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고산유고 1

고산유고 1

  • 윤선도
  • |
  • 한국고전번역원
  • |
  • 2013-05-23 출간
  • |
  • 504페이지
  • |
  • 152 X 225 mm
  • |
  • ISBN 9788928400683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20,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0,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일러두기 ‥ 4
해제 ‥ 19
풍성한 시정과 호연한 기상을 담아낸 고산의 작품세계|박종우

고산유고 제1권

시 詩
오언(五言):고시(古詩)·율시(律詩)·절구(絶句)·집고(集古)
칠언(七言):고시(古詩)·율시(律詩)·절구(絶句)·회문(回文)·집고(集古)
국도에서 배를 돌리며 경자년 自國島廻舟 庚子 ‥ 49
임단 도중에 경자년 臨湍道中 庚子 ‥ 50
안변으로 가는 도중에 우연히 읊다 경자년 往安邊途中偶吟 庚子 ‥ 51
한가로운 봄날의 즉흥시 신축년 閑居春日卽事 辛丑 ‥ 52
삼각산의 절에서 노닐며 성안의 벗에게 부친다는 제목으로 장자호를 대신해서 짓다 계묘년 代張子浩遊三角山寺寄城中友生 癸卯 ‥ 53
연적을 노래하다. 운자를 부르는 대로 지었다. 詠硯滴呼韻 ‥ 55
옛 시구를 모아 이명원에게 부치다 정미년 寄李明遠集古 丁未 ‥ 56
차운하여 장자호에게 답하다 정미년 次韻酬張子浩 丁未 ‥ 63
한가로운 봄날의 즉흥시 무신년 閒居春日卽事 戊申 ‥ 68
문 상사 회보 형에게 증정하다. 형이 운자를 부르는 대로 지었다. 2수 무신년 贈文上舍晦甫兄兄呼韻 二首 戊申 ‥ 69
양 수재에게 주다. 운자를 부르는 대로 지었다. 무신년 贈梁秀才呼韻 戊申 ‥ 72
저녁에 광진 마을에 투숙하여 우연히 읊다 경술년 暮投廣津村偶吟 庚戌 ‥ 73
하랑에 대한 만사 2수 신해년 挽河娘 二首 辛亥 ‥ 74
장 수재에게 주다. 그가 운자를 부르는 대로 붓을 달렸다.
贈張秀才張也呼韻走筆 ‥ 77
주부 정지영에게 주다 신해년 贈鄭主簿之英 辛亥 ‥ 79
남가회에 대한 만사 2수 신해년 挽南可晦 二首 辛亥 ‥ 81
남쪽으로 돌아가는 길에 신해년 南歸記行 辛亥 ‥ 82
수원의 벽 위의 시에 차운하다 次燧院壁上韻 ‥ 91
장 수재의 글에 답하다 임자년 答張秀才書 壬子 ‥ 92
날이 갠 것을 기뻐하며 임자년 喜晴 壬子 ‥ 94
새벽길 임자년 曉行 壬子 ‥ 98
여산 미륵당에 제하다 임자년 題礪山彌勒堂 壬子 ‥ 99
병이 나서 은진에 머물다 임자년 疾作留恩津 壬子 ‥ 100
병이 낫다 임자년 疾止 壬子 ‥ 101
부친을 대신해서 정언 강대진에게 차운하여 답하다 6수 갑인년
代嚴君次韻酬姜正言大晉 六首 甲寅 ‥ 102
한벽루 벽 위의 주 문절의 시에 차운하다 次寒碧樓壁上朱文節韻 ‥ 105
김 첨지 형에 대한 만사 2수 을묘년 挽金僉知兄 二首 乙卯 ‥ 106
아버님을 대신하여 지은 어떤 이의 만사 2수 을묘년
代嚴君挽人 二首 乙卯 ‥ 107
을묘년 섣달에 남양 백부의 구택에 갔다가 감회에 젖어서 율시 두 수를 읊고, 또 왕년의 일을 추억하는 시 세 수를 지었다
乙卯臘月往南陽伯父舊宅有感吟二律又賦記得昔年日三章 ‥ 110
면부가 면숙의 유배지로 가는 것을 전송하며 절구 5수 병진년
送勉夫之勉叔謫所 五絶 丙辰 ‥ 113
겸보 숙장의 영회 시에 차운하다 2수 병진년
次韻謙甫叔丈詠懷 二首 丙辰 ‥ 116
홍면숙에게 부치다 2수 병진년 寄呈洪勉叔 二首 丙辰 ‥ 118
노방의 사람에게 장난삼아 지어 주다 정사년 ?贈路傍人 丁巳 ‥ 120
길주 도중에 정사년 吉州途中 丁巳 ‥ 121
경원에 도착하여 우사에 제하다 2수 정사년 到慶題寓舍 二首 丁巳 ‥ 122
잠에서 깨어 어버이를 생각하며 2수 睡覺思親 二首 ‥ 124
친구를 생각하며 思親舊 ‥ 125
정인관암에 제하다 4수 題鄭仁觀巖 四首 ‥ 126
건원을 출발하며 어떤 사람에게 지어 주다 2수 出乾元贈人 二首 ‥ 127
다시 정인관암에 올라 2수 再登鄭仁觀巖 二首 ‥ 128
곡수대에서 3수 曲水臺 三首 ‥ 129
달을 대하고 어버이를 생각하며 2수 對月思親 二首 ‥ 130
진호루에 올라 현판의 시에 차운하다 4수 登鎭胡樓次楣上韻 四首 ‥ 131
낙망의 시에 차운하다 2수 次樂忘韻 二首 ‥ 133
매미 소리 聞蟬 ‥ 135
면숙에게 부친 운을 써서 낙망자에게 답하다 2수
用寄勉叔韻酬樂忘子 二首 ‥ 136
낙망의 시에 차운하다 次樂忘韻 ‥ 140
찰방 김상윤에게 주다 贈金馬官相潤 ‥ 141
낙망의 시에 차운하다 3수 次樂忘韻 三首 ‥ 142
낙망이 산곡의 ‘오농단억귀’에 차운한 시를 보내며 화답을 청하기에
樂忘次山谷吳?但憶歸詩投贈索和 ‥ 144
낙망의 시에 차운하다 次樂忘韻 ‥ 145
두통을 앓던 중에 무료해서 〈구가〉를 펼쳐 놓고 읽다가 느낌이 있기에 다시 앞의 운을 써서 시를 짓다 屬患頭痛無聊展讀九歌有感復用前韻 ‥ 146
다시 앞의 운을 써서 시를 짓다 復用前韻 ‥ 147
여종이 낡은 세숫대야를 깨뜨렸기에 女奚破?面老瓦盆 ‥ 148
오산장인에게 보내다 簡鰲山丈人 ‥ 149
낙성한 뒤에 절로 흥이 나서 堂成後漫興 ‥ 150
꾀꼬리 소리를 듣고 〈매미 소리〉의 운을 쓰다 聞鶯用聞蟬韻 ‥ 151
홍향저가 김정에게 준 시를 보고 이에 화운하여 향저에게 증정하다
見洪享諸贈金正詩和呈享諸 ‥ 152
노방의 사람에게 장난삼아 지어 주다 무오년 ?贈路傍人 戊午 ‥ 153
홍헌의 조랑에게 답하다 무오년 答洪獻趙娘 戊午 ‥ 154
일일화를 읊다 무오년 詠一日花 戊午 ‥ 155
〈김장군전〉의 뒤에 제하다 3수 신유년 題金將軍傳後 三首 辛酉 ‥ 156
아우와 헤어지며 지어 주다 2수 贈別少弟 二首 ‥ 163
병중의 회포를 풀다 病中遣懷 ‥ 164
닭을 노래하다 詠鷄 ‥ 165
임 박사와 이 평사의 시에 차운하여 봉황대 주인에게 봉증하다
次任博士李評事韻奉贈鳳凰臺主人 ‥ 167
차운하여 선일 태수에게 답하다 계해년 次韻酬善一太守 癸亥 ‥ 169
이경우의 부인에 대한 만사 2수 挽李景愚內 二首 ‥ 170
족모 윤 정랑 부인에 대한 만사 挽族母尹正郞內 ‥ 172
중수 김씨에 대한 만사 挽仲嫂金氏 ‥ 173
장자호의 시에 차운하다 정묘년 次張子浩韻 丁卯 ‥ 174
새벽 비를 읊으며 고시에 차운하다 曉雨次古韻 ‥ 175
가을밤에 우연히 읊으며 고시에 차운하다 秋夜偶吟次古韻 ‥ 176
닭을 노래하다 詠鷄 ‥ 177
작은 벼루를 노래하다 詠小硯 ‥ 178
차운하여 동명에게 답하다 4수 次韻酬東溟 四首 ‥ 179
대둔사에 노닐며 현판의 시에 차운하다 3수 遊大屯寺次楣上韻 三首 ‥ 182
정자우의 시에 차운하여 황 각로의 송붕팔경을 노래하다
次鄭子羽韻詠黃閣老松棚八景 ‥ 184
다시 차운하다 再次 ‥ 189
또 차운하다 又次 ‥ 192
차운하여 동명에게 답하다 次韻酬東溟 ‥ 195
엄 의주의 부인에 대한 만사 挽嚴義州夫人 ‥ 196
이 별좌의 아들에 대한 만사 기사년 挽李別坐子 己巳 ‥ 197
등화를 노래하다 기사년 詠燈花 己巳 ‥ 199
방 안에 함께 분재한 솔과 매화를 노래하다 詠房中共盆松梅 ‥ 201
신미년 3월에 이자용, 장자호와 함께 배를 타고 두무포에서 물길을 거슬러 올라가 동호에서 3일 동안 노닐다가 돌아왔다.…다음과 같이 시를 지었다.
辛未三月與李子容張子浩泛舟由頭無浦?流而上遊東湖三日乃還…因賦得 ‥ 202
환희원 객점의 벽 위의 시에 차운하다 신미년 次歡喜院店舍壁上韻 辛未 ‥ 204
차운하여 어떤 이에게 답하다 신미년 次韻答人 辛未 ‥ 205
청학동에 유람할 즈음에 이자형에게 부치다 신미년
將遊靑鶴洞寄李子馨 辛未 ‥ 206
유 상주에게 차운하여 올리다 계유년 次奉柳尙州 癸酉 ‥ 207
유 참판의 개장에 즈음한 만사 계유년 挽柳參判改葬 癸酉 ‥ 208
홍 진사의 모친에 대한 만사 挽洪進士慈親 ‥ 209
은산현의 객관에서 삼가 조부 이견당의 시에 차운하여 짓다 2수
殷山客館敬次祖父理遣堂韻 二首 ‥ 212
이견당의 원운 理遣堂元韻 ‥ 215
강서의 객관에서 벽 위의 시에 차운하다 4수 계유년
江西客館次壁上韻 四首 癸酉 ‥ 216
먹으로 그린 매화 墨梅 ‥ 218
차운하여 어떤 이에게 답하다 계유년 次韻答人 癸酉 ‥ 219
환희원 벽 위의 시에 차운하다 계유년 次歡喜院壁上韻 癸酉 ‥ 220
가야산에 노닐며 2수 을해년 遊伽倻山 二首 乙亥 ‥ 221
죽은 아들 진사 의미에 대한 만사 병자년 亡子進士義美挽 丙子 ‥ 222
격자봉 정축년 格紫峯 丁丑 ‥ 223
소은병 정축년 小隱屛 丁丑 ‥ 224
귀암 정축년 龜巖 丁丑 ‥ 225
미산 정축년 薇山 丁丑 ‥ 226
낭음계 정축년 朗吟溪 丁丑 ‥ 227
혁희대 정축년 赫曦臺 丁丑 ‥ 228
혹약암 정축년 或躍巖 丁丑 ‥ 229
장재도 정축년 藏在島 丁丑 ‥ 230
오운대에서의 즉흥시 정축년 五雲臺卽事 丁丑 ‥ 231
낚싯배 정축년 釣舟 丁丑 ‥ 232
낙서재 정축년 樂書齋 丁丑 ‥ 233
석실 정축년 石室 丁丑 ‥ 234
황원잡영 3수 정축년 黃原雜詠 三首 丁丑 ‥ 235
희황교 무인년 羲皇橋 戊寅 ‥ 238
공암에서 말을 쉬며 歇馬孔巖 ‥ 239
죽령 가는 도중에 竹嶺道中 ‥ 240
상담 무인년 嘗膽 戊寅 ‥ 241
보천 2수 무인년 補天 二首 戊寅 ‥ 242
새 거처에서 중추의 달을 바라보며 2수 무인년
新居對中秋月 二首 戊寅 ‥ 243
밤에 산재에서 얘기하다가 계하의 시에 차운하다 무인년
山齋夜話次季夏韻 戊寅 ‥ 244
신퇴지가 신 상사 이겸·최생 현·김생 광우와 함께 술을 들고 찾아왔고, 이계하도 왔다. 계하의 시에 차운하였다. 무인년
申退之與申上舍履謙崔生炫金生光宇携酒來訪李季夏亦來次季夏韻 戊寅 ‥ 245
차운하여 계하에게 답하다 4수 무인년 次韻酬季夏 四首 戊寅 ‥ 246
이계하의 〈적벽가〉에 차운하여 답하다 무인년
次韻酬李季夏赤壁歌 戊寅 ‥ 248
또 앞의 운을 써서 짓다 무인년 又用前韻 戊寅 ‥ 252
이계하가 앞의 운을 써서 임경대를 읊기에 다시 차운하다
季夏用前韻賦臨鏡臺又次 ‥ 256
차운하여 이계하에게 답하다 무인년 次韻酬李季夏 戊寅 ‥ 261
앞의 운을 써서 유선사를 우스개로 지어 답을 구하다 무인년
用前韻?作遊仙辭求和 戊寅 ‥ 267
차운하여 이계하의 〈대풍가〉에 답하다 무인년 次韻酬季夏大風歌 戊寅 ‥ 273
입춘에 축원하는 시를 지어 계하에게 주다 기묘년 春祝贈季夏 己卯 ‥ 278
계하가 앞의 시에 화운하고, 또 칠언을 지어 화답을 청하기에, 차운하여 답하다 기묘년 季夏和前篇又作七言求和次酬 己卯 ‥ 279
차운하여 이계하에게 답하며, 여남의 고사를 써서 눈을 노래하다 기묘년
次韻酬李季夏用汝南故事詠雪 己卯 ‥ 280
이달 23일에 또 큰 눈이 내렸기에, 다시 앞의 운을 써서 계하에게 주며 화답을 구하였다 기묘년 是月二十三日又大雪復用前韻贈季夏求和 己卯 ‥ 286
형이 눈을 노래한 시에 화답하여 다시 한 편을 읊었으나 흥이 미진한 게 남아 있었다.…나의 울적한 회포를 풀어 주었으면 한다.
和兄詠雪之作再賦一篇而興有所未盡矣…以暢我幽懷 ‥ 292
네 번째 창화한 시. 객지 탑상 위에서 혼자서 웃게 할 만한 자료를 제공하려고 중언부언하며 그칠 줄을 모르니, 이는 바로 한자가
“혀를 붙잡아 맬 수가 없다.”라고 한 것이 아니리오.
四和欲供旅榻孤笑重言複言而不知止韓子所謂舌不可?者歟 ‥ 298
이해 2월 5일에 또 폭설이 내렸기에 다시 앞의 운을 써서 화답을 구하였다
是歲仲春五日又大雪復用前韻求和 ‥ 303
도사 임효백에게 주다. 이계하, 조군헌 및 효백과 운자를 나누어 조 자를 얻었다. 기묘년 贈任都事孝伯與李季夏趙君獻及孝伯分韻得早字 己卯 ‥ 309
기묘년 2월 3일 저녁에 이계하가 우곡에 와서 한밤중까지 대작하였는데, 고을의 기녀인 월선과 애옥이 함께 따라왔다. 계하가 취해서 벽에 시를 제하였으므로 내가 그 시에 차운하였다.
己卯仲春初三日日?李季夏來愚谷對飮至夜分縣妓月仙愛玉隨來季夏醉題壁上次其韻 ‥ 310
미아의 죽음을 슬퍼하며 기묘년 悼尾兒 己卯 ‥ 311
마음을 달래다 기묘년 遣懷 己卯 ‥ 315
동곽의 이로가 분매를 보내 주었기에 사례하다 기묘년
謝東郭李老惠盆梅 己卯 ‥ 317
비 온 뒤의 취병비폭을 해학적으로 읊다 경진년 雨後?賦翠屛飛瀑 庚辰 ‥ 318
이 별좌에 대한 만사 경진년 挽李別坐 庚辰 ‥ 319
문소동에 들어가며 입으로 읊다 경진년 入聞簫洞口占 庚辰 ‥ 321
동지 정여린에 대한 만사 경진년 挽鄭同知如麟 庚辰 ‥ 322
오류 2수 五柳 二首 ‥ 329
권생이 원앙을 보내 준 것을 사례하며 옛 시구를 모으다 신사년
謝權生惠鴛鴦集古 辛巳 ‥ 331
달구경 신사년 玩月 辛巳 ‥ 332
윤 훈도의 아들 시영에 대한 만사 신사년 挽尹訓導子時英 辛巳 ‥ 333
고금영 병서 古琴詠 幷序 ‥ 334
처음 금쇄동을 얻고서 짓다 임오년 初得金鎖洞作 壬午 ‥ 337
지평 이빈빈에 대한 만사 임오년 挽李持平彬彬 壬午 ‥ 338
낙서재에서 우연히 읊다 樂書齋偶吟 ‥ 340
첨지 임확에 대한 만사 挽林僉知? ‥ 341
석가산 임오년 石假山 壬午 ‥ 343
장륙와 임오년 藏六窩 壬午 ‥ 344
이웃의 승려들이 와서 황무지 개간을 도와준 것을 사례하다 2수 계미년
謝隣僧來助墾荒 二首 癸未 ‥ 345
권 반금과 헤어지며 주다 계미년 贈別權伴琴 癸未 ‥ 346
옛 시구를 모아 반금에게 부치다 갑신년 集古寄伴琴 甲申 ‥ 347
완산의 파로를 생각하며 옛 시구를 모으다 갑신년 思完山琶老集古 甲申 ‥ 355
밥상을 마주하고 을유년 對案 乙酉 ‥ 356
우연히 읊다 을유년 偶吟 乙酉 ‥ 357
우연히 읊다 을유년 偶吟 乙酉 ‥ 358
김사원에 대한 만사 을유년 挽金士元 乙酉 ‥ 359
금성 강 생원에 대한 만사 을유년 挽錦城姜生員 乙酉 ‥ 361
한한정 임탄 어른에 대한 만사 挽閑閑亭林坦丈 ‥ 363
이 정승에게 화운하다 3수 병술년 和李政丞 三首 丙戌 ‥ 364
원운 原韻 ‥ 366
앞의 운을 써서 회포를 읊다 병술년 用前韻詠懷 丙戌 ‥ 368
금객이 시를 청하기에 금계를 지어 주다 병술년 琴客求詩爲作琴誡 丙戌 ‥ 369
금객이 그림 부채를 주기에 그 위에 시를 제하였다 병술년
琴客遺?扇題詩其上 丙戌 ‥ 370
심생 광면에 대한 만사 정해년 挽沈甥光沔 丁亥 ‥ 371
극아의 탕병일에 짓다 정해년 克兒湯餠日作 丁亥 ‥ 372
8월 13일에 달 아래 귀암에 앉아 금객을 생각하며 무자년
八月十三日月下坐龜巖思琴客 戊子 ‥ 373
진사 박이후가 수박과 동아를 보내면서 절구 다섯 수와 근체시 한 수를 부쳤기에 차운하여 답하였다 朴進士而厚惠西瓜東瓜兼寄絶句五首近體一首次韻答之 ‥ 374
진사 박이후에 대한 만사 기축년 挽朴進士而厚 己丑 ‥ 377
〈삼려묘〉에 차운하다 경인년 次三閭廟韻 庚寅 ‥ 378
〈조발소주〉에 차운하다 경인년 次早發韶州韻 庚寅 ‥ 379
〈난가뢰〉에 차운하다 경인년 次欒家瀨韻 庚寅 ‥ 380
반 첩여 시 두 수에 차운하다 4수 경인년
次班??二首韻 四首 庚寅 ‥ 381
종이연에 대해 우스개로 짓다 절구 2수 ?題紙鳶 二絶 ‥ 383
차운하여 송파거사에게 부치다 신묘년 次韻寄呈松坡居士 辛卯 ‥ 384
임경업을 애도한 시에 화운하다 和哀林慶業 ‥ 387
차운하여 어사 이무에게 사례하는 시를 부치다 신묘년
次韻寄謝李御史? 辛卯 ‥ 388
차운하여 이 개령 익로에게 부치다 신묘년 次韻寄李開寧翼老 辛卯 ‥ 389
차운하여 한화숙에게 부치다 신묘년 次韻寄韓和叔 辛卯 ‥ 390
한화숙이 배를 보내면서 지은 시에 차운하여 부치다 신묘년
次寄韓和叔惠梨韻 辛卯 ‥ 391
차운하여 인평대군에게 증정하다 임진년 次韻敬呈麟坪大君案下 壬辰 ‥ 392
임진년 4월 28일에 비가 온 것을 기뻐하며 壬辰四月二十八日喜雨 ‥ 394
처음 고산에 와서 우연히 읊다 임진년 初到孤山偶吟 壬辰 ‥ 396
참판 정양필이 화운한 시에 다시 차운하여 답하다
鄭參判良弼辱和復次以酬 ‥ 397
심희성의 화답에 사례하여 짓다 임진년 謝沈希聖辱和 壬辰 ‥ 399
이계하가 심희성에게 준 나의 시에 차운하여 부쳐 왔기에 다시 그 운으로 세 수를 지어 사례하다 임진년
李季夏次贈沈希聖韻以寄復用其韻賦三首以謝 壬辰 ‥ 400
계하가 다시 율시 한 수를 부쳤기에 차운하여 답하다 임진년
季夏復寄一律次韻以酬 壬辰 ‥ 403
다시 계하의 시에 차운하다 임진년 復次季夏韻 壬辰 ‥ 405
고산의 송림에서 거문고와 피리 소리를 듣고 느끼는 바가 있어 임진년
孤山松林聞琴?有感 壬辰 ‥ 406
방장산인의 〈부용조수가〉에 우스개로 차운하다 임진년
?次方丈山人芙蓉釣?歌 壬辰 ‥ 408
병으로 동호에 머물 적에 강물이 크게 불어나서 고향 생각이 나기에 임진년 病滯東湖江水大漲有懷故園 壬辰 ‥ 412
인평대군이 고산을 역방하며 시를 청하기에 麟坪大君歷訪孤山求詩 ‥ 413
인평대군이 연적 세 개와 주합 하나를 선물로 주기에 각각 근체시 한 편을 지어서 사례하다 麟坪贈三硯滴一酒盒各賦近體一篇以謝 ‥ 414
정 상서가 부채 하나를 선물하였는데, 그 부채에 시가 적혀 있기에 그 시에 화운하였다 임진년 鄭尙書贈一扇扇面有詩和其韻 壬辰 ‥ 418
앞의 부채 시에 차운하여 읊다 次詠扇前韻 ‥ 419
차운하여 방장산인에게 답하다 임진년 次韻酬方丈山人 壬辰 ‥ 420
연구 임진년 聯句 壬辰 ‥ 421
이 밀양 진을 전송하며 시를 지어 주다 贈送李密陽袗 ‥ 422
옛 시구를 모아 반금에게 부치다 계사년 集古寄伴琴 癸巳 ‥ 423
옛 시구를 모아 부채에 써서 어떤 이에게 부치다 5수 계사년
集古題扇寄人 五首 癸巳 ‥ 424
아이들의 시에 화운하다 계사년 和諸兒作 癸巳 ‥ 428
나는 임진년 세모에 서울에서 금쇄동으로 돌아왔다.…이에 느낀 점이 있어서 깊이 반성하며 입으로 절구 한 수를 읊었다. 갑오년 余於壬辰歲暮自京還金鎖洞…有感而發深省口占一絶 甲午 ‥ 429
부인에 대한 만사 을미년 挽夫人 乙未 ‥ 430
옛 시구를 모아 허백 노사에게 부치다 을미년 集古寄虛白老師 乙未 ‥ 431
손자 이구에 대한 만사 병신년 挽孫爾久 丙申 ‥ 433
이 제주를 전송하며 送李濟州 ‥ 437
남원 부사 유시정에 대한 만사 무술년 挽柳南原時定 戊戌 ‥ 438
인평대군에 대한 만사 挽麟坪大君 ‥ 440
〈국시소〉 뒤에 제하다 무술년 題國是疏後 戊戌 ‥ 441
이생이 기름종이로 만든 활집을 얻어서 갓을 쌌기에 무술년
李甥偶得油紙弓袋貯冠 戊戌 ‥ 442
눈송이가 주먹만 하여 초목이 얼어 터지고 화류가 부러졌기에 기해년
雪花如手草木凍?花柳凌挫 己亥 ‥ 443
주부 조실구에 대한 만사 기해년 挽曺主簿實久 己亥 ‥ 444
고산만 범람하지 않았기에 기해년 孤山獨不降 己亥 ‥ 446
정생에 대한 만사 挽鄭生 ‥ 447
병으로 고산에 돌아오다가 배 위에서 감흥이 일어 경자년
病還孤山舡上感興 庚子 ‥ 448
고산삼절의 시를 접하고 차운하여 붓을 달리다|이경석
走次孤山三絶惠韻|李景奭 ‥ 449
해민료에서 우연히 읊으며 다시 앞의 운을 쓰다 解悶寮偶吟復用前韻 ‥ 450
경자년 4월 27일에 노원에서 출발하여 북쪽으로 가다가 누원 노상에서 비를 만나 느낀 점이 있기에
庚子四月二十七日自蘆原發北行樓院路上逢雨有感 ‥ 451
다시 앞의 운을 써서 홍헌의 예순과 승례 두 낭자에게 지어 주다
復用前韻贈洪獻禮勝二娘 ‥ 452
홍헌의 의기 조생의 시첩 뒤에 제하다|조경
題洪獻義妓趙生帖後|趙絅 ‥ 454
고산의 운에 차하다 次孤山韻 ‥ 456
생일날의 감회 以降日有感 ‥ 458
삼가 화운하여 용주에게 증정하다 경자년 謹和呈龍洲 庚子 ‥ 459
원운 元韻 ‥ 461
경자년 7월 24일의 즉흥시 庚子七月二十四日卽事 ‥ 463
차운하여 국경에게 사양하는 시를 부치다 경자년 次韻寄謝國卿 庚子 ‥ 464
소빙화 병서 신축년 消氷花 幷序 辛丑 ‥ 465
정심암 신축년 淨深菴 辛丑 ‥ 468
약방이 문안한 저보를 오래도록 접하지 못하여 걱정스러운 마음을 금하지 못하겠기에 신축년 久不聞藥房問安邸報不勝耿耿 辛丑 ‥ 470
우연히 읊다 신축년 偶吟 辛丑 ‥ 471
삼강의 일을 기록하다 신축년 三江記事 辛丑 ‥ 472
눈이 온 뒤에 장난으로 짓다 신축년 雪後?作 辛丑 ‥ 474
인차외 만호가 물고기와 시를 보내 주었기에 사례하다 임인년
謝仁遮外萬戶寄魚及詩 壬寅 ‥ 476
중구일에 이 태수를 생각하며 임인년 九日思李太守 壬寅 ‥ 478
9월 12일에 날씨가 전에 없이 따뜻하고 달도 특별히 밝기에 임인년
九月十二日姸暖無前月亦分外明 壬寅 ‥ 479
한 첨지에 대한 만사 계묘년 挽韓僉知 癸卯 ‥ 480
계묘년 세모에 감회에 젖어 노소재의 시체를 본뜨다
癸卯歲暮有感效盧?齋體 ‥ 481
격양 갑진년 擊壤 甲辰 ‥ 482
큰애가 아비를 찾아보려고 1월과 2월 어간에 해남에서 출발했다고 들었는데, 2월 17일에 바람이 거세게 불며 눈보라가 몰아치기에 길에서 얼마나 고생할까 생각하며 짓다 갑진년
聞大兒爲來覲孟仲春間自海南發程而二月十七日風?雪虐仍念行路之苦 甲辰 ‥ 483
차운하여 이연지에게 주다 次贈李延之 ‥ 484
갑진년 8월 4일에 장령에 올라 백두산을 바라보고 인차에 돌아왔는데 그날 저녁에 비가 내렸다. 다음 날도 내렸다 그쳤다 반복하더니 되돌아오는 길에 또 비를 만나 축축이 젖었다.
甲辰仲秋初四日登長嶺望白頭還到仁遮其昏雨作翌日作止數廻歸路又逢雨霑濕 ‥ 485
갑진년 8월 5일에 세검정에 오르다 甲辰仲秋初五日登洗劍亭 ‥ 486
삼가 화운하여 겸재의 정안에 올리다 병오년 敬和呈謙齋靜案 丙午 ‥ 488
원운 元韻 ‥ 489
나 경주에 대한 만사 병오년 挽羅慶州 丙午 ‥ 491
하 의흥에 대한 만사 병오년 挽河義興 丙午 ‥ 492
사간 이연지의 시에 차운하다 병오년 次李司諫延之韻 丙午 ‥ 493
실제의 일을 기록하다 무신년 記實 戊申 ‥ 494
마음을 달래다 무신년 遣懷 戊申 ‥ 495
동하각 기유년 仝何閣 己酉 ‥ 496
휘일을 기록한 시 記諱日詩 ‥ 49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