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경기도산성여행(역사의흔적)

경기도산성여행(역사의흔적)

  • 최진연
  • |
  • 주류성
  • |
  • 2012-05-21 출간
  • |
  • 616페이지
  • |
  • ISBN 9788962460834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7,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7,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경기 북부

연천군
12 국내최초로 발견된 고구려성 ‘호로고루’
20 ‘은대리성’ 은 고구려성이었다
25 발굴조사 후 묻어 버린 ‘당포성’
30 역사의 미스터리 ‘대전리산성’
35 대공원 같은 ‘전곡리토성’
38 인적 없는 ‘수철성’
43 ‘옥계리산성’ 에서 선녀를 만나다
48 버려진 호국의 현장 ‘성령산성’
52 연천의 신앙숭배지 ‘군자산성’
54 흔적 없는 ‘삼거리산성’
55 대전리산성의 배후성 ‘초성리산성’
58 네모반듯한 ‘초성리토성’
60 나루터를 지키던 ‘무등리1보루’
62 고구려 철갑옷 발견된 ‘무등리2보루’
66 사라진 성돌 ‘우정리보루
68 멧돼지 놀이터 ‘고성산보루
70 남방 한계선과 나란히 붙은 ‘강서리보루’
72 유적의 성격도 알 수 없는 ‘아미리보루’
74 봉수대 같은 ‘광동리보루’
76 갈 수 없는 ‘두루봉보루’

파주시
78 호로고루성과 마주한 ‘이잔미성’
82 채석장에 두 동강 난 ‘장명산보루’
84 세상이 발아래 ‘심학산보루’
88 민통선에서 만난 ‘덕진산성’
94 철새들의 낙원 ‘장산돈대’
96 알듯 말듯 한 ‘조량진보루’
98 사통팔달 조망권 ‘파평산보루’
102 주민들 대궐터로 부르는 ‘금파리성’
106 권율장군의 승전보가 전해지는 ‘봉서산성’
108 한국판 그랜드캐년 ‘월롱산성’
113 쟁탈의 역사 짙게 배어있는 ‘칠중성’
116 어느 건축가 작품일까 ‘아미성’
122 백제초기 수수께끼 풀어줄 역사의 비밀창고 ‘육계토성’
129 ‘빗돌’에 담긴 천년의 미스터리 ‘감악산보루’
136 북한과 마주한 통일전망대 ‘오두산성’
142 공동묘지로 폐허가 된 ‘명봉산성’
146 주한미군의 훈련장이 된 ‘무건리보루’

동두천시
148 성종의 전설이 서린 ‘어등산보루’

양주시
150 ‘대모산성’성벽 어느 석공의 작품일까?
156 형태도 없이 사라진 ‘비석거리토성’
158 사통팔달 거침없는 조망권 ‘불곡산보루’
182 천보산맥 따라 이어진 ‘천보산보루’
196 금덩어리에 유혹된 양주 ‘도락산보루’
206 옛 부터 성이 있어 ‘큰테미산보루’
210 숨은 듯한 ‘작은테미산보루’
214 양주분지 중앙에 자리한 ‘고장산1보루’
218 규모가 큰 ‘고장산2보루’
220 채석장으로 반 토막난 ‘독바위보루’
224 훼손 방치된 작은 ‘회암리보루’
226 미군의 정찰 장소인 ‘소래산보루’
228 첩첩산중 ‘기산리보루’ 세상으로 나오다
230 고구려 유물이 쏟아져 나오다 ‘태봉산보루’
232 멸실된 ‘노고산보루’

포천시
234 수몰지역에 놓인 ‘보개산성’
239 태봉국 궁예의 전설 ‘성동리산성’
242 성재 고갯마루에 터를 잡은 ‘고소성’
246 철원평야가 한눈에 ‘할미산성’
248 난공불락의 ‘운악산성’주인공은 누구일까
252 신라 토기 무더기로 나온 ‘반월산성’
258 가장 오래된 아득한 성 ‘고모리산성’
260 산성보다는 보루형태 ‘소고산성’

의정부시
263 사패산 암봉마다 ‘사패산보루’
271 옛 고개를 감시했던 ‘부용산보루’
273 수락산에도 암봉마다 ‘보루성’

구리시
280 1500년 역사를 뚫고 섰다 ‘아차산보루’
297 고구려 성벽 천년의 모습 드러낸 ‘시루봉보루’
300 망자들 유택에 묻혀 버린 ‘망우산보루군’
305 ‘아차산장성’ 의 축성 비밀은
307 ‘아차산성’ 주인공은 백제인가 신라인가?

남양주시
310 을지문덕 전설 맴도는 ‘퇴뫼산성’
313 묻혀진 ‘국사봉보루’
315 ‘불암산성’은 신라였다.
319 한강 나루터를 지켰던 ‘수석리토성’
321 선사시대 사람이 살았던 ‘안산보루’
324 말이 진을 쳤던 ‘마진산성’

양평군
327 패전과 승전이 함께 있는 ‘함왕산성’
330 왕비의 전설이 남아 있는 ‘신원리산성’

여주군
334 ‘파사성’에서 남한강을 보라
342 말갈과 백제 온조가 맞장 뜬 격투장 ‘술천성’
347 신라군이 주둔했던 ‘북성산성’
348 은빛모래 감시하던 ‘봉우재보루’ 살아날지...
351 공민왕의 전설 무수한 ‘원적산성’

가평군
354 가평역사 밝혀줄 ‘현리산성’

고양시
357 고구려 안장왕의 러브스토리 ‘고봉산성’
359 새롭게 부각되는 ‘북한산성’
366 역사상 처음 등장한 치마부대 ‘행주산성’
369 아득한 옛 고성 ‘번대미토성’
371 효심 때문에 명당이 된 ‘멱절산토성’

경기 남부

김포시
374 예성강과 김포평야가 한눈에 ‘동성산성’
376 ‘북성산성’시민들 품으로 돌려 달라
377 벚꽃에 물든 ‘수인산성’
380 역사를 배우고 절경에 취하는 ‘문수산성’
384 토성형태가 또렷한 ‘대릉리토성’
386 애국충절이 서린 곳 ‘덕포진’

시흥시
389 경순왕의 슬픈 전설이 서린 ‘군자산성’

광명시
392 광명일대를

도서소개

유적전문 사진기자 최진연이 2년 동안 경기도 전역에 분포된 옛 산성 211여개소를 샅샅이 답사하며 사진을 찍은 책이 출간됐다. 이 책은 경기도 전역의 산성사진과 해설이 총망라 된 국내 유일의 산성 에세이집이다. 이중에는 문헌에 등장한 것도 있지만 새로 찾아낸 60여 곳의 산성은 지금까지 공개된 적이 없는, 학술적으로도 귀중한 자료들이다.
경기도에 소재한 211개소의 산성 현장 취재
- 새롭게 찾아낸 60개소의 산성, 최초 공개

유적전문 사진기자 최진연이 2년 동안 경기도 전역에 분포된 옛 산성 211여개소를 샅샅이 답사하며 사진을 찍은 책이 출간됐다. 이 책은 경기도 전역의 산성사진과 해설이 총망라 된 국내 유일의 산성 에세이집이다. 이중에는 문헌에 등장한 것도 있지만 새로 찾아낸 60여 곳의 산성은 지금까지 공개된 적이 없는, 학술적으로도 귀중한 자료들이다.

경기도 지역의 산성조사는 한강을 사이에 두고 남과 북으로 구분해 진행되었다. 북부지역의 산성은 임진강과 한강유역에 집중 분포돼 있다. 한편, 규모가 작은 300m 이내 산성을 보루라고 하는데, 이들 보루성은 적군의 이동 교통로가 조망돼는 산봉우리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쌓여있다. 북부지역에만 어림잡아 100개소나 된다.

남부지역 산성은 서해안에 집중 분포돼 있는데 남양만에 인접한 화성시와 평택시 관할에만 40여개소가 넘는다. 이 지역 산성들은 대체적으로 둘레가 1km 이내의 작은 토성이며, 내륙 깊숙이 들어갈수록 토, 석축혼합으로 쌓아 규모도 커진다. 더러는 석재만 사용한 산성도 있고 어떤 산성의 성벽은 2~3중으로 쌓여진 곳도 있다.

하지만 이번에 책에 담아낸 211개소의 산성이 모두 온전한 것은 아니다. 30여 곳의 성터는 안타깝게도 멸실됐다. 한국전쟁 후 미군들이 이곳에 통신시설과 미사일기지를 구축하면서 훼손시키고 말았다. 미군이 철수한 뒤 그 기지는 다시 한국군에 반환됐고, 일부시설물이 확장되면서 남아있던 성벽마저 그때 대부분 사라지고 말았다.

평지나 구릉에 있는 수도권의 일부산성도 산업화로 인해 육중한 불도저가 밀어붙였다. 지금도 아파트나 공장이 들어서면서 무참히 파헤쳐지는 성터도 있다. 문화재로 지정된 산성은 그나마 보호를 받지만 버려진 성터는 잡목과 나무뿌리에 질식사 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진연 기자가 산성답사를 시작한지도 벌써 30년이 훌쩍 넘었다. 특히, 산성은 지형파악 때문에 항공촬영이 매우 중요하다. 경기도청이 제공한 헬기로 항공촬영까지 시도했다. 경기북부지역은 군 작전지역으로 통제가 심했고, 남한산성과 북한산성은 대기오염 때문에 청명한 사진을 얻기 힘들었지만, 항공촬영으로 담아낸 산성의 전경은 아름다움과 함께 장쾌한 기상까지 느낄 수 있다.

산성은 우리민족과 늘 함께 있었다. 적의 외침이 시작되면 산성에 들어가 결사로 항전했다. 오천년 역사에 산성만큼 환희와 비애를 깊이 간직한 곳이 어디 있을까. 산성은 그 자체가 역사며 삶이다.

한때 찬란하던 옛 성터는 이제 참담하다. 널브러진 성 돌만 쓸쓸히 남아 세월의 무상함을 보여주고 있다. 산성을 뒤지다가 문득 마주치는 성 돌 하나도 조상들의 숨결이 배어있으며 우리에게는 귀중한 유적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각별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 책은 이 땅의 백성들을 지켜온 산성에 대한 작가의 관심과 애정이 절절하게 묻어 있는 경기도 산성의 종합 보고서다.

[ 추 천 사 ]

심광주 : 서울시 문화재위원, 토지주택박물관장

지금까지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대략 2,300여개의 성곽이 남아 있으며 그중 대부분은 산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산이 많은 지형조건 때문이기도 하지만, 산성이 평지성에 비하여 방어력이 월등하게 높기 때문이다.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성곽은 적의 침입으로부터 영토를 지켜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방어시설이었으므로 성을 쌓을 때에는 당대에 구현할 수 있는 최고의 기술을 동원하여 견고하게 쌓았다. 그 결과 성곽은 성을 쌓은 시대에 따라 성의 규모와 입지, 축성재료, 축성방법, 구비시설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성곽은 관방유적인 동시에 우리나라 토목건축기술 역사를 밝혀낼 수 있는 중요한 복합기술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에 출간되는 ‘역사의 흔적 - 경기도 산성 여행’은 성곽사진 전문가인 최진연 작가가 2년 동안 경기도 전역의 성곽을 직접 답사하여 찍은 사진과 해설을 곁들여 내놓은 성곽사진 에세이집이다.

무거운 촬영 장비를 들고 산에 올라 무성한 수풀을 헤치고 성곽사진을 찍는 작업의 어려움은 말로 다 표현하기 어려웠을 것이며, 성곽에 대한 작가의 남다른 열정이 없이는 불가능하였을 것이다.

특히 헬기를 동원하여 성곽이 위치한 자연지형과 지세를 보여줌으로써 성곽이 축조되는 입지를 알 수 있도록 하였으며 출토유물까지 수록하여 유적의 성격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는 점이 돋보인다. 이 책은 역사의 흔적을 간직한 경기도 성곽의 매력에 빠질 수 있도록 안내 해주며, 일반 독자뿐만 아니라 전문가들에게도 유익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 30여년이 넘는 기간 동안 성곽이란 테마를 집중적으로 탐구하고 촬영해온 최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