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열녀전보주 1

열녀전보주 1

  • 유향 ,왕조원(보주)
  • |
  • 전통문화연구회
  • |
  • 2019-08-30 출간
  • |
  • 345페이지
  • |
  • 190 X 259 X 21 mm /722g
  • |
  • ISBN 9791157942602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30,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0,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유향, 유가적 여성상의 규범을 제시하다
≪열녀전列女傳≫은 한漢나라 때 유향劉向이 여러 경전經傳이나 사서史書 등에 기재된 여성들의 행적을 모아 엮은 동아시아 최초의 여성 전기집傳記集으로, 여기서 ‘열녀列女’는 ‘여러 여성들’이라는 뜻이다. 저명한 학자이자 한漢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이복동생인 유교劉交의 4세손이기도 한 유향은 고전古典에 등장하는 여성들을 ≪열녀전≫에 입전立傳하면서 기존 문헌에 기재된 것을 그대로 옮겨 적은 것이 아니라 원전에 보이지 않던 상황을 설정하거나 언행을 각색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그는 ≪시경詩經≫과 ≪상서商書≫ 등의 여러 문헌에서 국가를 흥성하게 하고 집안을 현양하여 모범이 될 수 있는 여인과 제왕帝王의 총애에 기대 국가를 어지럽게 한 여인들의 사적을 모아 8편의 ≪열녀전≫을 편찬한 것이다.
그렇다면 유향은 왜 여성들의 전기를 편찬하게 된 것일까? 유향이 활동할 당시는 주로 원제元帝와 성제成帝 때였는데, 이 당시 한나라는 조비연趙飛燕과 조합덕趙合德 자매 등 후궁과 외척 세력이 황제의 총애를 믿고 권력을 농단하던 시기였다. 유향은 ≪열녀전≫의 편찬을 통해 당시의 이러한 현실을 에둘러 비판하고, 나아가 이상적인 유교 통치를 위해 요구되는 자질과 덕성을 갖춘 여성상을 제시하려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열녀전≫은 후대로 내려올수록 바람직한 유가적 여성이 되기 위한 규범서 또는 교과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열녀전, 우리나라에 들어오다
한국에서는 고려 말엽 정추鄭樞의 ≪원재고圓齋稿≫에 ‘열녀전’이라는 어휘가 처음 등장하고, 이후 조선 태종 4년(1404)에는 명나라에 다녀온 사신들이 하사품으로 ≪고금열녀전古今列女傳≫ 610부를 받아왔다. 중종 38년(1543)에는 ≪열녀전≫ 언해본諺解本이 처음 간행되었고, 이후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의 열녀편烈女篇과 소혜왕후昭惠王后의 ≪내훈內訓≫, 영빈暎嬪 이씨李氏의 ≪여범女範≫ 등이 저술되었는데, 이는 ≪열녀전≫을 수용하여 창작한 ‘조선식 열녀전’이었다고 볼 수 있다.
≪열녀전≫의 역할 및 기능은 조선에서도 유사했다. 중종 때 ≪열녀전≫이 언해되기 시작하여 왕실 및 사대부가의 여성들에게 두루 보급되었고, 이를 본 여성들은 ≪열녀전≫에 입전된 여성들의 행적을 ‘따라하기’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유가적 이념에 충실한 여성으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심지어 개별적으로 ≪열녀전≫의 번역이 이루어지기도 하고, 여성이 직접 베껴서 책을 만들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삼강행실도≫의 열녀편처럼 ≪열녀전≫을 직접적으로 계승하고 있는 서적들이 저작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유향이 세운 ‘열녀’의 전범은 조선후기로 올수록 영향력이 다대해져 여성이 정절을 지키기 위해 남편을 따라 죽는, 이른바 열녀烈女들이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열녀烈女에 가려진 열녀列女들
이처럼 ≪열녀전≫이 동아시아의 유교적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확립에 기여를 한 것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이 ≪열녀전≫의 전부라고 판단하는 것 또한 오류일 수 있다.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의 원형을 보여주는 현모양처들과 예법禮法과 절의節義를 지키기 위해 죽음도 불사하는 열녀烈女들이 특히 <모의전母儀傳>, <정순전貞順傳>, <절의전節義傳>에 집중적으로 등장하지만, <현명전賢明傳>이나 <인지전仁智傳>, <변통전辯通傳>에는 그와는 또 다른 유형의 여성들이 대거 등장하고 있다. 그녀들은 타고난 지혜와 담대한 용기로 작게는 한 집안을, 크게는 한 나라의 운명을 좌우하기도 한다.
≪열녀전≫에 등장하는 지혜롭고 용기 있는 여인들에 대한 찬양조차 여성에 대한 일종의 억압 기제로 가부장제를 강화하는 데 이용되었다고 비판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예컨대 <변통전>에 등장하는 ‘현명한 추녀들’은 남성들의 욕망을 은폐하는 탈 여성화의 결과물로 남성 중심적 세계관의 틀 안에서 파악되기도 한다. 그러나 ≪열녀전≫에 나오는 적극적이고 대담하며 때로는 주체적이기까지 한 여성들의 모습을 후대의 문헌에서는 오히려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에서 그러한 비판 역시 한쪽에 치우친 시각일 수 있다. ≪열녀전≫이 유교적 여성 규범의 확립에 일정한 기여를 한 것은 분명하지만, 그것이 공고화되기 이전의 상대적으로 자유롭고 개방적인 고대 사회의 여성들의 모습 또한 담아내고 있다는 점을 놓쳐서는 안 될 것이다.
≪열녀전≫이 가지는 시대적, 이데올로기적 한계는 분명 존재한다. 그럼에도 역사 속 여성들의 일화를 최초로 집단 전기 형식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리고 다양한 유형의 여성들의 모습을 발굴하여 소개했다는 점에서 ≪열녀전≫은 동아시아 여성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열녀전≫에 수록된 수많은 고사故事와 일화逸話들이 후대에 전거典據로서 끊임없이 소환되었다는 점은 이 책이 여전히 살아있는 고전古典으로서의 생명력을 갖고 있다는 방증이 될 것이다.


목차


東洋古典譯註叢書를 발간하면서
解 題
凡 例
參考文獻

列女傳補注 卷一
어머니로서 모범이 된 여인들에 대한 전 母儀傳 / 50
1-1 有虞의 두 妃 有虞二妃 / 51
1-2 棄의 어머니 姜嫄 棄母姜嫄 / 57
1-3 契의 어머니 簡狄 契母簡狄 / 63
1-4 啓의 어머니 塗山 啓母塗山 / 66
1-5 湯임금의 비 有? 湯妃有? / 69
1-6 周나라 왕실의 세 어머니 周室三母 / 72
1-7 衛나라의 시어머니 定姜 衛姑定姜 / 80
1-8 齊나라 딸의 傅母 齊女傅母 / 87
1-9 魯나라 季孫氏 집안의 敬姜 魯季敬姜 / 91
1-10 楚나라 子發의 어머니 楚子發母 / 107
1-11 鄒나라 孟軻의 어머니 鄒孟軻母 / 112
1-12 魯나라의 母師 魯之母師 / 120
1-13 魏나라 芒氏의 慈母 魏芒慈母 / 127
1-14 齊나라 田稷子의 어머니 齊田稷母 / 130
1-15 【補】 魯나라 師氏의 어머니 補魯師氏母 / 134

列女傳補注 卷二
賢淑하고 사리에 밝은 여인들에 대한 전 賢明傳 / 135
2-1 周 宣王의 부인 姜后 周宣姜后 / 136
2-2 齊 桓公의 부인 衛姬 齊桓衛姬 / 141
2-3 晉 文公의 부인 齊姜 晉文齊姜 / 145
2-4 秦 穆公의 부인 公姬 秦穆公姬 / 150
2-5 楚 莊王의 부인 樊姬 楚莊樊姬 / 155
2-6 周南의 아내 周南之妻 / 160
2-7 宋나라 鮑蘇의 아내 女宗 宋鮑女宗 / 164
2-8 晉나라 趙衰의 아내 晉趙衰妻 / 170
2-9 陶邑 大夫 ?子의 아내 陶?子妻 / 174
2-10 柳下惠의 아내 柳下惠妻 / 178
2-11 魯나라 黔婁의 아내 魯黔婁妻 / 182
2-12 齊나라 재상 마부의 아내 齊相御妻 / 188
2-13 楚나라 接輿의 아내 楚接輿妻 / 191
2-14 楚나라 老萊子의 아내 楚老萊妻 / 194
2-15 楚나라 於陵子終의 아내 楚於(오)陵妻 / 198

列女傳補注 卷三
어질고 지혜로운 여인들에 대한 전 仁智傳 / 202
3-1 密 康公의 어머니 密康公母 / 203
3-2 楚 武王의 부인 鄧曼 楚武鄧曼 / 206
3-3 許 穆公의 夫人 許穆夫人 / 211
3-4 曹나라 僖氏의 아내 曹僖氏妻 / 216
3-5 孫叔敖의 어머니 孫叔敖母 / 220
3-6 晉나라 伯宗의 아내 晉伯宗妻 / 223
3-7 衛 靈公의 夫人 衛靈夫人 / 227
3-8 齊 靈公의 부인 仲子 齊靈仲子 / 231
3-9 魯나라 臧孫의 어머니 魯臧孫母 / 235
3-10 晉나라 羊舌子의 아내 叔姬 晉羊叔姬 / 241
3-11 晉나라 范氏의 어머니 晉范氏母 / 251
3-12 魯나라 公乘子皮의 누나 魯公乘? / 254
3-13 魯나라 漆室의 노처녀 魯漆室女 / 257
3-14 魏나라 曲沃 땅의 노파 魏曲沃負 / 261
3-15 趙나라 將帥 趙括의 어머니 趙將括母 / 269

列女傳補注 卷四
堅貞하고 柔順한 여인들에 대한 전 貞順傳 / 273
4-1 召南 지방 申나라 사람의 딸 召南申女 / 274
4-2 宋 恭公의 부인 伯姬 宋恭伯姬 / 278
4-3 衛나라의 과부가 된 부인 衛寡夫人 / 283
4-4 蔡나라 사람의 아내 蔡人之妻 / 289
4-5 黎 莊公의 부인 黎莊夫人 / 291
4-6 齊 孝公의 부인 孟姬 齊孝孟姬 / 294
4-7 息나라 임금의 부인 息君夫人 / 303
4-8 齊나라 杞梁의 아내 齊杞梁妻 / 306
4-9 楚 平王의 부인 伯? 楚平伯? / 311
4-10 楚 昭王의 부인 貞姜 楚昭貞姜 / 315
4-11 楚나라 白公의 아내 貞姬 楚白貞姬 / 317
4-12 衛나라 宗室의 두 貞順한 여인 衛宗二順 / 320
4-13 魯나라 寡婦 陶? 魯寡陶? / 325
4-14 梁나라 寡婦 高行 梁寡高行 / 328
4-15 陳縣의 寡婦 孝婦 陳寡孝婦 / 332

[附錄]
1. ≪列女傳補注≫ 總目次(QR코드) / 337
2. ≪列女傳補注1≫ 도판 목록 / 340
3. ≪列女傳補注≫ 참고서목(QR코드) / 342
4. ≪列女傳補注1≫ 圖板(QR코드) / 342
5. 〈戰國七雄圖〉(QR코드) / 342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