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헌법정치의 이상과 현실

헌법정치의 이상과 현실

  • 김철수
  • |
  • 소명출판
  • |
  • 2012-10-10 출간
  • |
  • 1128페이지
  • |
  • 223 X 152 X 60 mm
  • |
  • ISBN 9788956267548
판매가

80,000원

즉시할인가

72,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72,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대선을 앞둔 2012년, 60여년을 헌법학 탐구에 바친 노교수가
국가의 뼈대인 헌법정치의 이상과 현실에서 고민하다!

국가의 뼈대인 헌법. 헌법 정치는 가능한가, 그 이상과 현실은 어떻게 다른가. 전후 민주주의를 무색케 했던 무법의 시대를 거쳐 지금에 이른 대한민국, 우리에게 헌법은 무엇이었나, 현재와 미래의 헌법은 무엇이어야 하나를 노회한 헌법학자는 근본에서부터 묻는다.
이 책은 법률가를 지망했던 지난 시절의 무수한 예비 법학도들의 필독서로 명성이 높았던 김철수 교수의 헌법학 교과서가 아니다. 이것은 오히려 60여 년 세월을 오직 법학자로서 외길을 걸어온 김철수 교수의 법철학과 헌법학에의 집요한 탐구, 헌법이 현실정치와 불가분하다는 시대정신이 담긴 산물이다. 또한 헌법과 현실정치의 괴리를 고뇌하는 노대가의 법정신이 때로는 유럽법에 비판의 잣대를 들이대고 또 무수한 고증을 거치며 때때로 자연법을 사유하는 법학자의 생각이 고스란히 담긴 결과물이다. 그런 의미에서 「헌법정치의 이상과 현실」(소명출판, 2012)은 헌법을 훼손한 전후 독재시절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가의 기반인 헌법이 훼절된 대한민국 역사의 부끄러운 근거이자, 원칙도 기준도 없이 요동치는 글로벌시대에 헌법에 기초한 반듯한 미래 사회로 가는 길에 반드시 검토되어야 하는 탁견으로써 헌법ㆍ정치ㆍ사회ㆍ인권ㆍ제도ㆍ국가 등의 문제들을 또박또박 되짚는 길라잡이다. 그래서인지 이 책에는 독재시절 정치권의 집요한 회유와 유혹을 물리친 외길 헌법학자의 면모가 곳곳에 물씬 배어있다. 저자의 60년 세월은 우리 현대사가 현실정치와 헌법정치의 불협화음 사이에서 법치의 이상을 꿈꾸어 온 역사이기도 하다.

이 책은 과거의 기록이자 미래로의 길라잡이다
이 책에 수록한 글들은 저자가 1950년대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거의 60여 년에 걸쳐 집필한 것이며 내용적으로는 전문적인 학술 논문에서부터 신변잡기에 이르는 것까지 포함,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헌법정치의 이상이란 제목 아래 우리 헌정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과거의 논설을 모은 것으로 정치개혁, 정부형태의 변경, 선거제도의 개혁, 인권보장의 극대화 등에 초점을 맞춰 쓰여진 것이다. 제2장은 헌법재판의 활성화, 제3장에서는 통일헌법의 제정문제, 제4장에서는 풍토적 자연법론 비판을 비롯한 법철학 논설, 제5장 법학교육에서는 미국식 로스쿨과 사법제도의 소개, 제6장에서는 한국공법학회와 대한민국학술원을 비롯한 각종 학회활동, 제7장 시론과 에세이에서는 일반 시민들에게 알리기 위하여 쓴 비전문적인 그때그때의 시론이 중심이 되고 있다. 또한 제8장부터 제10장에서는 인터뷰, 서평 그리고 연설문 등을 수록하고 있다.

단순한 기록이 아닌 현실정치의 최일선이자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의 새로운 참조항
법학 고유의 논문으로부터 우리 헌정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 논설들은 때때로 현실정치와 부딪치면서 정치개혁, 정부 형태의 변경, 선거제도의 개혁, 인권보장의 극대화 등에 초점을 겨누고 있다. 나아가 헌법재판관의 활성화, 통일헌법의 제정문제, 법교육과 로스쿨, 사법제도 등 헌법학자로서 광폭의 발언들은 한 헌법학자의 기록에 그치지 않고 현실정치의 최일선이자 여야의 결정을 앞둔 대선이라는 시점에서 새로운 참조항이 될 것이다.

헌법학 탐구와 교육을 평생의 과업으로 여겨온 노대가의 방대한 글로 엮어진 이 책은 논문으로부터 일반인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시론, 서평, 연설문, 인터뷰에 이르기까지 어느 하나도 놓칠 수 없는 현대사의 굴곡과 맞닿아 있다.


목차


머리말 3

제1부_ 헌법정치의 이상
1. 한국 미래 정치체제의 발전방향 15
2. 미래의 한국 정부형태론 28
3. 입헌주의와 헌법보장 47
4. 입헌주의의 정착을 위한 헌법교육과 인권교육 76
5. 개헌과 정치 84
6. 공법학자의 입장에서 본 헌법 98
7. 헌법 속의 4.19 102
8. 법과 인권 105
9. 국가인권위원회의 지위와 역할 109
10. 국가인권위원회에의 기대 124
11. 한국헌법에서 본 사회복지정책 135
12. 인간의 존엄과 사회복지 146
13. 정보화사회와 기본권보장 154
14.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과 선거구 인구의 평등 173
15. 선거법 개정 논의 187
16. 선거법 개정의 방향 191
17. 국민투표제의 제양상 195
18. 국회구성과 선거제도 199
19. 제3공화국 헌법과 대통령 204
20. 유진오의 헌법 초안에 나타난 국가형태와 정부형태 213
21. 21세기 지방의회의 역할 240

제2부_ 헌법재판의 활성화
1. 입헌주의와 헌법보장 249
2. 헌법재판의 활성화 방안 279
3. 헌법재판소법의 제정문제 284
4. 법무부의 헌법재판소법안을 보고 292
5. 헌법재판의 활성화 295
6. 헌법재판소 재판관의 자격개방 302
7. 대법관ㆍ헌법재판관 자격과 국가관 305
8. 바람직한 사법민주화 논의 308
9. 일본과 서독의 헌법재판제도 비교 312

제3부_ 통일헌법의 제정
1. 통일헌법의 바람직한 미래상 327
2. 통일헌법연구의 회고와 필요성 338
3. 한반도의 통일정책 343
4.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한반도의 통일 365
5. 독일연방공화국기본법 50년 379
6. 동서독 헌법상의 기본권 비교 411
7. 서독 소연정의 장래 418
8. 독일 통일의 교훈 422
9. 공산권 헌법의 특색 432
10. 분단고착이냐 통일이냐 452
11. 통일원의 발족과 전망 455
12. 통일방안과 현행법의 상충 459

제4부_ 법철학
1. 풍토적 자연법 논고 465
2. 풍토적 자연법론(이항녕) 518
3. 법의 이상과 현실 535
4. 법의 실효성과 정당성 544
5. 공동선과 법의식 550
6. 법제도와 법의식의 변천 568
7. 한국 사람의 법의식 582
8. 법제정과 법운용 585

제5부_ 법학교육
1. 법학전문대학원제도 수상 593
2. 법학전문대학원의 설립과 법학교육의 확대방안 605
3. 법학대학원 제도의 도입 632
4. 로스쿨안의 문제점 639
5. 미국의 법학교육 648
6. 미국 대학의 대학원교육 694
7. 미국 사법제도 개혁 움직임 698
8. 미국 사법행정 수상 703

제6부_ 학회활동
1. 한국공법학회 727
1) 개회사(제6공화국 헌정의 방향모색) 727
2) 개회사(기본적 인권의 보장) 730
3) 개회사(미래정보화사회의 공법적 대응) 734
4) 초창기 공법학회의 활동 회고(원로에게 듣는다) 737
2. 한국교육법학회 741
1) 교육법령개정의 방향모색 741
2) 한국 법학교육 100주년의 전환기에 서서 745
3) 발간사(「한국교육법연구」 1997년호) 748
4) 축사(국립대학법인화와 학생인권조례) 750
3. 한국법학교수회 752
1) 회장 취임 인사말 752
2) 사법제도 개선에의 기대 753
3) 법조인의 계속 교육과 법학교수 자격문제 757
4) 법조인구의 폭발적 증가 761
5) 사법개혁을 위한 법학교수회의 역할 764
6) 「법학교육과 법조교육」 서문 768
7) 한국법학교수회 활동 연간회고 769
8) 「법학교육과 법학연구」 머리말 773
4.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775
1) 국제헌법학회 세계대회 참가기 775
2) 「세계헌법연구」 창간호~6호(2001) 779
5. 대한민국학술원 788
1) 문홍주 회원을 추모하며 788
2) 이항녕 회원님의 타계를 슬퍼하며 790
3) 제11차 태평양 과학협회 중간총회 참석기 792
4) 제36회 국제학술대회를 마치고 797
5) 총선과 대선 사이에서 정치개혁을 생각한다 803
6. 공법이론과 판례연구회 813

제7부_ 시론과 에세이
1. 헌법 개정과 정치발전 835
2. 평화적 정권교체의 길 842
3. 민주헌정의 회고와 전망 849
4. 헌법에 위반되는 법령문제 856
5. 2천 년대에의 시각 863
6. 12대 국회상 868
7. 10월에 생각나는 일 872
8. 변호사 등 10년 이상 거친 뒤 판사로 875
9. 법학교육과 사법개혁의 방향 878
10. 이념논쟁과 헌법수호 882
11. 법률구조공단 20주년을 축하한다 885
12. NLL 포기는 국헌문란행위 888
13. 제18대 국회와 정치개혁과제 891
14. 제헌 60주년, 헌법의 존엄성회복을 위하여 907
15. 헌법제정 60주년과 헌법수호 910
16. 법질서 유지는 나라의 근본 917
17. 공권력의 권위 실추 920
18. 재보궐 선거 꼭 필요한가 923
19. 6월 국회, 여도 야도 정략이용 안 된다 926
20. 언제까지 南南 갈등인가 929
21. 헌법, 국민통합의 대헌장 932
22. 헌법을 지켜 국론 통일하자 935
23. 국회의원은 헌법ㆍ법률을 준수하라 938
24. 정기국회서 해야 할 일 941
25. 승자독식 제도는 끝내야 944
26. 올바른 국정감사로 의무 완수해야 947
27. 다중범죄 철저히 응징해야 950
28. 언론과 국익(國益) 953
29. 새해 정당정치에 바란다 957
30. 대한민국 건국의 정통성과 反헌법 세력 960
31. 법치주의의 위기 963
32. 판사의 직분과 독립 966
33. 전교조 시국선언 유죄확정의 의미 970

제8부_ 인터뷰, 서평, 연설문, 기타
① 인터뷰
1. 50년 법학 연구 외길… 법조인 국민 인권 위해 일해야 975
2. 대한민국ㆍ민주주의의 본질을 재정립하다 980
3. 폭력 썼던 국회의원, 공약남발 대통령 뽑지 말아야 984

②-1. 서평(타인의 저서)
1. 전봉덕, 한국법제사연구(1968) 990
2. 구병삭, 헌법학(IㆍII) (1983) 1003
3. 유기천 박사 고희기념 법학의 제문제(1988) 1008
4. 문홍주, 미국헌법과 기본적 인권(2002) 1023

②-2. 서평(김철수 교수의 저서)
1. 杉原泰雄, 韓國憲法の50年: 分斷の現實と統一への展望(1999) 1026
2. Klaus Dieter Deumel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nal Law (Hrsg.), Festschrift fur Tscholsu Kim(2001) 1036
3. 김효전, 학설ㆍ판례 헌법학(상ㆍ하) (2008) 1039
4. 황적인, 학설ㆍ판례 헌법학(상ㆍ하)(2008) 1041
5. 구병삭, 헌법 개정 과거와 미래-제10차 헌법 개정을 생각한다(2008) 1043

③ 하서
1. 방산 구병삭 박사 정년기념논문집(1991) 1047
2. 화정 서주실 박사 화갑기념논문집(1992) 1049
3. 일암 변재옥 박사 화갑기념논문집(1994) 1050
4. 김영일 재판관 헌법의견집 출간을 축하하며(2005) 1052
5. 혜안 조병륜 교수 정년기념논문집(2010) 1054
6. 김효전 교수 정년기념논문집(2011) 1056

④ 추천사
1. 송우, 「한국헌법사」(집문당, 1980) 1059
2. 문광삼ㆍ김수현 옮김, 「프랑스 헌법과 정치사상」(해성, 2003) 1061

⑤ 연설문(1999~2000)
1. 격려사(1999.12.22) 1063
2. 신년사 1064
3. 입학식사 1067
4. 식사(최고정책결정과정) 1070
5. 격려사(통상학부 축제) 1072
6. 격려사(세계로 웅비하자) 1073
7. 인사말(학경교류협정) 1074
8. 환영사(사이타마대학) 1075
9. 환영사 1076
10. 새해의 탐라대학교 1078
11. 새 천년과 교육의 당면과제 1080
12. 축사(제3회 거린 사슴 대축제) 1082

제9부_ 김철수 교수 저작 머리말 모음
1. 「헌법개설」 제5판~제12판 머리말(2005~2012) 1085
2. 「학설ㆍ판례 헌법학(상ㆍ중)(2008) 1100
3. 「헌법 개정, 과거와 미래」(2008) 1106
4. 「기본권의 체계」(2009) 1108
5. 「대한민국 정부형태 어떻게 할 것인가」(2010) 1110
6. 「한국의 헌법정치를 생각한다」(2010) 1113

제10부_ 기타
1. 장학빌딩 착공과 준공에의 기대 1117
2. 모교의 혁신을 기대한다 1119
3. 월송 선생님에게 1121
4. 대학평준화는 망국의 길 1124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