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광주 1백년 1: 개화기 이후 광주의 삶과 풍속

광주 1백년 1: 개화기 이후 광주의 삶과 풍속

  • 박선홍
  • |
  • 심미안
  • |
  • 2012-12-26 출간
  • |
  • 340페이지
  • |
  • 182 X 257 mm
  • |
  • ISBN 9788963810874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20,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0,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광주1백년 ①
-개화기 이후 광주의 삶과 풍속-

개화기 이후, 광주 역사의 진면목을 밝히다
"광주의 살아있는 역사"로 불리는 박선홍(87) 옹이 초판 이후 18년 만에 펴낸 『광주1백년』 개정증보판이다. 『광주1백년』은 개화기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광주의 생생한 역사를 집대성한 책이다. 총 3권 중 이번에 출간한 1권은 개화기를 비롯한 1920년대의 광주를 한 축으로 삼고, 분야별로는 종교, 교육, 역사, 상업, 공업 등을 망라하고 있다. 340쪽, 170여 컷의 사진과 초판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내용을 보강하여 컬러판으로 출간된 이번 책은 개화기 이후 광주 역사의 진면목을 제대로 밝혔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광주읍성의 도시화 과정이나 학생독립운동에 얽힌 숨은 자료들, 상무대의 내력, 지금까지 가려져 왔던 계몽기의 교육과 종교, 항일의 선각자들, 무안에서 비롯된 전통 5일시장, 그리고 무엇보다도 전남 근대화운동과 광주권 공업단지의 역사를 담은 "지역경제 이야기" 등은 이번에 새롭게 보강된 내용이어서 더욱 눈길을 끈다. 여성 지도자인 김필례, 민족교육의 선각자인 양태승, 계몽 운동가이며 불우이웃의 어버이인 정인세의 이야기 등을 담은 ‘계몽기의 선각자들’ 편도 그렇다.
역사적 시공간을 넘나들며 광주 곳곳의 유적과 유물, 풍속과 풍물, 사건과 사람 등을 씨줄ㆍ날줄로 촘촘히 엮어 낸 『광주1백년』의 가치는 초판에서 이미 정평이 나 있었지만, 당시 서점 유통을 하지 않은 탓에 실제로 책을 접하거나 소장하고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번 개정증보판의 발간은 이러한 배경에서 시작되었으며, 직접적으로는 2012년 6월, 저자가 광주문화재단에 『광주1백년(전3권)』과 『무등산』의 지적재산권을 기증한 데 따른 후속작업에서 비롯됐다. 저자는 2013년에 2권을, 2014년에는 3권을 펴내 완간할 계획이다.
『광주1백년』은 1910년대 인구 1만 명을 갓 넘은 고즈넉한 시골이었던 광주가 현대사의 한복판을 가로지르며 지금의 광주에 이르기까지 그 동력의 근원을 살펴볼 수 있는 책이다.
저자는 1926년 광주에서 태어나 평생 고향을 지켜 왔다. 광주상공회의소 재건과 중흥의 산증인이며 이 지역 최초의 산악회인 ‘전남산악회’ 창립 멤버로서 무등산보호운동을 이끌어 온 ‘무등산 지킴이’로도 명성이 높다. 보이스카우트 창립에 참여하여 청소년들의 사회교육에 힘써왔고 광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창설하여 이웃돕기 운동에 앞장섰다. 또한 1994년부터 1999년까지 조선대학교 이사장으로 재임하면서 치과병원 증축, 학교장 책임 운영제 등 학교발전의 기반을 다졌고, 법인 정상화의 초석을 마련했다.

∥추천의 글∥
박선홍 선생님을 만나면 몹시도 궁금해지는 것이 있었습니다. 한 사람이 간직한 지역의 DNA는 얼마나 될까? 저분 안에 내장된 지역의 미시사와 거시사를 어떻게 바라보고 수용해야 할까? 실타래처럼 이어지는 광주의 고샅과 대로가 담고 있는 역사의 접점은 무엇을 함의할까? 그런 궁금증이 베일을 벗었던 것은 선생님이 『광주 1백년』(전3권)과 『무등산』을 상재하면서부터입니다. 걸어오셨던 삶 자체가 광주의 역사였던 선생님은 그 자체를 소소한 개인사로 치부하지 않고 책상서랍을 정리하듯 하나하나 정리하셨습니다. 빛고을 광주의 역동적인 삶이 씨줄과 날줄로 가지런히 모양새를 갖추며 체계화되는 순간이었습니다.
- 노성대 재단법인 광주광역시 광주문화재단 대표이사


목차


제1장
개화기의 광주

책을 펴내며 004
여기 박물관이 있다_ 노성대
증보판 저자의 말 006
"광주학光州學"의 내일을 염원하며

개화의 조짐들 014
갑오경장의 물결┃나주 단발령 항거┃광주, 도청 소재지가 되다┃광주읍성의 흔적들

구한말 광주에 온 일본인들 022
오쿠무라 이오코┃광주와의 인연┃실업학교의 설립과 운영┃일본인촌 건설 시도

식민도시로 변모하는 광주 034
잃어버린 옛 지명┃1910년대의 광주 모습

기독교의 성지 양림촌 043
선교의 효시 배유지┃배유지 가족의 4대에 걸친 봉사와 헌신┃오원 선교사┃광주 최초의 한국인 목사 최흥종┃사랑의 사도 서서평┃성처녀 수피아 교장 유화례┃6ㆍ25 피난길 정인세 등과 생사의 동행

남한대토벌작전과 광주 068
호남 의병의 중심지, 광주┃의병과 폭도도로

군사도시 광주의 어제와 오늘 076
전라병영에서 향토사단까지┃전라병영┃광주진위대┃일본군의 주둔┃제4연대의 창설과 한국전쟁┃상무대

소용돌이치는 개화의 물결 084
일본인 행상들의 진풍경┃상가로 탈바꿈해가는 충장로┃5리 보고 10리 가는 상인정신

항일독립운동 091
민족계몽운동┃광주와 3ㆍ1운동┃2ㆍ8독립운동과 최원순┃광주학생독립운동과 시민의 저항 정신┃이광춘의 증언┃사건 발단 현장에 대한 반론┃제2의 광주학생독립운동

계몽기의 선각자들 118
여성지도사 김필례┃민족교육의 선각자 양태승┃계몽운동가이며 불우이웃의 어버이 정인세┃근세 광주의 향맥

제2장
1920년대의 광주

통한의 무기명 르포 138
조선의 복지 광주┃교육계┃종교계┃사회단체

종교와 개화 155
광주 최초의 개신교 교회┃북문안교회와 남문밖교회┃북문밖교회(중앙교회)┃향사리교회(서현교회)┃양림교회┃천주교의 전래┃성직자들의 수난┃광주 천주교의 초석 현 대주교
근대교육의 여명과 변천 166
초등교육┃중등교육┃전남의과대학의 모태 광주의학전문학교

새로운 문물 198
광주에 철도가 들어오다┃광주~담양 간 철도┃광주~여수 간 경전선┃전깃불을 밝히다┃광주의 상수도

제3장
상업

겨레의 애환이 서린 장터 210
무안에서 비롯된 오일장┃산길 들길로 모여드는 장꾼들┃풍성한 삶의 현장┃보부상들의 상도의와 사발통문┃큰애기 가슴 태우던 박가분┃박가분과 전남 해남과의 인연┃보부상의 신용 질서┃전남의 대표적인 조석시朝夕市 강진 저자

광주천 재래시장의 변천 219
큰 장과 작은 장을 합친 사정시장┃상인들의 항일 상권운동┃광주상민대회┃사정시장 안팎의 주요 상인들┃신사에 쫓겨난 사정시장┃일본인 전용 중앙시장┃금정시장

한국 상인들의 충장로 진출 228
성 밖에 자리 잡은 한국 상인들┃인기 높은 고무신과 포목점들┃돋보인 개성상인┃개성상인에 버금가는 병영상인┃충장로의 여자상인┃광주 최초의 백화점, 동아부인상회┃미나카이 백화점 광주지점

한ㆍ일 상인조직 240
광주상공회┃광주실업청년구락부
활기 되찾은 장 244
광복과 양동시장┃질서회복 앞장선 상인들┃광주장의 주막 풍경┃각설이의 옛 정취와 품바의 복원

양동시장 재건의 주역 252
장꾼들의 "아부지" 한정섭┃마지막 보부상 손영관┃해방 이후의 재래시장

제4장
공업

목화에서 면포까지 262
겨레의 살갗 무명베┃육지면의 도입┃일제의 전남 목화 수탈┃비통할 면화 협약┃면화 공급의 거점, 전남┃자취 감춘 길쌈과 면화

종방과 일신ㆍ전방 278
광주와 종방의 인연┃종방과 광주의 경제┃면사를 원료로 한 산업 유발┃오치아이 공장장과 한국인 양자┃무등양말공장

우리 동포의 옷감 우리 손으로 286
종방 종업원의 자치위원회 조직┃공장 가동의 성공┃전남방직의 설립과 서울 이전 반대운동┃한국섬유공업의 쌍벽, 일신과 전방

양잠과 제사공장 295
자연 섬유의 왕중왕 명주┃제사공업의 근대화┃일본 섬유 자본의 한국 진출┃일제의 누에고치 수탈┃전남 지방의 제사공업┃광주학생독립운동과 산잠産蠶 경축대회┃종방 제사공장이 남긴 자취, 종방마을

제사공장, 그 후 이야기 308
전남제사공장의 새바람┃전남제사에 흡수된 종방과 와카바야시┃기업은 기업인에게┃양잠과 제사공업의 쇠퇴┃천연섬유에 대한 향수

장수 기업 화천기공 316
한국 공작기계의 산 역사 화천┃대한민국 제1호 국산 선반기┃서암 권승관의 외길 인생

제5장
지역경제 이야기

전남근대화운동 322
배경┃전남근대화촉진위원회 발족┃추진성과┃전남근대화운동과 금호 박인천 회장

광주권 생산도시화운동 327
배경┃본촌ㆍ송암공업단지의 건설┃송언종 광주시장과 광주권 생산도시화운동

본촌ㆍ송암 이후의 공업단지들 334
하남공업단지┃세계적인 백색가전단지로┃생산도시화의 꿈 실현

초판 저자의 말 338
광주, 그 지난날의 이야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