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사찰의상징세계(상)100개의문답으로풀어낸

사찰의상징세계(상)100개의문답으로풀어낸

  • 자현스님
  • |
  • 불광출판사
  • |
  • 2012-06-08 출간
  • |
  • 320페이지
  • |
  • ISBN 9788974790516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장 사찰의 구조

001 불교우주론佛敎宇宙論 / 불교가 이해하는 세계
002 수미산 / 우리가 사는 사바세계 남섬부주는 어디인가요?
003 불교의 세계관과 가람배치 / 모든 절은 왜 비슷한 구조로 지어졌을까요?
004 냇물과 해탈교 / 절의 입구에 있는 무지개다리는 무엇을 상징하나요?
005 부도와 탑 / 부도浮屠란 무엇인가요?
006 산지가람과 삼문형식 / 절은 왜 산에 많은가요?
007 일주문과 홍살문 / 일주문은 기둥이 하나라는 의미인가요?
008 당간과 솟대 / 당간지주란 무엇이며,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나요?
009 금강문과 금강역사 / 사찰 앞에 서 있는 금강역사는 어떤 역할을 하는 분인가요?
010 천왕문과 사천왕 / 사천왕은 각각 어떻게 구별하고 그 역할은 어떻게 다른가요?
011 해탈문과 불이문 / 해탈문은 도대체 어디 있나요?
012 누하진입과 만세루萬歲樓 / 만세루는 어떤 역할을 하는 건물인가요?
013 전각과 누각 / 사찰 건물에 붙은 명칭 중 전殿과 각閣은 무슨 차이가 있나요?
014 범종과 법고 / 범종과 법고를 치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015 목어와 운판 / 목어와 운판은 어떤 용도로 사용되나요?
016 배례석拜禮石과 석등 / 배례석은 정말 절을 했던 곳일까요?
017 인도탑과 한국탑 / 인도와 중국 그리고 한국의 탑이 각각 많이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018 사리탑과 경탑 / 왜 어떤 사찰은 탑이 하나고 어떤 사찰은 탑이 두 개인가요?
019 붓다와 대웅전 / 왜 대웅전에는 많은 부처님 중 석가모니 부처님을 모시나요?
020 법화사상과 화엄사상 / 법화사상과 화엄사상은 사찰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021 수미단과 영산회상도 / 수미단과 닫집에는 어떤 상징이 담겨 있나요?
022 수하좌樹下坐와 정사精舍 / 최초의 불교 사원은 어떤 모습이었나요?

2장 사찰의 건물과 불화

023 사원과 사찰 / 중국불교의 사원의 시원과 특징은 무엇인가요?
024 절과 주요 전각 / 절이라는 명칭의 유례는 무엇이고 절 속의 주요 전각은 어떤 것이 있나요?
025 대웅보전과 <영산회상도> / 대웅전과 대웅보전은 무슨 차이가 있나요?
026 대적광전과 <삼신불회도> / 대적광전에는 어떤 붓다를 모시나요?
027 무량수전과 <극락회상도> / 무량수전에는 어떤 붓다가 모셔져 있나요?
028 유리보전과 <약사회상도> / 약사전은 어떤 붓다를 모신 전각인가요?
029 원통보전과 <관세음보살도> / 관세음보살은 왜 그렇게 많은 이름을 갖고 있나요?
030 용화전과 <용화회상도> / 미륵보살은 왜 항상 서 있는 모습으로 모셔지나요?
031 지장전과 <지장보살도> / 지장보살은 왜 항상 머리를 깍은 모습인가요?
032 영산전과 <팔상도> / 영산전은 어떤 의미를 가진 전각인가요?
033 응진전과 <나한도> / 아라한은 어떤 분인가요?
034 삼성각과 <치성광여래도> / 삼성각에 모셔지는 세 분은 누구인가요?
035 오방불과 <오불회도> / 왜 어떤 탑의 사면에는 불상을 새겨넣었나요?
036 <수월관음도>와 선재동자 / <수월관음도>에 담긴 뜻은 무엇인가요?
037 우란분절과 감로탱화 / 우란분절에는 왜 조상 천도재를 지내나요?
038 삼장보살과 신중탱화 / 삼장보살과 신중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3장 사찰의 상징

039 연꽃과 모란 / 연꽃은 어떻게 불교를 대표하는 꽃이 되었나요?
040 사자와 코끼리 / 불교에서 사자와 코끼리는 무엇을 상징하나요?
041 인도 용과 중국 용 / 사찰에서 자주 보이는 불교 용의 기원은 무엇인가요?
042 물고기와 학 / 불교 의식용구 중에는 왜 물고기 형상이 많은가요?
043 만자와 법륜 / 불교의 상징물로 사용되는 만자와 법륜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044 당초문과 보상화문 / 사찰에 있는 넝쿨무늬에도 의미가 담겨 있나요?
045 사리숭배와 적멸보궁 / 적멸보궁에는 정말 부처님의 사리가 모셔져 있는 건가요?
046 <십우도>와 도교 / <십우도>는 무엇을 의미하는 그림인가요?
047 탑의 구조와 층수 / 탑의 층수는 어떻게 헤아리며, 층수가 의미하는 바가 따로 있나요?
048 불경의 색깔 / 불교경전의 표지는 왜 황색인가요?

도서소개

사찰 곳곳에 담긴 은유와 상징 파헤치기! 우리의 사찰문화를 이해하는 눈을 길러주는 『사찰의 상징세계』 상권. 이 책은 2,000여 년을 넘어 전승되어온 불교 고유의 문화가 우리 사찰에 어떻게 담겨있는지 일깨우고 있다. 일반인들이 평소에 사찰에 대하여 궁금하게 여겼던 것들과 모르고 지나쳤던 것들을 50여 개의 질문으로 구성하고 문답형식을 빌어 설명을 제공한다. 사찰의 구조가 갖는 전체적인 배경의 공통점, 사찰의 각 전각들과 불화, 사찰 주변에서 흔히 접하게 되지만 그 의미가 분명하지 않은 다양한 가치들에 대한 의문점을 해소해준다. 일주문의 기둥이 하나인 의미가 무엇인지, 수미단과 닫집에 담긴 상징은 무엇인지, 아라한은 어떠한 분인지 등에 대한 의문과 해답을 풍성한 사진이 가미된 넉넉한 입담으로 풀어주고 있다.
우리가 사찰에 대해 꼭 알아야할 백 가지

탑의 층수는 왜 홀수일까?
도대체 절에는 왜 담도 없는 문이 있는 걸까?
불상은 왜 금색일까?
부처님의 수염은 왜 파란색일까?
관세음보살은 여성일까 남성일까?
동지에 왜 절에서는 달력을 나눠줄까?

앞의 질문들은 사찰의 문턱이 닳도록 다닌 이도 쉽게 대답할 수 없는 것들이다. 혹여 궁금한 마음이 들어도 사실 맘 놓고 물어볼 곳이 없다. 절에서 수행하는 스님들이라도 이런 내용을 모두 알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책에는 평소 이렇게 우리가 사찰에 대해 궁금해 하던 것들, 혹은 모르고 지나칠 수 있는 것들을 모두 100개의 질문으로 묶고 이 질문에 답하는 형식을 빌어 사찰 곳곳에 담긴 은유와 상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저자가 설명하는 ‘사찰의 상징세계’ 속에는 단순히 문양이나 동물뿐 아니라 일주문에서 해우소까지 사찰 전체의 구조와 전각 그리고 불화도 들어 있으며 무형인 불교의 의례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더불어 이 책에는 사찰에 자주 다녀보지 않은 이들을 위해 주요 전각이나 불화뿐 아니라 자주 다녔어도 쉽게 지나치기 쉬운 각종 문양이나 상징까지, 모두 330여 장의 사진이 글과 함께 실려 있다.

역사, 문화, 교리적 관점은 물론 유교와 도교, 기독교와의 습합까지-
사찰의 상징세계 곳곳에 숨겨진 다의성을 밝혀낸 크로스오버 사찰 안내서

이 책의 장점은 단순히 사찰의 상징에 대해, 우리의 궁금증 하나하나를 친절히 설명해 주는데 있지 않다. 그것뿐이라면 이 책이 세상에 나와야할 이유는 없다. 이미 문화해설이나 사찰 안내를 주제로 많은 책들이 나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은 좀 남다르다. 불교학, 동양철학, 미술사 등 다양한 분야의 박사학위를 갖고 있는 스님의 이력답게 사찰의 구조나 상징에 대해 설명하면서 교리적, 역사적, 문화적 연원을 하나하나 밝히고, 여기에 보태 인도, 중국 등 우리나라에 전래되기 이전 불교가 거쳐 왔던 많은 지역의 풍습과 의례 그리고 마지막으로 불교와 이웃종교와의 교류 등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측면을 고찰하다 보면 2000년을 넘어 유전되어온 불교 고유의 문화가 우리 사찰에 어떻게 담겨졌는지 뿐 아니라 변형되기도 하고 때론 오해와 착각 속에 그냥 남아 있기도 한 많은 것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마침내 현재 우리가 보는 완성된 형태의 사찰 구석구석의 상징을 보며 ‘그게 그렇게 된 거였구나.’ 하며 무릎을 칠 것이다.
이런 연유로 이 책은 가볍게 사찰을 방문하고자 하는 초심자에서부터 인문학이나 미술전공자까지 꼭 읽어봐야 할 책이다.

일주문에서 해우소까지 그리고 2600년 전에서 현재까지

이 책은 상하 각권 합쳐 모두 다섯 개의 장으로 분류되어 있다. 각 장은 20-40여 개의 질문으로 묶여 있는데 이 책의 시작은 우선 일주문에서 해우소까지 사찰의 구조가 담고 있는 이야기를 풀어내는 것으로 시작한다.
산사에 가보면 대체로 절의 구조가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개울을 건너는 다리와 일주문, 그 너머에 있는 천왕문, 그리고 그 길을 계속 따라가다 보면 탑과 대웅전이 나타난다. 이런 유사한 구조는 동일한 관점에 따라서 가람배치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말한다. 때문에 우리는 같은 한옥식의 복합건물이지만 향교나 왕궁과 사찰을 혼동하지 않는다. 이런 모든 유사함의 배경에는 불교의 수미산 우주론이 자리잡고 있다.
그래서 1장인 사찰의 구조에서는 “절은 왜 산에 많은가?”, “일주문은 기둥이 하나라는 의미인가?”, “사천왕은 어떻게 구분하고 각각 어떤 역할을 하는가?” “왜 어떤 사찰은 탑이 하나고 어떤 사찰은 탑이 두 개인가?” 등의 질문을 통해 불교의 세계관 그리고 그것을 기반으로 한 사찰의 구조에 대해 역사적 ? 문화적 해석을 시도한다.

2장은 사찰에 있는 전각에 대해 다루고 있다.
대웅전, 대웅보전, 관음전, 나한전, 원통전…. 다 외우기도 힘든 수많은 전각들에 대해 하나하나 설명하고 덤으로 그 안에 있는 불화에 대한 설명까지 추가한다.
특히 ‘부처님의 가족사진’이라고 불리는 법당 안의 불화에 대해 설명하며 그 전각의 의미에 대해 독자들에게 한층 명확히 밝혀준다. 또 인도 그리고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로 오면서 온갖 변형과 통합을 거쳐 온 과정도 친절히 설명한다.

3장은 전각의 안팎의 세계에 대해 ‘상징’이라는 키워드로 설명하고 있다.
도대체 근엄한 사찰에 겁쟁이 호랑이가 버젓이 그려진 이유는 무엇인지 불전 안에 새겨진 용은 갑자기 어디에서 나타난 것인지 동물원도 아닌데 줄을 선 코끼리, 토끼, 사자는 무엇인지 하나하나 설명해준다. 이밖에 불교경전이 노란색 표지를 고집하는 이유나 연꽃이 불교의 대표적인 문양이 된 연유 등 너무 자주 접해 무심해져 버린 것들에 대한 설명도 빼놓지 않고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