰 1980년대 우리나라가 경제가 몸집을 불리고 육류 소비가 폭발적으로 늘어나자 돼지고기, 그 중에서도 삼겹살은 우리나라 대표 먹거리의 신화를 써내려가기 시작했다. 여기에 부루스타라는 휴대용 가스렌지 보급은 삼겹살의 신화에 힘을 보탰다. 당시 숯불에만 의존하던 고기 굽는 방식은 식당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손쉽게 고기를 구울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후 돼지갈비, 스팸 등 카멜레온처럼 상품화 변화를 꾀하기도 했고 족발, 대패삼겹살 등 판매 요리방식이 변하기도 했으며 돈육 브랜드 홍수시대를 지나 오면서 진화에 진화를 거듭했다. 최근에는 더 맛있는 돼지고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돼지를 키우거나 특별한 노하우를 장착한 요리법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진화한 우리나라 돼지고기에 대한 실체를 맛보고 뜯어보는 책이다. 전문 식육마케터로 30년을 경험한 김태경 박사가 ‘고기에 대한 예의’를 내세우며 삼겹살의 원류를 파헤쳤고 농업 전문기자 연승우 편집국장이 심층적인 취재를 바탕으로 삼겹살의 족보를 구성해 나갔다. 이 두 저자의 컬래버레이션으로 탄생한 [삼겹살의 시작]은 삼겹살의 실체와 돼지고기의 궁금증에 대한 명쾌한 해답을 제시하고 미래 양돈 산업이 나아갈 길에 힌트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

삼겹살 공화국이 되기까지 힌트를 줄 책
고기 권하는 시대! 국민들이 숨막히게 좋아하는 돼지고기의 비밀

고기가 당대처럼 풍요로운 시대는 없었다. 지금은 고기 권하는 사회며 돼지고기는 그 선두에 있다. 돼지고기는 어쩌다 잡아서 나누는 잔치 음식에서 일상의 음식으로 변모했다. 소고기도 닭고기도 소비는 크게 늘어났지만 일상에서는 돼지에 미치지 못한다. 세계 삼겹살의 진공청소기라는 한국 시장과 기호도 연구대상이다. 왜 우리는 그토록 돼지에, 삼겹살에 매달렸고 숨막히게 좋아하는 것일까. 같은 고기인데 수많은 논란에 휘말리는 치킨과 달리 삼겹살은 어떻게 서민의 음식으로 지속적인 옹호를 받고 있는 것일까. 이 기묘하고도 미묘한 질문에 이 책이 힌트를 줄 것이다. 삼겹살을 둘러싼 최근의 복잡한 소동에도 확실한 길을 열어줄 책이기도 하다.

- 박찬일 셰프

팜커뮤니케이션 × 협동조합 농장과 식탁

팜커뮤니케이션은 연구공동체 [협동조합 농장과 식탁]의 출판사업 부문으로 우리 농식품 관련 서적을 전문으로 출판합니다. 농축산분야 전문서적부터 우리 농업과 축산업을 조망하는 역사서, 농축산분야 문제점을 파헤치는 사회서적 등을 발행하고 있습니다.
농장과 식탁 연구진이 축적한 콘텐츠를 주로 역어낼 예정이며 남들과 다른 시각으로 우리 농업과 식품산업을 바라보고 대안을 제시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목차


저자서문 | 연승우_ 04
저자서문 | 김태경_ 11
PART 1. 삼겹살을 찾아서
1장 삼겹살은 왜 삼겹살일까?
1.1 삼겹살의 언어학_ 27
1.2 국어사전에서의 삼겹살_ 32
1.3 동아사이아에서의 삼겹살의 명칭_ 37
1.4 서양에서의 삼겹살_ 40

2장 삼겹살의 원류를 찾아서
2.1 방자가 먹던 고기_ 43
2.2 시오야끼 또는 소금구이_ 46
2.3 등심을 구워 먹다-로스구이_ 52

3장 우리는 돼지를 어떻게 먹었을까?
3.1 한국은 소, 중국은 돼지_ 63
3.2 악플에 시달린 조선 시대 돼지고기_ 68

PART 2. 삼겹살을 먹다
4장 돼지고기를 굽다. 삼겹살의 등장 : 1970년대
4.1 신문기사로 본 60~70년대 삼겹살 문화_ 73
4.2 무육일의 탄생 : 돼지고기 소비의 전환점_ 81
4.3 양돈의 규모화와 일본 수출_ 85
4.4 1978~79년 돼지고기 전환의 시대_ 92
4.5 부산물의 시대_ 96

5장 삼겹살 공화국을 열다 : 1980년대
5.1 소주 안주로 자리매김하다_ 100
5.2 돼지갈비의 시대는 저물고_ 105
5.3 스팸 자유화 시대_ 111
5.4 김밥에 햄에 들어가다_ 114

6장 백화점에 간 삼겹살 : 1990년대
6.1 냉동에서 냉장육으로 전환_ 121
6.2 백화점에서 판매되는 돼지고기_ 125
6.3 삼겹살, 이름을 갖다_ 128
6.4 삼겹살 전문점의 태동 : 대패삼겹살_ 134
6.5 탕방과 박피 : 오겹살과 족발을 만들다_ 137
6.6 족발, 배달의 기수가 되다_ 143

7장 제주 흑돼지 이야기
7.1 제주 똥돼지는 흑돼지_ 150
7.2 제주 양돈의 혁명 ‘이시돌’_ 154
7.3 제주 똥돼지, 육지에 상륙하다_ 156
7.4 제주 재래돼지를 복원하다_ 158

PART 3. 삼겹살, 그리고 돼지고기
8장 돈육 브랜드의 역사
8.1 1992년 돼지브랜드 탄생_ 163
8.2 돼지고기브랜드 홍수시대_ 168

9장 더 맛있는 돼지고기의 패러다임 시프트
9.1 느리게 키우기_ 173
9.2 품종의 다양성_ 175
9.3 돼지곰탕의 출현_ 180
9.4 요리사가 만드는 새로운 돼지고기 부위_ 183
9.5 돼지고기 미디움 시대_ 185
9.6 고기의 가치를 높이는 기술, 숙성_ 187
9.7 돼지 샤부샤부 식당의 출현_ 193
9.8 냉동삼겹살의 복고 열풍_ 195

10장 돼지품종 이야기
10.1 재래돼지, 지금에 이르기까지_ 198
10.2 일제 강점기, 사라지는 재래종_ 203
10.3 우리가 먹는 돼지의 품종은_ 207
10.4 사라진 우리의 맛 찾기···재래돼지의 복원_ 213
10.5 외국의 유명한 돼지품종_ 216

11장 통계로 보는 삼겹살
11.1 세계 돼지고기 수급 동향_ 225
11.2 근현대 130년의 돼지사육 현황_ 230
11.3 해방 이후 축산 부업 시대_ 232
11.4 전업화에서 기업화 시대_ 233
11.5 우리나라 육류소비량의 변화_ 236참고문헌_23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