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통색촬요

통색촬요

  • 박헌순 ,남지만 ,하현주
  • |
  • 한국고전번역원
  • |
  • 2016-11-30 출간
  • |
  • 464페이지
  • |
  • 161 X 232 X 30 mm /1025g
  • |
  • ISBN 9788928404032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20,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0,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태종대왕 15년(1415) 서얼 자손은 현직(顯職)에 서용(敍用)하지 말라고 명하였다. 우대언(右代言) 서선(徐選)의 요청을 따른 것이다.”
《문헌비고(文獻備考)》

《통색촬요(通塞撮要)》는 조선 시대 서얼 차대(差待) 규정에 반대하는 글을 모은 책으로, 각 시대별로 서얼 허통에 관련된 전교(傳敎), 상소(上疏), 문답(問答) 등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 시대의 서얼은 중국이나 고려 때와는 달리 심한 차별을 받았다. 서얼은 양반 사족(士族)의 자손이면서 단지 어머니가 첩이라는 이유로 양반의 지위에서 도태되었다. 《홍길동전》 에서 알 수 있듯이 가정에서는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적자(嫡子)의 형제들을 형·동생이라 부르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봉사(奉祀), 상속에서도 적자손에 비하여 심한 차별을 받았고 벼슬 진출 또한 불가능하였다. 이중에서도 가장 혹독한 것은 서얼의 과거응시를 금지하는 서얼금고법이었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서얼은 기존 신분제의 모순에서 오는 자기들의 처지를 개선하려고 노력하였고, 서얼도 점차 관직에 나아가는 길이 열리기 시작하였다. 탕평 군주인 영조와 정조대에는 서얼에 대한 관심과 허통의 노력으로 서얼의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었다. 《통색촬요》를 통하여 그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책의 구성과 내용
“한평생 차별만 당하던 서얼은 운 좋게 성군(聖君)을 만나면 그들의 재능을 인정받았지만 서얼에게 주어진 관직은 기껏해야 몇 안 되는 문관, 무관, 음관직 뿐이었다. 이나마도 성군이 승하하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바로 회수되고는 하였다. 서얼에게 성군은 탕평 군주로 알려진 영조와 정조였다. 영조와 정조가 재위했던 18세기는 신분 차별이라는 고질적 폐단으로 무수한 사람들이 시련을 겪었다. 당시 권력을 장악한 경화 사족 출신의 집권 노론은 왕실과 혼인을 통해 권력을 장악하여 강력한 문벌 집단을 형성하였고, 왕위 계승 과정에 깊숙이 개입하여 그들의 입맛에 맞는 이를 군주로 내세우는 등 조선의 정치와 경제를 좌지우지할 수 있는 막강한 영향력을 키워 나갔다. 영조와 정조는 사회적 소수자들의 능력을 끊임없이 실험했으며, 각자의 재능에 맞는 관직에 임명하고자 부단한 노력을 기울였다.”

“하늘이 인재를 낼 때에 본디 적자와 서자를 차별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도 서얼을 금고하는 것은 곧 우리나라의 잘못된 제도이며 고금 천하에 없던 일입니다. 우리나라는 땅이 좁고 인재가 적으니, 비록 한 시대의 인재를 모두 쓰더라도 오히려 부족할까 염려가 되는데, 제도가 지나치게 엄격하고 차별이 매우 심하여, 하늘이 내려 주신 인재에 대해서도 오히려 그들의 재주를 다 쓰지 못하고 있습니다. 천인賤人의 자손들도 오히려 벼슬길에 소통이 되기도 하는데, 사대부 집안의 서얼은 자자손손 한결같이 단단히 금고를 당해서, 비록 남다른 재주와 지혜를 지닌 인재일지라도 하류에 침체되어 평생을 마치니, 참으로 애석한 일입니다.”
- 영조 즉위년(1724) 12월 17일 이조 판서 김상용 회계

“아, 저들 서얼도 나의 신하인데 제자리를 얻지 못하고 그 포부를 펼칠 수 없게 한다면 이 또한 과인의 잘못이다. 양전兩銓의 신하들에게, 대신에게 나아가 의논하여 이들을 소통시킬 방도와 장려하여 발탁할 방안을 특별히 더 강구하게 하되, 문관과 음관, 무관은 어느 관직까지로 제한을 둘 것인지 그 품계를 가늠하여 차등을 두고 세칙을 상세히 마련하여 벼슬길을 넓혀 주라고 분부하라.”
- 정조 1년(1777) 3월 1일 전교

《통색촬요》는 모두 4권으로, 제1권은 도입부로서 조선 초기 서얼의 금고 과정으로부터 숙종대까지 서울 허통 관련 주요 논의나 정책들을 모아놓았다. 제2권은 영조대 서얼 허통 정책들을 정리하였고, 제3권과 4권은 정조대의 정책들을 기록하였다. 제4권 말미에 있는 〈칠조문답〉은 서얼의 입장에서 허통의 당위성과 역사적 논거들을 종합하였다.


목차


일러두기
해제_조선조 서얼 차대의 실상과 허통 정책의 추이
제1권
태종대왕
세조
성종
중종
명종
세조
선조
인조
효종
숙종

제2권
영조

제3권
정조

제4권
정조

부록
通塞撮要 原文
凡例
卷之一
卷之二
卷之三
卷之四
附錄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