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인재유고

인재유고

  • 이종학
  • |
  • 한국고전번역원
  • |
  • 2013-02-15 출간
  • |
  • 378페이지
  • |
  • 152 X 225 mm
  • |
  • ISBN 9788928401543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20,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0,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우리 역사 연구의 빈 공간인 고려말 조선 초기의
시대상황과 개인의 생활상을 보여 주는 중요한 문집”

◆선조들의 삶의 모습, 그 끊어진 연결고리를 찾아서

우리나라의 역사학, 문학사, 철학사 등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조선 중기나 후기에 집중되어 있다.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려 말이나 조선 초기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물론 이렇게 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오랜 격변의 세월을 거치면서 전란 등으로 자료가 소실되거나 약탈당하여 연구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 자료가 별로 남아 있지 않은 것도 큰 원인의 하나라고 하겠다. 우리로서는 역사의 일정 시기 선조들의 삶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끊어져 있거나 부실한 상태로 남아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이를 극복하고 빈 공간을 복원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가?

◆문집은 시대상과 개인의 사상이 담긴 중요한 자료

문집은 그 시대 주요 인물의 생각과 삶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저자의 사회적ㆍ문학적 성취가 담겨 있는 자료이다. 그리고 개인의 문집을 발간한다는 것은 저자가 당대에 일정한 수준의 사회적 영향력과 지적 능력을 갖추었다는 하나의 증표가 된다. 그러한 문집을 살펴봄으로써 당대의 문화적 수준을 가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사기록물과 다른 각도에서 당대의 삶의 모습을 재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집은 역사기록물 못지않은 사료로서의 기능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문집 번역서도 조선 중기, 후기에 대한 번역은 상대적으로 활발한 데 비해 그 이전 시기의 문집, 특히 고려 말 조선 초기 문집에 대한 번역은 부진한 실정이다. 현대에 전하는 문집 중 초기의 문집이라는 희귀성만으로도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야 하는 데 비해 아직도 번역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는 자료 자체의 영성(零星)함도 문제이지만, 당대에 대한 연구 성과가 충분히 축적되지 못한 것도 큰 이유일 것이다. 역사자료 못지않게 생활사를 복원해 낼 수 있는 방증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문집이라는 점을 생각해 본다면 고려 말, 조선 초기 문집의 번역은 무엇보다도 시급한 일이라 하겠다.

◆고려 말ㆍ조선 초기 문집에 대한 연구번역서

한국고전번역원은 2009년 학계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고려 말·조선 초기 문집에 대한 연구번역을 공모하였다. 이는 희소성 있는 여말선초의 문집 번역을 학계의 연구자들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이 시기 문집에 대한 번역을 앞당기는 것을 1차적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또한 연구 성과가 반영된 번역을 통해 번역의 질을 제고하고, 한국학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는 등 다양한 부수적 효과를 기대한 것이기도 하다.
이 공모를 통해 1차년도에 선정된 《담암일집(淡庵逸集)》, 《송당집(松堂集)》, 《인재유고(麟齋遺稿)》, 《인재집(寅齋集)》, 《형재시집(亨齋詩集)》 등 5종이 3년여의 작업 끝에 출간된 것이다.
2013년도 10월에는 2차년도 사업분인 《근재집(謹齋集)》, 《급암시집(及菴詩集)》, 《매호유고(梅湖遺稿)》, 《야은일고(?隱逸稿)》, 《용헌집(容軒集)》, 《제정집(霽亭集)》 등 6종이 출간될 예정이다.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여말선초의 문집들을 꾸준히 번역한다면 이 시기에 대한 연구에 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인재유고(麟齋遺稿)》:김동욱 옮김
고려 말의 문신 이종학(李種學, 1361~1392)의 시집이다. 이종학은 고려 말에 태어나 32세의 짧은 생애를 살다 간 문인이다. 그가 남긴 시는 주로 세 차례에 걸친 유배생활 중 두 차례의 유배생활에서 지은 것들이다. 그 사이 잠시 관동지방을 유람하면서 지은 시가 전하는데, 유배지에서 지은 시편과 대부분 시상이 연결되어 있어 모두 통틀어 ‘유배시’라고 할 만하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사대부의 기개와 희망을 나타낸 시, 좌절과 절망을 나타낸 시, 귀거래의식을 드러낸 시 등이 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유배문학이 시조, 가사, 한시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나, 고려조에 있어서는 이종학의 시 작품이 유일하게 유배문학의 범주에 든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그의 시문학이 갖는 문학사적 의의를 인정해야 할 것이다.


목차


일러두기 ‥ 4
해제 ‥ 11
졸(拙)과 정(貞)을 추구한 조선 초기의 쟁신(爭臣) 신개(申?)|윤승준

인재집 제1권

시 詩
무제 無題 ‥ 27
버들개지 연구 柳絮聯句 ‥ 28
영춘현을 두고 짓다 題永春縣 ‥ 29
또 又 ‥ 30
석성 연희루를 두고 짓다 2수 題石城燕喜樓 二首 ‥ 31
박수옹의 운을 빌려 次朴粹翁 ‥ 32
자헌 중추원사 이정간이 자당의 수를 축하하는 것을 하례하며 賀資憲中樞院事李貞幹慶壽慈堂分韻 ‥ 33

기 記
양졸당기 養拙堂記 ‥ 36
육송정기 六松亭記 ‥ 40

소 疏
평양 백성들의 억울한 옥사를 풀어 주기를 청하는 소
請赦平壤民?獄疏 ‥ 49
산과 들의 음사를 금할 것을 청하는 소 請禁山野淫祀疏 ‥ 51
대사헌 직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소 乞遞大司憲疏 ‥ 54
서사의 시행을 청하는 소 請行署謝疏 ‥ 56
서사의 시행을 청하는 두 번째 소 請行署謝疏[再疏] ‥ 63
김토의 관직을 거두어 줄 것을 청하는 소 請免金土官職疏 ‥ 69
조말생의 작명을 거둘 것을 청하는 소 請收趙末生爵命疏 ‥ 71
조말생의 작명을 거둘 것을 청하는 두 번째 소
請收趙末生爵命疏[再疏] ‥ 74
대사헌 직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소 乞遞大司憲疏 ‥ 77

인재집 제2권

소 疏
도적을 그치게 할 방도를 아뢰는 소 請?盜疏 ‥ 81
도적의 괴수 이만주를 사로잡기를 청하는 소 請擒滿住賊帥疏 ‥ 91
야인을 토벌하기를 청하는 소 請討野人疏 ‥ 95
헌릉의 비문을 고칠 것을 청하는 소 請改獻陵碑文疏 ‥ 110
정원일기 政院日記 ‥ 114
함길도와 평안도 두 도에 관을 설치하기를 청하는 소 請咸平兩道設關疏 ‥ 128
노환으로 인하여 우의정 직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소 因老病乞遞右議政疏 ‥ 135
뇌변으로 인하여 우의정 직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소 因雷變乞遞右議政疏 ‥ 137
봉물 감독의 책임을 물어 우의정 직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소 因封物失監乞遞右議政疏 ‥ 138
토지를 측량하여 등급을 나눌 것을 청하는 소 請量田分等疏 ‥ 140

전 箋
병 때문에 우의정 직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전문
因病乞遞右議政箋 ‥ 146

인재집 제3권

계 啓
과거의 은사 제도를 혁파할 것을 청하는 계 請罷科擧恩賜啓 ‥ 151
적괴 이만주의 소굴을 탐문하기를 청하는 계 請探滿住賊狀啓 ‥ 153
종묘에 친사하는 의주를 고칠 것을 청하는 계 請改宗廟親祀儀注啓 ‥ 155
교서관의 자학을 권면하는 방안을 아뢰는 계 磨勘校書館字學啓 ‥ 158
상사 민전의 세습을 허락하지 말라는 계 賞賜民田勿許世傳啓 ‥ 161
종실녀의 칭호를 정하기를 청하는 계 宗室女請定稱號啓 ‥ 164
국사의 향축관을 차정하라는 계 國祀香祝官差定啓 ‥ 166
2품관 이상의 초헌에 방개 설치를 청하는 계 二品官以上乘?請設方蓋啓 ‥ 168
후사의 복제를 논하는 계 論爲人後者爲所後家及本宗服制啓 ‥ 170
사유를 가려 뽑기를 청하는 계 請揀選師儒啓 ‥ 175
평안도 주민 가운데 달아난 자를 규찰할 것을 청하는 계 請檢察平安道人民移逃者啓 ‥ 178
사실을 조사하여 시호를 정할 것을 청하는 계 請?實定諡啓 ‥ 180

문 文
오도리를 무마하는 방책을 함길도 도관찰사와 도절제사에게 내리는 글 以撫御吾都里策賜咸吉道都觀察使及都節制使文 ‥ 188

잡저 雜著
이청원에게 장난삼아 부를 지어 주다 與李靑園?賦 ‥ 192

인재집 제4권

부록 附錄
연보 年譜 ‥ 197
정원일기 政院日記 ‥ 213
사제문 賜祭文 ‥ 242
사전 史傳 ‥ 244
신도비명 神道碑銘 ‥ 246
자손록 子孫錄 ‥ 257
묘표 墓表 ‥ 259
〈양졸당기〉 뒤에 쓰다 書養拙堂記後 ‥ 261

인재집 발 寅齋集跋|신현국 ‥ 264
目次

凡例 _____ 267

寅齋集 卷一


無題 _____ 275
柳絮聯句 _____ 275
題永春縣 _____ 275
又 _____ 276
題石城燕喜樓【二首】 _____ 276
次朴粹翁 _____ 276
賀資憲、中樞院事李貞幹慶壽慈堂分韻 _____ 277


養拙堂記 _____ 278
六松亭記 _____ 279


請赦平壤民?獄疏 _____ 283
請禁山野淫祀疏 _____ 284
乞遞大司憲疏 _____ 284
請行署謝疏 _____ 285
再疏 _____ 288
請免金土官職疏 _____ 290
請收趙末生爵命疏 _____ 290
再疏 _____ 291
乞遞大司憲疏 _____ 293

寅齋集 卷二


請?盜疏 _____ 297
請擒滿住賊帥疏 _____ 301
請討野人疏 _____ 302
請改獻陵碑文疏 _____ 308
政院日記 _____ 309
請咸、平兩道設關疏 _____ 312
因老病乞遞右議政疏 _____ 316
因雷變乞遞右議政疏 _____ 316
因封物失監乞遞右議政疏 _____ 317
請量田分等疏 _____ 317


因病乞遞右議政箋 _____ 320

寅齋集 卷三


請罷科擧恩賜啓 _____ 323
請探滿住賊狀啓 _____ 323
請改宗廟親祀儀注啓 _____ 324
磨勘校書館字學啓 _____ 325
賞賜民田勿許世傳啓 _____ 326
宗室女請定稱號啓 _____ 326
國祀香祝官差定啓 _____ 327
二品官以上乘?請設方蓋啓 _____ 327
論爲人後者爲所後家及本宗服制啓 _____ 328
請揀選師儒啓 _____ 330
請檢察平安道人民移逃者啓 _____ 331
請?實定諡啓 _____ 331


以撫御吾都里策賜咸吉道都觀察使及都節制使文 _____ 335

雜著
與李靑園?賦 _____ 337

寅齋集 卷四

附錄
年譜 _____ 341
政院日記 _____ 352
賜祭文 _____ 367
史傳 _____ 368
神道碑銘 _____ 369
子孫錄 _____ 374
墓表 _____ 375
書〈養拙堂記〉後 _____ 376

寅齋集跋 _____ 378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