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임원경제지 위선지 1

임원경제지 위선지 1

  • 서유구
  • |
  • 소와당
  • |
  • 2011-12-20 출간
  • |
  • 616페이지
  • |
  • 160 X 230 mm
  • |
  • ISBN 9788993820652
판매가

35,000원

즉시할인가

35,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5,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조선의 브리태니커,
임원경제지 3차 출간 - 위선지

임원경제지 위선지(전2권)가 출간되었다. 2009년 임원경제지 본리지(전3권), 2010년 관휴지(전2권)와 만학지(전2권)에 이은 임원경제지 3차 출간이다.
임원경제지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서유구의 유작으로, 그 분량이 113권 52책에 이르는 조선 최대의 백과사전이다. 이번 3차 출간하는 위선지는 천문, 기상을 관찰하여 점을 치는 점후(占候) 백과사전이다. 과연 조선시대에 점후란 무엇이고 왜 그토록 절실히 필요했을까?

위선지의 주요 내용
임원경제지는 인간 삶의 기본인 먹고, 입고, 사는 의식주(衣食住)의 문제를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 중 위선지는 전통시대 농업을 좌우하였던 기상과 천문의 변화를 관측하여 농사의 풍흉과 가뭄, 수해 등 기상 이변을 예측하는 이른바 점후(占候)가 주요 내용이다.

위선지 01(권1~권2)
권1_ 일년 점후 상(上)
정월부터 12월까지 매월 기후를 관측하여 점을 친다. 많은 비중이 할애된 정월점의 경우, 정월 초하루와 첫 상순 동안 그리고 입춘날과 대보름날에는 거의 1년 전체의 점후를 위해 각종 속신, 술법, 자연 징후 해석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권2_ 일년 점후 중(中)
하늘[天], 땅[地], 해[日], 달[月], 바람[風], 비[雨], 구름[雲] 등을 관측하여 점을 친다. 일식, 월식, 햇무리, 달무리 등에 따른 일기 변화를 자세히 소개하면서 1년 날씨와 농사의 풍흉, 기상 이변의 전반을 다룬다.

위선지 02(권3~권4)
권3_ 일년 점후 하(下)
별점[占星]과 운기점[占運氣]로 구성되어 있다. 별점은 북두칠성 등 3원 28수 별자리를 관측하여 점을 친다. 운기점은 오행(五行)과 육기(六氣: 風, 熱, 濕, 火, 燥, 寒의 기후)를 관측하여 점을 친다.

권4_ 풍우 점후
권2와 비슷하게 하늘, 땅, 해, 달, 바람, 비, 구름 등을 관측하여 점을 치지만 바람과 구름의 변화에 따른 풍우 문제를 보다 중점적으로 다룬다. 가뭄과 수해가 곧 풍우(비바람)와 밀접하기 때문이다.

임원경제지의 주요 내용
1 본리지本利志(권1~권13) 곡식 농사의 전체에 대한 총람. 토지제도, 수리, 토질, 농사 시기, 개간과 경작법, 거름과 종자의 선택, 파종, 수확 및 저장, 곡식 이름 고증, 곡식 재해와 예방, 농가 달력 표, 농기구와 관개시설 도보.
2 관휴지灌畦志(권14~권17) 온갖 채소류, 나물류, 해초류, 약초의 이름 고증 및 재배법.
3 예원지(권18~권22) 온갖 화훼의 이름 고증 및 재배법.
4 만학지晩學志(권23~권27) 과실류, 풀열매류, 각종 나무의 이름 고증 및 재배법.
5 전공지展功志(권28~권32) 뽕나무 재배, 누에치기, 비단짜기, 삼베 모시 칡 면화의 재배와 옷감짜기. 염색 및 잠상(蠶桑)과 방직(紡織).
6 위선지魏鮮志(권33~권36) 기상과 천문을 관찰하여 농사의 풍흉 예측하기.
7 전어지佃漁志(권37~권40) 가축사육, 사냥, 각종 어구(漁具)와 어로 및 낚시. 물고기 이름 고증.
8 정조지鼎俎志(권41~권47) 음식요리백과. 음식 재료에 대한 총론, 밥 떡 죽 엿 국수 만두, 국과 탕 종류의 요리, 한과, 김치류 담그기, 고기 요리, 조미료 만들기, 술 담그기, 절기 음식 만들기.
9 섬용지贍用志(권48~권51) 가정생활 백과. 건축, 취사 도구, 공작 기구, 복식제도, 화장 도구, 실내 장식, 교통 수단, 도량형.
10 보양지?養志(권52~권59) 선비의 정신수양과 건강유지법. 정기신의 수련, 식이요법, 양노법, 육아법, 섭생법.
11 인제지仁濟志(권60~권87) 본격적인 치료의학.『동의보감』이후 가장 방대한 전통의학의 집대성. 내인, 외인, 내외겸인의 병인(病因) 체계 구분. 부과(婦科), 유과(乳科), 외과, 침구수혈.
12 향례지鄕禮志(권88~권90) 가정과 향촌 생활에 필요한 의례. 향음주례(鄕飮酒禮), 향사례(鄕射禮), 향약(鄕約), 관혼상제(冠婚喪祭).
13 유예지游藝志(권91~권98) 임원에서 익히고 즐기는 기초 교양 및 기예. 독서법, 활쏘기, 산법(算法), 서예와 그림, 방악(房樂).
14 이운지怡雲志(권99~권106) 예술과 문화 각 분야별 취미생활. 정원과 연못의 배치 및 운용, 생활용구와 차, 향, 거문고, 화석(花石), 애완동물 사육법, 문방구, 예술품 감상, 서적, 명승 유람, 각종 연회와 놀이.
15 상택지相宅志(권107~권108) 주거지의 선택방법과 전국의 명기(名基). 대문, 담장, 울타리, 창고, 숫돌, 화장실, 외양간, 우물, 연못의 설치 방법.
16 예규지倪圭志(권109~권113) 가정경제의 운영방법과 상업활동의 기초자료. 지출방법, 절약방법, 화재와 절도 예방법, 재산증식법, 전국의 산물과 시장 거래품목, 거리대조표.

조선의 브리태니커, 임원경제지는
1840년 서유구는 조선의 브리태니커, 임원경제지를 완성하였다. 임원경제지는 조선 후기 명문가인 달성 서씨 3대(서명응, 서호수, 서유구)에 걸친 작업으로, 그 분량이 113권 52책에 이르는 조선 최대의 백과사전이다.
임원경제지의 저자 서유구는 조선후기 소론의 대표적인 학자로서 다산 정약용에 버금가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그의 학문은 조부 서명응의 선천역(先天易)과 명물지학(名物之學), 부친 서호수의 수리(數理)와 역상(曆象), 중부 서형수(徐瀅修)의 훈고(訓?)와 명물 등 가학의 영향을 받아 성숙하였고, 연암 박지원을 비롯한 북학파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서유구는 문학이나 경학보다는 농학과 같은 실용에 더 깊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 22세(1785년)의 나이에 조부 서명응의 명을 받아 『보만재총서(保晩齋叢書)』 중 『본사(本史)』의 뒷부분을 대신 저술할 만큼 일찍부터 농학적 소양을 연마한 이래 『행포지(杏蒲志)』, 『종저보(種藷譜)』,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 『경솔지』, 『옹희지』, 『금화경독기(金華耕讀記)』 등을 저술하였고, 이들은 113권 54책에 달하는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로 종합되었다. 농사에서 의학, 예술, 상업에 이르기까지 실생활에 필요한 지식을 집대성한 『임원경제지』는 총서(叢書)의 성격과 유서(類書)의 성격을 아울러 지닌 백과전서적인 저술로 그의 평생에 걸쳐 온축된 학문의 결정체이다.
이외에도 『풍석전집(風石全集)』, 『모시강의(毛詩講義)』, 『완영일록(完營日錄)』, 『화영일록(華營日錄)』, 『번계시고(樊溪詩稿)』, 『누판고(鏤板考)』 등의 저술이 있다.
임원경제지는 그 방대한 분량뿐 아니라 당시 최신의 동아시아 지식을 망라한 정보력, 곧바로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 서술 등으로 인해 일찍이 역사학계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 왔다.
이미 1960~70년대부터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등과 함께 한국을 대표하는 고전 100선으로 선정되어 완역 출간의 필요성이 부각되었지만, 그 방대한 분량과 복잡한 내용으로 인해 완역 출간이 미루어져 왔다.
소와당에서는 서유구가 임원경제지를 완성한 지 170여년만이 지난 2008년, 국내 최초로 임원경제지의 완역 출간 작업에 착수하였다. 그 결과로 2009년 4월, 1차로 임원경제지 전체 16지 중 첫 번째인 본리지를 완역 출간하였고 2010년 9월, 2차로 관휴지와 만학지를 완역 출간하였다. 1차 출간된 본리지는 곡식류 백과사전, 2차 출간된 관휴지는 채소류 백과사전, 만학지는 나무류 백과사전이다. 2011년 12월, 3차로 위선지를 완역하여 세상에 내놓는다.


목차


간행사
풍석서유구
임원경제지의 구성
위선지의 구성
일러두기

위선지인魏鮮志引

卷第一 일년 점후 상(上) 候歲 第一
1. 정월점 正月占
2. 2월점 二月占
3. 3월점 三月占
4. 4월점 四月占
5. 5월점 五月占
6. 6월점 六月占
7. 7월점 七月占
8. 8월점 八月占
9. 9월점 九月占
10. 10월점 十月占
11. 11월점 十一月占
12. 12월점 十二月占

卷第二 일년 점후 중(中) 候歲 第二
1. 하늘점 占天
2. 땅점 占地
3. 해점 占日
4. 달점 占月
5. 바람점 占風
6. 비점 占雨
7. 구름점 占雲
8. 안개와 노을점 占霧霞
9. 무지개점 占虹
10. 우레와 번개점 占雷電
11. 서리와 이슬점 占霜露
12. 눈점 占雪
13. 우박점 占雹
14. 얼음점 占氷
15. 은하수점 占天河
16. 초목점 占草木
17. 곡식점 占穀
18. 금수점 占禽獸
19. 충어점 占蟲魚
20. 역일점 占曆日

부록: 농가 의기일農家宜忌日
21. 부록1 : 경파 의기일 附 耕播宜忌日
22. 부록2 : 치포 의기일 附 治圃宜忌日
23. 부록3 : 종식 의기일 附 種植宜忌日
24. 부록4 : 양잠 의기일 附 養蠶宜忌日
25. 부록5 : 축목 의기일 附 畜牧宜忌日
26. 부록6 : 전어 의기일 附 佃漁宜忌日

위선지01 상세목차
위선지02 상세목차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