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조선상고사한국통사-187(WORLD BOOK)

조선상고사한국통사-187(WORLD BOOK)

  • 신채호 , 박은식
  • |
  • 동서문화사
  • |
  • 2012-05-01 출간
  • |
  • 576페이지
  • |
  • ISBN 9788949707747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조선상고사

제1편 총론
제1장 역사의 정의와 조선사의 범위 … 13
제2장 역사의 3대원소와 옛 조선사 결점 … 17
제3장 옛 조선의 종류와 그 득실 약평 … 21
제4장 사료 수집과 선택 … 30
제5장 역사 개조에 대한 우견(愚見) … 43

제2편 ‘수두〔단군신앙〕’ 시대
제1장 고대 총론 … 57
제2장 단군왕검의 건국 … 60
제3장 수두 홍포(弘布)와 문화 발달 … 65

제3편 삼조선(三朝鮮) 분립시대
제1장 삼조선 총론 … 77
제2장 삼조선 분립 그 뒤 신조선 … 83
제3장 삼조선 분립 그 뒤 불조선 … 87
제4장 삼조선 분립 그 뒤 말조선 … 90
제5장 삼조선 붕괴 원인과 결과 … 95

제4편 열국쟁웅시대
제1장 열국 총론 … 99
제2장 열국 분립 … 102
제3장 한무제 침략 … 117
제4장 계립령 이남 두 새 나라 … 128

제5편 고구려 전성시대
제1장 기원 1세기 초 고구려의 국력 발전과 그 원인 … 137
제2장 태조·차대 두 대왕의 문치 … 145
제3장 태조·차대 두 대왕의 한족 축출과 옛 땅 회복 … 151
제4장 차대왕의 왕위 빼앗음 … 154
제5장 차대왕의 피살과 명림답부의 전권 … 158
제6장 을파소의 업적 … 163

제6편 고구려의 쇠퇴 징조와 북부여의 멸망
제1장 고구려와 중국의 싸움, 고구려의 패전 … 169
제2장 고구려와 선비의 싸움 … 177

제7편 고구려·백제 두 나라의 충돌
제1장 고구려·백제 두 나라 관계의 유래 … 191
제2장 근구수왕의 영무와 고구려의 쭈그러짐(부:백제의 해외 정벌) … 193
제3장 광개토대왕의 북진정책과 선비 정복 … 198
제4장 장수태왕의 남진정책과 백제 천도 … 204

제8편 남방 여러 나라의 대고구려 공수동맹
제1장 네 나라 연합군과의 싸움과 고구려의 퇴각 … 211
제2장 백제의 위(魏) 침입 격퇴와 해외 식민지 획득 … 215

제9편 삼국 혈전의 시작
제1장 신라의 발흥 … 221
제2장 조령·죽령 이북 10고을 쟁탈 … 230
제3장 동서전쟁(同晦戰爭) … 244

제10편 고구려와 수의 전쟁
제1장 임유관(臨琥關) 싸움 … 255
제2장 살수 싸움 … 260
제3장 오열홀·회원진 두 싸움과 수 멸망 … 268

제11편 고구려와 당의 전쟁
제1장 연개소문의 서유(西遊)와 그 혁명 … 273
제2장 요수 싸움 … 287
제3장 안시성 싸움 … 288

제12편 백제의 강성(强盛)과 신라의 음모
제1장 부여성충의 위대한 계략과 백제의 영토 개척 … 315
제2장 김춘추의 외교와 김유신의 음모 … 323
제3장 부여성충 자살 … 330
제4장 나·당 연합군 침입과 백제 의자왕 사로잡힘 … 333
제5장 백제 의병 봉기 … 340
제6장 고구려의 당군 격퇴와 백제 의병의 전성 … 344
제7장 부여복신의 죽음과 고구려 내란 … 349

한국통사

서언(緖言) … 357
제1편 … 360
1. 지리의 대강/2. 역사의 대개(大槪)

제2편 … 365
1. 대원군(大院君) 섭정(攝政)/2. 경복궁 중건(重建)/3. 서원 철폐/4. 조세 정책 개혁/5. 국방에 대한 관심과 풍속 교정/6. 천주교 금지 및 신도 학살/7. 프랑스군 대파/8. 미국 군함 격퇴/9. 일본과의 교섭/10. 대원군의 환정(還政)/11. 일본과의 첫 번째 조약/12. 청국의 우리나라 자주외교 인정/13. 일본인과의 통상 및 토지 조차(租借)/14. 임오년 군졸의 난/15. 청국병 도래와 일본병 퇴각/16. 일본인의 요구 해결/17. 중국과 일본의 군대 주둔/18. 유럽과 미국 등 열강과의 수호통상/19. 갑신년 개혁당(改革黨)의 난/20. 일본사신의 5개 조항 요구/21. 청국과 일본의 톈진조약/22. 러시아 세력의 확대/23. 대원군의 환국(還國)/24. 황두 배상사건/25. 극에 달한 내정 부패/26. 갑오년 동학난/27. 구원병 요청의 전말/28. 일본군 입성/29. 일본사신의 폐현(陛見)과 상주(上奏) 및 기타 상황/30. 원세개 귀국/31. 일본군의 궁궐 침범/32. 청일 교섭/33. 청일 개전(開戰)/34. 우리나라 개혁의 신정치/35. 잠정합동 및 공수동맹/36. 청국과 일본 평양대전(大戰)/37. 청국과 일본 황해격전(激戰)/38. 일본군 청국 내지(內地) 침입 전황/39. 청·일 시모노세키조약(下關條約)/40. 삼국 간섭과 요동 반환/41. 열강의 청국 군항 분할/42. 오토리 이임과 이노우에 공사 부임/43. 박영효의 재차 망명/44. 을미년의 차관조약/45. 일본인의 국모 시해/46. 왕후 폐위 및 복위/47. 지방 의병/48. 러시아 공사관으로의 이필과 김홍집 살해/49. 러시아 세력 확장과 열강 이권 침탈/50. 러시아와 일본의 협약/51. 외국인의 철도부설권 침탈

제3편 … 447
1. 대한제국(大韓帝國) 성립/2. 재정 고문의 문제/3. 일본과 러시아의 3차 협약/4. 일본인의 광산 찬탈/5. 일본인의 어업 및 포경권 침탈/6. 일본인의 개성인삼 약탈/7. 울릉도·장고도·월미도·고하도·온양 온천 등의 각 사건/8. 제일은행권 강제 발

도서소개

『조선상고사 한국통사』는 한국인의 독립정신을 마음 깊이 생각하며, 이러한 정신의 기틀을 한국사의 새로운 인식에서 찾고자 한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와 자신이 몸담았던 시대를 정교하게 기록한 난세의 지성 박은식이 쓴 <한국통사>를 담은 책이다. 여러 역사시대 가운데 특히 논란과 왜곡의 여지가 있는 고대사를 깊이 연구함으로써 민족중심사관과 주체적 사관을 개척·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근세사의 짧은 단면을 파헤치며 뚜렷한 민족의식에 따라 서술된 역사서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한민족 정신독립과 민족주의 사학 부르짖다!
민족사를 새롭게 인식시켜 구국정신을 이끌어내다!
독립운동의 정신적 원동력을 불어넣다!
보라! 신채호·박은식 두 선각자 피눈물의 기록!

“역사는 역사를 위하여 역사를 만드는 것이지, 역사 이외에 무슨 다른 목적을 위하여 만드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서 역사는 사회 유동 상태와, 거기서 발생한 사실을 객관적으로 있는 그대로 적은 것이지, 지은이의 목적에 따라 그 사실을 좌우하거나 덧붙이거나 달리 고칠 것이 아니다.” 신채호 《조선상고사》에서

“옛사람이 이르기를 나라는 멸할 수 있으나 역사는 멸할 수 없다고 하였다. 나라는 형체이고 역사는 정신이다. 이제 한국의 형체는 허물어졌으나 정신만을 홀로 보존하는 것이 어찌 불가능하겠는가. 정신이 보존되어 멸하지 아니하면 형체는 반드시 부활할 때가 있을 것이다.” 박은식《한국통사》에서

《조선상고사》! 날조된 한국고대사혁파하다!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는 독립운동가이자 역사학자인 단재 신채호(申采浩)가 한민족 역사를 새롭게 인식함으로써 정신 독립과 그 정신 기틀을 찾고자 했던 기록이다. 종래 유교주의 사관과 식민주의 사관의 한국사 왜곡을 바로잡고 이들의 역사인식과 연구방법을 극복하고자 한국 고대사를 민족주의 사관에 바탕하여 쓴 저작이다.
신채호는 《조선상고사》에서 사대주의 노예 근성에서 한민족 역사를 무시하고, 성패와 흥망으로 낫고 못함을 가리며 유교적 윤리관에 근거하여 남의 잘잘못을 평가하는 과거 관점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책에서 유교주의 역사관에서 명분을 앞세워, 자랑할 만한 우리 역사 사실을 말살했던 잘못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으며, 새 왕조가 등장할 때마다 자신들의 혁명을 정당한 것으로 만들기 위해 이전 왕조의 사료들을 없애버리고, 왜곡·날조하여 사실을 사실대로 알지 못하게 뒤죽박죽을 만들어 놓았음을 통탄하고 있다. 이는 고려시대《삼국사기》와 조선시대《조선왕조실록》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망국의 한을 안고 민족중흥을 부르짖다!
신채호는 이 책에서 단군→기자→위만→삼국으로 계승된다는 기존 인식체계를 거부하고 대단군조선과 3조선, 부여와 고구려 중심 인식체계를 내세웠다. 《조선상고사》는 단군시대로부터 백제 멸망과 그 부흥운동까지 다루고 있다. 제1편 총론, 제2편 단군신앙 시대, 제3편 삼조선(三朝鮮)분립 시대, 제4편 열국쟁웅 시대, 제5편 고구려 전성시대, 제6편 고구려 쇠퇴 징조와 북부여 멸망, 제7편 고구려·백제 충돌, 제8편 남방 국가의 대고구려 공수동맹, 제9편 삼국혈전 시작, 제10편 고구려와 수의 전쟁, 제11편 고구려와 당의 전쟁, 제12편 백제의 강성(强盛)과 신라의 음모 등 모두 12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선상고사》는 한민족과 고대국가의 독특한 기원과 변천과정을 체계적으로 서술하고 있으며, 아울러 민족내부 계급관계를 주목하고 변증법적 역사발전단계설 등 근대적인 역사연구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역사학 수준을 끌어올린 역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국통사》! 피눈물로 얼룩진 통한 한국근대사!
한민족에게 가장 통한(痛恨)의 시대인 근대사!
《한국통사(韓國痛史)》는 독립운동가이자 역사학자, 대한민국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을 지낸 백암 박은식(朴殷植)이 근대 역사학적 방법론에 따라 민족주체적 관점에서 한국 근대사를 정리한 근대 민족사학의 기념비적인 저작이다. 파란과 역경으로 얼룩진 시대의 변천상을 뚜렷한 민족의식에 따라 쓴 성찰과 반성의 글로서 1863년 고종 즉위와 흥선대원군 집권기부터 1911년 105인 사건이 일어날 때까지의 역사를 시대별로 정리하여 중요한 사건에는 지은이 의견을 덧붙이고 있다.
박은식은 《한국통사》머리말에서 한국의 정신을 보존하기 위해서 이 책을 짓는다고 말하고 있다. 그는 일제 침략과정을 온 세상에 폭로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한국 근세사를 서술하면서도 역사 사실을 중심으로 장(章)을 나누어 서술하고 있다. 또한 지은이 논평을 덧붙일 뿐만 아니라 하나의 사실(史實)이 일어나게 된 앞선 사실들을 말하면서 그 결과로 일어난 사실을 함께 서술하는 등 역사를 분석하고 비판하며 종합하는 근대 역사학의 방법론을 적용한 한국 최초의 저작이다. 또한 독립운동에 직접 참여한 박은식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썼기에 그의 역사관이 잘 반영되어 있다.

역사는 반드시 되풀이된다!
결코 되풀이되어서는 안 될 근대사를 돌아볼 때 ‘저 때 우리가 좀 더 일찍 깨치고 나라 힘을 키웠더라면?’하는 물음은 우리 스스로를 부끄럽게 만들 뿐이다.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일본보다 앞서거나 적어도 앞설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가 몇 번 있었지만 기득권 집권층의 무지와 무식으로 제대로 활용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