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신문 (전8권)

한국신문 (전8권)

  • 윤달용
  • |
  • 한국학자료원
  • |
  • 2022-08-30 출간
  • |
  • 4000페이지
  • |
  • 225 X 330 mm
  • |
  • ISBN 9791168871625
판매가

920,000원

즉시할인가

82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82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1946년 10월 3일 일본 히비야〔日比谷〕공회당에서 218명의 대의원과 2,000명의 조선인이 참석한 가운데 재일본조선인거류민단(在日本朝鮮人居留民團)이 창립되었다. 이후 1948년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되고 1949년 1월 주일한국대표부가 설치됨에 따라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在日本大韓民國居留民團, 이하 민단)이 되었다. 1994년 그 명칭에서 ‘거류’라는 두 글자가 빠져 ‘재일본대한민국민단(在日本大韓民國民團, 이하 민단)’으로 변경되었다. 2005년부터는 한국 국적으로 제한했던 단원을 한반도에 뿌리가 있는 모든 사람으로 확대했다.

박열(朴烈)을 단장으로 했던 재일본조선인거류민단은 1948년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되고, 1949년 1월 주일한국대표부가 설치됨에 따라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즉 1948년 8월에 대한민국이 수립되자 이승만 정권은 이 조직을 재일코리안의 공인 단체로 인정했고 그에 따라 명칭도 ‘재일본조선인거류민단’에서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으로 변경되었다. 강령에는 “대한민국의 국시 준수”와 “재류동포의 권익 옹호” 그리고 “국제친선”이 들어갔다.

재일동포 사회의 민단계열은 1945년 해방 이후 삼의사유해봉환사업(三義士遺骸奉還事業)을 시작했다. 먼저 이봉창이 교수형을 당한 우라와〔浦和〕형무소 부속묘지에서 유해를 확인하여 접수하고, 이후 1946년 1월 유해를 모두 찾아 국내로 송환시켰다.민단은 1950∼196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대한민국의 각종 문제에 개입해 왔다. 1950년 한국전쟁에는 재일동포 지원병을 파견했고, 195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조총련의 북한 귀환운동에 대해서는 반대와 저지운동을 전개했다. 1959년 12월 14일 제1차 북송선이 북한으로 떠날 때에는 니이가다〔新潟〕역에서 민단 청년결사대가 항구로 통하는 철로를 차단하고 반대 시위를 전개했다.또한 1964년의 도쿄 올림픽 때는 재일한국후원회를 통해 한국 선수단을 적극 지원했다. 1960년 4·19혁명과 5·16군사쿠데타에 대한 평가를 놓고 민단 내부는 대립했다.1965년 한일조약이 체결되자 민단은 대한민국 정부와 유대가 보다 강화되었다. 특히 재일동포의 법적지위 협정에 따라 재일 동포의 영주권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 민단의 양적 팽창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그리고 1970년대에 들어 ‘녹음테이프사건’을 계기로 민단 중앙파(중앙총본부)와 민주세력파 사이에 대립했다. 특히 박정희정권의 ‘유신체제’에 민단 중앙은 호응하여 집행부를 중앙집권적 조직 편성으로 개편하고 ‘10월 유신’에 맞춰 스스로를 ‘유신민단’이라고 불렀다. 그리고 군사정권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결국 민단 내부에 균열이 생겨나 민단의 본국 추종 자세를 비판한 사람들과 한국청년동맹·한국학생동맹 등의 산하단체는 민단으로부터 제명 처분을 받기도 했다.경제적으로는 대한민국의 경제발전을 위해 재일동포 경제인을 중심으로 ‘재일한국인투자협회’를 조직하여 신한은행 신설과 함께 금융면에서도 본국의 경제발전에 기여했다.1975년부터 시작된 ‘모국방문사업’을 통해 45,000명에 달하는 조총련계 동포의 대한민국 방문을 실현시켰다.1980년대 후반부터 민단은 한·일친선사업, 성묘단 모국방문사업을 비롯해 대한민국에서 진행되는 행사인 86아시안게임, 88올림픽과 무주동계유니버시아드 등을 후원하는 일에 적극 나섰다.1996년 10월 3일 민단 창단 50주년을 기념하여 재일한국인은 일본 사회에서 정주해 나갈 것을 내외에 밝히고, 한국인으로서 일본지역 사회에서 공생과 공영을 위해 나갈 것을 다짐하기도 했다. 그리고 1997년 말 한국이 IMF위기에 처했을 때 이를 타개하는데 동참한다는 뜻에서 ‘외화송금운동’을 전개해서 약 870억 엔의 일화를 송금하기도 했다.한편 민단은 재일동포의 권익 옹호에도 주목했다. 1965년 한일조약 체결과 함께는 법적 지위 요구 관철운동과 영주권 신청운동을 전개했다. 당시에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재일한국인 1세·2세의 협정영주권’의 획득·신청자의 확대가 있었다. 이 운동의 결과 재류 자격의 안정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1960년대 후반이 되면 조선국적에서 한국 국적으로 국적을 변경하는 재일동포가 급증하면서 조총련과 민단의 세력 관계가 역전되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1991년 1월 10일 재일한국인의 법적 지위에 관한 한일 외상 간의 합의를 통해 영주권 부여가 확정되었다, 이와 함께 지문날인 철폐 등에도 일정한 성과가 나타났다. 문제는 처우에서는 국적에 의한 취직 차별과 민족교육 문제, 참정권 문제 등이 있다.한편 민단의 기관지는『민단신문』이다.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의 기관지로서의 창간은 1946년 3월 10일이었다. 당시의 조선건국촉진청년동맹(건청)이 발행한『조선신문』에서 『신조선신문』(1946.8.30 창간∼1947.2)을 거쳐 민단 중앙 기관지 『민단신문』(1947.2.21 창간∼1949.6)이 되었다가 『민주신문』(1949.6.4 창간∼1962.1), 『한국신문』(1962.1.24 창간∼1996.4)으로 개칭되어, 지금의 『민단신문』(1996.5.1∼)에 이르고 있다. 최고 발행 부수는 10만 부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재일본대한민국민단(在日本大韓民國民團))]


목차


3권 : 1945 ~ 1963년
2권 : 1964 ~ 1969년
3권 : 1969 ~ 1974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