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서유기의 비밀

서유기의 비밀

  • 나카노미요코
  • |
  • 모노그래프
  • |
  • 2014-05-12 출간
  • |
  • 415페이지
  • |
  • 152 X 223 X 30 mm
  • |
  • ISBN 9788998309022
판매가

24,000원

즉시할인가

21,6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1,6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일본의 『서유기』 전문가이자, 중국도상학 분야의 일인자로 손꼽히는 나카노 미요코의 문예비평서. 지은이는 황당무계하게 보이는 소설 『서유기』가 사실은 세계를 해석하려는 형이상학적 욕구에 사로잡힌 사람들이 꾸며낸, 장대한 지적 유희의 텍스트라고 분석한다. 특히 지은이는 불교적 색채가 강한 것으로 알려진 『서유기』에 도교적 정서가 많이 담겨 있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서유기』 속에 묘사된 연단술과 도의 심벌리즘을 해독함으로써, 전혀 새로운 서유기론을 제시하는 동양문예비평의 정수이다.

『서유기』는 불교의 교리를 전파하려는 의도로 완성된 책인가?
『서유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종교를 꼽으라고 한다면, 누구나 불교를 말할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서유기』의 주인공 중 한 명인 삼장법사가 당대(唐代)의 실존인물인 승려 현장(玄?, 602~664)이고, 소설의 내용 자체도 손오공 일행이 불경을 구하러 간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오공’(悟空), ‘팔계’(八戒), ‘오정’(悟淨) 등의 주인공 이름에서도 우리는 불교적인 정서를 다분히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의 지은이 나카노 미요코는 『서유기』에 도교적인 모티브와 정서, 그리고 여러 가지 도교적 은어와 심벌이 ‘은밀’하게 가득 담겨 있다고 주장한다. 이 책의 제목이 『서유기의 비밀』인 까닭은 바로 이처럼 『서유기』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쳐보려는 지은이의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서유기』와 오행사상: 손오공은 ‘금’과 ‘화’, 저팔계는 ‘목’과 ‘수’, 사오정은 ‘이토’
지은이는 손오공이 음양오행설에서 ‘금’(金)이자 ‘화’(火)인 동시에, 광물로는 ‘연’(鉛, 납)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런 해석의 연장선상에서, 저팔계를 ‘목’(木)이자 ‘수’(水)이며, 물질로는 ‘홍’(汞, 수은)에, 사오정을 두 개의 ‘토’(土), 즉 ‘이토’(二土)로 보았다. 그런데, ‘토’ 두 글자를 겹쳐놓으면, ‘규’(圭)자가 된다. 『서유기』에 삽입된 여러 시사(詩詞)에서는 사오정을 ‘규’, 즉 ‘도규’(刀圭)에 비유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도규’는 원래 연단술에서 단약을 조제할 때 사용하는 일종의 계량스푼을 의미한다. 따라서 손오공·저팔계·사오정 세 사람(?)이 함께 서천(西天)으로 여행을 떠나는 모습은 단순한 소설 속 주인공의 결합이 아니라, 계량스푼으로 납과 수은의 양을 조절하여 단약을 만드는 연단술사의 행위를 상징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연단술의 기본이 되는 화합기술을 상징한다.
또한, 『서유기』 속에서 손오공과 저팔계는 자주 대립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 두 주인공을 중재하는 인물은 대체로 이 둘의 사제(師弟)인 사오정이다. 그런데, 사오정을 가리키는 은어로 ‘이토’나 ‘도규’ 이외에, 또 다른 은어인 ‘황파’(黃婆)가 있다. ‘황파’는 원래 연홍에 의한 연성을 촉진하는 약품의 이명이었는데, 나중에는 오로지 남녀의 성적 결합을 중매하는 할멈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아졌다. 특히 이 단어는 많은 연단술 서적에서 중매 또는 주선자의 역할로서 빈번히 등장한다. 물론, 중매하는 노파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연단술이라는 가면을 쓴 채, 난해한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황파’의 ‘황’(黃) 역시 두말할 것도 없이 오행의 ‘토’가 배당된 방위인 중앙의 색이 황색인 것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지은이는 손오공·저팔계·사오정의 결합이 매파를 중개로 남녀가 맺어지는 성적 교합을 상징한 것으로도 분석한다.
이처럼 지은이는 『서유기』 이야기의 비밀을 파헤치면서 중국의 민간신앙인 도교사상에 숨은 신비주의의 베일을 벗겨 냈다. 그래서 『서유기』에 도교의 엘리트만이 아는 암호의 세계가 끝없이 펼쳐져 있다고 분석한다.

『서유기』에 담긴 도교적 함의와 대장장이업자 길드
『서유기』에는 고도의 도교적 함의, 연단술과 관련된 많은 상징적 표현과 비유가 담겨 있다. 『서유기』의 가장 주요 배역인 손오공이 ‘금’과 ‘화’의 성질을 가졌다는 점에 주목해 보자. ‘금’과 ‘화’의 성질을 가진 손오공은 돌에서 탄생하기 위해 바람의 도움이 필요했다. 여기에서 바람은 대장장이가 쓰는 풀무를 상징한다. 금속을 불로 가열하고, 풀무질로 금속의 가열을 돕는 모습에서 손오공의 탄생을 묘사한 장면이 교차된다. 이처럼 손오공은 금속 단련, 즉 연금술사 또는 대장장이의 일과 관계가 깊다.
여의금고봉(如意金?棒), 속칭 여의봉이라는 철제 무기를 휘두른 손오공을 비롯하여, 『서유기』 전편에는 금속기(金屬器)에 대한 예찬으로 가득 차 있다. 이처럼 금속기의 영험함과 불을 예찬한 시사(詩詞)는 사실 대장장이들의 자랑스러운 직능을 과시한 찬가라고도 볼 수 있다. 북송대(宋代) 이래 대장장이업자 길드(guild)의 조신(祖神)이던 태상노군(太上老君, 중국도교에서 노자를 신격화한 칭호)만이 손오공이 멋대로 하던 짓을 쉽게 제어할 수 있었던 점으로 볼 때, 『서유기』를 오늘날의 형태로 편집한 최초의 인물은 대장장이업자 길드와 모종의 깊은 관계가 있었을 것이다.

손오공은 원숭이, 저팔계는 돼지, 사오정은 악어?
손오공은 오늘날의 동물학 분류에 따르면, 긴꼬리원숭잇과(―科) 마카크속(macaque-屬)의 붉은털원숭이에 가깝다. 붉은털원숭이는 표정과 몸집, 심지어 급하고 변덕스러운 성질 등에서 손오공을 빼닮았다. 특히 『서유기』에는 손오공이 이랑신과 싸우다가 토지신의 신묘(神廟)로 변신하면서, 꼬리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모르다가 깃대로 만들어 신묘 뒤에 꼿꼿이 세운 대목이 있다. 동물학자들의 분석에 의하면, 이 자세는 붉은털원숭이가 화났을 때 위협하는 자세와 완전히 일치한다고 한다.
저팔계(?八戒)의 ‘저’(?)는 중국어에서는 ‘멧돼지’가 아니라 ‘돼지’라는 뜻이다. 그런데 그의 모습이 둘 중 어느 쪽인지는 모호하다. 『서유기』의 제8회에서 저팔계가 처음 등장할 때 관음보살은 “너는 어디서 굴러먹다 요괴가 된 ‘멧돼지’[成精的野豕]인가, 아니면 어떤 지역에 사는 ‘괴상한 돼지’[作怪的老?]인가?”라고 묻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저팔계는 돼지이면서도 멧돼지의 습성까지 갖고 있는 캐릭터로 보아야 할 것이다.
가장 문제되는 것은 사오정이다. 『서유기』 이야기를 집대성한 16세기의 중국인은 사오정을 그려내면서 구체적으로 어떤 동물을 모델로 삼아서 형상화한 것일까? 『서유기』에서는 사오정을 이렇게 묘사한다. “푸른가 하면 푸르지도 않고, 검은가 하면 검지도 않은 것이 어쩐지 기분 나쁜 낯짝. 번뜩이는 눈빛은 부뚜막에서 피어나는 불덩이 같고, 양쪽으로 찢어진 입술은 푸줏간의 화로 같으며, 삐죽 나온 이빨은 박아놓은 칼날 같다.” 정체가 모호한 이 묘사를 두고, 지은이는 악어를 연상시킨다고 단정한다. 양자강(揚子江) 하류 등지에 분포하며, 몸길이가 2미터 남짓의 소형 악어, 학명으로는 ‘앨리게이터 시넨시스’(Alligator sinensis)라고 불리는 양자강 악어가 바로 사오정의 모델이라는 것이다. 『서유기』와 같은 시대에 완성된 명대(明代) 이시진(李時珍)의 『본초강목』(本草綱目)에도 이 ‘양자강 악어’에 해당하는 ‘타룡’(?龍)이라는 동물이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에는 악어의 형태와 생태를 잘 관찰한 결과가 자세히 기록되어 있어, 16세기의 중국인이 양자강 악어에 관한 지식을 충분히 갖고 있었음을 엿볼 수 있다.

『서유기』의 작자는 오승은인가, 구처기인가?
오늘날 『서유기』의 작자로서 정설이 된 인물은 오승은(吳承恩)이다. 그런데 이 설에 꼭 모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를 ‘작자’로 단정하는 것은 지금 단계에서는 불가능하다. 원래 청대에 보편적인 『서유기』의 작자로 알려진 사람은 구처기(丘處機)였다. 그가 지은 원대의 『장춘진인서유기』(長春眞人西遊記)와 혼동했기 때문이다. 『서유기』의 작자가 오승은이라는 주장은 명대 말기에 편찬된 『회안부지』(淮安府志)라는 지방지의 기록에서 비롯되었다. 그런데, 이 지방지에서 언급한 『서유기』가 여행기의 일종이 아니라 소설 『서유기』라는 확증은 없다. 『회안부지』에는 ‘서유기’(西遊記)라는 세 글자만 있을 뿐, 그 내용이나 판본에 관한 주기(注記)는 전혀 없기 때문이다. 이후 호적(胡適)과 노신(魯迅) 등이 오승은설을 채용하면서, 오승은설은 거의 정설이 되었다. 그러나 지방지에서는 통상 백화소설류를 소개하지 않는 것이 관행이었고, 『천경당서목』(千頃堂書目) 등에서는 『서유기』를 지리서로 분류한 점으로 볼 때, 『회안부지』에 수록된 『서유기』가 소설이 아닐 가능성도 남아 있다. 오늘날에도 『서유기석의』(西遊記釋義)를 쓴 대만의 진돈보(陳敦甫) 등은 구처기가 『서유기』의 작자라고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서유기』와 한국
지은이는 한국어판 서문에서 고려 시대의 중국어 교재인 『박통사』(朴通事)의 일부 구절을 다음과 같이 인용한다. “…… 『당삼장서유기』(唐三藏西遊記)를 사려고 하네. …… 『서유기』는 신이 나고 재밌어서 울적할 때 읽기엔 딱 일세.” 이 인용부분에서 우리는 원대에 『당삼장서유기』라고 제목을 붙인 텍스트가 간행되었고, 이 텍스트가 고려인 사이에서도 인기가 매우 많았다는 점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책에서 언급한 『당삼장서유기』는 원간본(元刊本) 『서유기』로서,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은 책이다(지은이는 이 책이 한국의 어딘가에 지금도 남아 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조선 시대에도 『홍길동전』의 저자인 16세기 말의 허균(許筠, 1569~1618)이, 자신이 『서유기』의 열성적인 독자임을 밝히고 있다. 특히 그는 이 책의 지은이 나카노 미요코처럼 『서유기』가 도교의 수련법을 말하는 책이라고 인식하고 있어, 매우 흥미롭다.

『서유기』는 아동용 도서인가?
이처럼 『서유기』는 연단술사와 도교의 엘리트들이 신비롭고 은유적인 고도의 상징적 비유를 통해, 자신들의 ‘도’(道)를 설파하고 연단술 및 도교 비책의 우월함과 고상함을 과시하고 있는 책이다. 이 점은 16세기의 허균도 어느 정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을 만큼, 매우 흥미롭다. 그러나 우리는 현재 이 책을 너무 단순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손오공 일행이 천축국으로 불경을 찾으러 가는 도중에 온갖 악독한 요괴를 무찌르며 불법을 설파한다는 스토리로만으로 『서유기』를 받아들인다면, 이 책은 그저 아동용 환타지 소설에 머무르고 말 것이다. 물론, 줄거리 자체로도 많은 사람의 흥미를 자아낼 만큼 이 책의 흡인력은 크다. 그러나 『서유기』 작자의 숨은 의도를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유기』에 수록된 시사(詩詞)를 통해 그 의미를 곱씹어봐야 한다. 이 책 『서유기의 비밀』은 그런 숨은 암유와 상징을 간파할 수 있게 이끌어주는 훌륭한 가이드가 될 것이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1. 손오공의 탄생과 재생
1-1. 서문을 대신하여
1-2. 아이를 낳는 돌: 손오공의 재생
1-3. 용에서 용왕으로
1-4. 나그네의 종자들: 모모타로에서 『서유기』까지

2. 『서유기』의 오컬티즘
2-1. 오행사상과 『서유기』: 삽입시의 수수께끼
2-2. 납과 수은 이야기(1): 연단술의 비법
2-3. 납과 수은 이야기(2): 숨겨진 포르노그래피
2-4. 손오공과 금과 화: 주인공들에 대한 연단술적 해석
2-5. 성수만다라: 『서유기』 속 숫자의 신비

3. 『서유기』의 사회학
3-1. 별의 화신들: 중국 고대의 밤하늘
3-2. 신들의 위계: 도교와 민간신앙
3-3. 나타태자 이야기: 손오공의 분신
3-4. 요괴가면극: 희곡의 시대와 『서유기』

4. 『서유기』의 해부학 노트
4-1. 오승은과 구처기: 저자를 둘러싼 오해
4-2. 『서유기』의 주변: 그 성립 전후
4-3. 얌전한 제천대성: 해부의 실마리

지은이의 말
옮긴이의 말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