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사당동(더하기25)가난에대한스물다섯해의기록(CD1포함)

사당동(더하기25)가난에대한스물다섯해의기록(CD1포함)

  • 조은
  • |
  • 또하나의문화
  • |
  • 2012-05-15 출간
  • |
  • 333페이지
  • |
  • ISBN 9788985635936
★★★★★ 평점(10/10) | 리뷰(2)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01 두 세상을 오가다
밑으로부터 사회학 하기_13
한 가족 들여다보기_22

02 가난 두껍게 읽기
질적 연구 방법의 실험장_35
사당동 철거 재개발 현장_41
부동산 중개소에서 연구 현장을 찾다_41 · 방 얻고 현장에 들어가기_44 · 지역의 특성과 지역 주민의 구성_53 · 나는 위험한 현장에는 부재했다_57
임대 아파트 단지로 가다_65
방법론적 딜레마_73
연구자의 이율배반성_73 · 참여관찰을 참여관찰하다_76 · ‘개입’과 ‘객관적 관찰’의 경계_79 · 연구 현장의 젠더와 계급성_82
영상으로 사회학적 글쓰기_90
익명성을 배반하다_90 · 재현이라는 숙제_93

03 산동네 달동네 별동네
1980년대 사당동 풍경: 현장 일지에서 꺼내 온 이들의 삶_107
‘사당동’이라는 동네의 형성_107 · 주거의 조건과 거주의 공간_114 · 주민들의 삶: 생계와 일상_121 · 아이들, 남편들, 아버지들_131 · 동네의 철거_140
사당동 사람들: 인생의 조건_149
해방촌 손녀: “맨날 똑같아요”_149 · 건설 십장-파출부 부부: 끝내 이혼_155 · 시계 노점상 아줌마집: “아이들이 딱 정상에 올라서면”_160 · 묵장사 아줌마집: 여성 가구주와 딸들_163 · 일용 잡부-과자 리어카상: “싸움도 가난 때문”_165 · 미장원집: “아들 유학 보냈어요”_170

04 세상의 가난, 가난의 세상
할머니 가족: 삶을 이야기하다_179
금선 할머니: “밤낮 지지고 볶고”_179 · 수일 아저씨: “여자 없어서…”_189 · 영주: “꿈은 많았어요”_199 · 은주: “산 입에 거미줄 치겠어요?”_207 · 덕주: “돌고 돌고 또 돌고”_218
할머니 가족에 들어온 사람들_231
은주 씨 남편: “집이 제일 무섭죠”_231 · 연변에서 온 아저씨 부인: “다 그런 거지 뭐”_234 · 필리핀에서 온 영주 씨 부인: “괜찮아요”_237
“바람을 그리다”: 가난의 앞날_244
은주 씨네 : “댄스가수 해서…”_244 · 영주 씨네: 아들 꿈은 영어 선생_259

05 가난이 낳은 가난
‘맨몸’으로 산다는 것_271
일수·외상·계에서 카드깡·대포차·‘러시앤캐시’로_273 · 교회와 생명 보험과 로또 복권에 기대기_277
가난의 자존심_279
제품업체 사장: “IMF 때 다 들어먹었어요”_280 · 임대 아파트 옆 동에서 만난 사당동 이웃_284
가난의 두께: 성·사랑·결혼·가족_287
이들에게 가족_287 · 그들의 연애 각본_293
‘빈곤 문화’의 조건_303

책을 끝내며_315
참고문헌_324
찾아보기_330

도서소개

가난한 이들의 삶을 들여다보고, 그들의 언어에 귀 기울이자! 가난에 대한 스물다섯 해의 기록『사당동 더하기 25』. 이 책은 올해 동국대학교에서 교수직 정년을 맞은 사회학자 조은이 1986년에 사당동에서 처음 만난 한 가난한 가족을 25년 동안 따라다닌 이야기를 고스란히 담아낸 책이다. 분단, 재개발이란 자본주의적 공간의 재편, IMF로 인한 실직, 금융자본주의는 가진 것이라고는 ‘맨몸’뿐인 4세대에 걸친 금순 할머니의 가족을 통해 가난의 대물림 구조를 들여다보고, 저자는 ‘빈곤 문화’란 없으면 빈곤이 있을 뿐이고 ‘가난의 구조적 조건’이 있을 뿐이라고 이야기한다. 한국 근대화, 신자유주의 세계화 과정에서 재생산고 있는 도시빈민 가족에 대해 조명하고, 한국 사회의 가난을 들여다보는 사회학자의 입장, 연구 과정의 변화, 연구자와 연구 대상 간의 관계와 움직임 등을 살펴본다.
올해 동국대학교에서 교수직 정년을 맞은 사회학자 조은이 1986년에 사당동에서 처음 만난 한 가난한 가족을 25년 동안 따라다닌 이야기를 갈무리한 책.
이 책은 한국 근대화, 신자유주의 세계화 과정에서 재생산되고 있는 도시빈민 가족에 대한 이야기인 동시에, 빈곤을 겪어 보지 않은 사회학자가 연구 대상일 뿐이던 한 빈곤 가족을 4세대에 걸쳐 지속적으로 만나는 과정에서 빈곤을 연구한다는 것이 지니는 의미를 자문하는 작업으로, 25년간 가난이라는 ‘현실의 재현’과 ‘두꺼운 기술’을 구체적으로 고민하고 실험한 궤적을 보여 주는 문화기술지다.
금선 할머니 가족을 비롯해 이 책에 등장하는 가난한 이들의 삶의 이력은 곧 한국 근현대사다. 분단, 재개발이란 자본주의적 공간의 재편, IMF로 인한 실직, 금융자본주의는 가진 것이라고는 ‘맨몸’뿐인 4세대에 걸친 금순 할머니 가족을 통과하며 가난의 대물림 구조를 공고히한다. 부지런히 일해도 낮은 임금과 불안정한 일자리는 개천에서 용이 나오기 힘든 구조를 강화한다. 지은이는 25년간 한 가족을 따라다니며 ‘빈곤 문화’란 없으며 빈곤이 있을 뿐이고 ‘가난의 구조적 조건’이 있을 뿐이라는 점을 발견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이름을 달리해 계속되는 재개발과 철거, 또 그로 인해 밀려나는 도시 빈곤층의 대물림 현실은, 가난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이 가난함을 이해하고 가난의 조건을 이해한다면 조금 바뀔 수 있지 않을까? 가난한 이들의 삶을 들여다보고 그들의 언어에 귀 기울이는 것에서부터 시작해 보자.

사회 과학자들은 사회 현상을 숫자로 말하길 좋아한다. 1:99, 20:80. 최근 부의 양극화를 가리키는 지표로 자주 오르내리는 숫자다. 숫자는 현실의 심각성을 단박에 알아차리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흔히 그 숫자를 구성하거나 몸으로 사는 사람의 면면을 가리거나 놓치게도 한다. 근대 학문으로서 사회학이 말과 숫자의 실증적 학문으로 출발한 까닭에, 여전히 말과 숫자로 현실을 드러내 보이는 방법을 최선으로 여기는 연구 풍토에서 25년의 시간을 거치며 ‘조금 다른’ 사회학을 시도한 이가 있다.
사회학자 조은. 그는 2003년에 6·25 때부터 시작되는 50년의 ‘기억 여행’을 털어놓은 <<침묵으로 지은 집>>이란 장편소설을 내놓더니, 2009년에는 1986년 철거 재개발 지역에서 쫓겨난 정금선 할머니 가족을 22년간 추적한 다큐멘터리 <사당동 더하기 22>를 내놓으며 사회학 하기의 영역을 확장해 왔다. 그의 ‘조금 다른’ 사회학은 학술서에 머물지 않은 탓에 그에겐 교수라는 직함 말고도 작가, 감독이란 호칭이 따라붙는다.
올해 동국대학교에서 교수직 정년을 맞은 그는 1986년에 사당동에서 처음 만난 한 가난한 가족을 25년 동안 따라다닌 이야기를 <<사당동 더하기 25>>란 책으로 갈무리했다. 현장 연구 조교들의 일지에서 시작해서 수없이 많은 메모, 인터뷰, 녹취, 영상물 테이프 등이 바탕이 되어 탄생한 이 책은 1988년 발표된 연구 보고서 <재개발 사업이 지역 주민에게 미친 영향>, 1992년 펴낸 첫 학술 공저 <<도시빈민의 삶과 공간>>, 2009년 서울국제여성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어 이후 여러 영화제에서 주목을 받은 다큐멘터리 <사당동 더하기 22>를 잇는 작업물이다.
<<사당동 더하기 25>>는 한국 근대화, 신자유주의 세계화 과정에서 재생산되고 있는 도시빈민 가족에 대한 이야기인 동시에, 빈곤을 겪어 보지 않은 사회학자가 연구 대상일 뿐이던 한 빈곤 가족을 4세대에 걸쳐 지속적으로 만나는 과정에서 빈곤을 연구한다는 것이 지니는 의미를 자문하는 작업으로, 25년간 가난이라는 ‘현실의 재현’과 ‘두꺼운 기술’을 구체적으로 고민하고 실험한 궤적을 보여 주는 문화기술지다. 여기엔 “한국 사회의 가난을 들여다보는 사회학자의 입장, 연구 과정의 변화, 연구자와 연구 대상 간의 관계와 움직임, 그리고 연구자의 자기 성찰 지점”이 담겨 있다.
지은이는 연구 사례 가족과 지은이 가족이 “짝을 맞추듯 같은 세대”라는 것을 사례를 지켜본 지 10년이 지나서야 인지할 정도로 연구자와 연구 대상을 엄격하게 분리하며 두 세계를 오갔다. 다시 그로부터 2년이 지나 한국 사회의 풍요를 경험한 ‘다른 세대’ 대학생들에게 ‘도시빈민’ ‘불량 주거지’ ‘철거 재개발’ ‘달동네’라는 사회 현실에 대한 감을 전달하려면 영상이 더 효과적인 학습 매체일 수 있음을 감지하고 애초에는 수업용 자료를 만들 생각에 이 가족에게 카메라를 들이밀었다. 이 작은 시도는 이후 이 가족 3세대에게 필리핀 결혼 이주 여성이 합류하게 되면서 본격 다큐멘터리로 진화한다. 이 가족이 사당동을 떠난 지 십 년이 되던 1998년 12월부터 시작된 촬영은 10년간 이어져 2009년 <사당동 더하기 22>란 제목의 다큐멘터리로 정리되었고(부록 DVD 참조), 카메라는 다섯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