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예수 당태종을 사로잡다

예수 당태종을 사로잡다

  • 구범회
  • |
  • 나눔사
  • |
  • 2012-11-10 출간
  • |
  • 392페이지
  • |
  • 153 X 224 X 30 mm /584g
  • |
  • ISBN 9788970270852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 책은 국내외를 망라 하여 연구와 출판은 물론 언급된 것이 별로 없는
당(唐)나라와 원(元)나라 시대 기독교 이야기이다.

기독교가 당나라와 몽고, 그리고 원나라에서 번성했었다는 사실을 제대로 알거나 믿는 이는 아주 드물다. 그러나 결코 부인할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다. 당나라 역사서인 신.구당서(新.舊唐書)와 당회요(唐會要), 원나라 사료인 원사(元史)와 원전장(元典章) 등을 통해 생생하게 입증되고 있다. 그리고 당나라 덕종(德宗)황제 때인 건중(建中) 2년(781년)에 세워진 ‘대진경교유행중국비(大震景敎流行中國碑)는 당나라 기독교인 경교(景敎)의 전래와 당시 활동상황 등을 상세하게 기록해 놓았다. 경교는 말 그대로 “크고 밝으며 빛나는”, 다시 말해 하나님의 종교라는 의미다. 공식 명칭은 서기 498년 셀뤼시아에서 결성돼 페르시아, 소아시아, 인도, 중앙아시아, 동아시아 등지를 무대로 1천년 동안 번성했던 ’동방교회‘다. 흔히 동방교회로 불리는 그리스 정교회와는 전혀 다른 별개의 교파다. 시대적으로도 그리스 정교회 보다 훨씬 앞선다. 세간에는 네스토리우스(Nestorius.콘스탄티노플교회대주교)파(派) 기독교로 알려져 있다.
신학논쟁을 내세운 로마교회가 5세기 초 이단으로 낙인찍은 결과다. 이 기록대로라면, 오늘날 개신교의 역사는 1천년 이상을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바로 이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가 당나라에 들어와 경교가 됐다. 경교라는 이름은 현지화, 토착화를 위한 몸짓에서 유래한 것이다. 당태종 이세민의 치세(治世)인 정관(貞觀) 9년(635년)의 일이다. 기록에 따르면 당태종은 자신의 총신이자 재상인 방현령(房玄齡)을 황궁 서문 밖까지 내보내 기독교를 전하러 온 아라본(阿羅本.알로펜)주교 일행을 극진한 예우로 맞아들이는 ’파격‘을 내보였다. 더욱 놀라운 것은 당태종이 아라본 주교의 설교를 들은 뒤 바로 “바른 진리를 깊이 알았도다. 황제의 특별 명령으로 전수를 명하노라(深知正眞, 特令傳授)”며 선뜻 기독교의 당나라 포교를 허락했다는 사실이다.
이후 경교는 황제와 황실의 보호와 지원을 받으며 당나라에서 2백여 년 동안 번성했다.

또 하나, 간과할 수 없는 게 있다. 몽고제국이 기독교 정신의 바탕 위에서 세워졌다는 사실이다. 모두 역사에 나오는 얘기다. 몇 가지 근거만 제시하자면 이렇다. 1206년에 세워진 몽골제국은 타타얼부, 극렬부, 내만부, 왕고부, 몌얼치부, 워얼라부 등 6개 부락이 합쳐 만들어진 연합국가다. 이 중 극렬부, 내만부, 왕고부, 몌얼치부의 주민 대다수가 "야리가온"으로 불리던 기독교도였다. 특히 극렬부의 경우, 수령을 비롯한 전체 주민 20만명 모두가 크리스천이었다. 원나라를 세운 세조(쿠빌라이)황제의 모친인 별길태후 등이 극렬부 왕족 출신이며, 왕고부 등지에서 마경상(馬慶祥)과 마조상(馬祖常), 조세연(趙世延) 등 몽고와 원나라 조정을 이끌었던 수많은 기독교도 학자와 중신을 배출했다.
또 칭기즈칸의 최고 책사였던 친카이(鎭海)와 몽고의 따칸(大汗) 워쿠오타이의 재상이었던 볼가이 역시 독실한 기독교도였다. 특히 친카이의 기독교적인 사고가 칭기즈칸의 통치이념을 정립하고 제국의 기틀을 다지는데 알게 모르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종교에 관대했던 칭기즈칸이 종족과 신분에 관계없이 인재를 고루 등용하고 신앙의 자유를 허용하며 자유로운 교차혼인을 허용한 것 등도 이 같은 기독교적인 토양 및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당나라에서 경교였던 기독교는 몽고와 원나라에서는 야리가온(복을 나눠주는 사람)으로 불리며 당나라 때보다도 더욱 번성했다. 불교, 도교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3대 종교중의 하나로 크게 성장했다. 원나라 조정에서 야리가온을 관리하기 위해 숭복사(崇福司)라는 기관을 별도로 설치할 정도였다. 특히 사경을 헤매던 칭기즈칸의 넷째 아들이자 태자인 툴니를 기독교도 의사인 써리빠가 구하면서 몽고와 원나라의 최고 명약이자 황실의 비방으로 자리잡은 이른바 ‘써리빠’의 유래는 우리의 상상을 초월한다. 그 뒤 야리가온의 앞날은 탄탄대로였다. 사막으로 쫓겨 가기 전까지 중국 땅 원나라에서 1백60여 년 동안 왕성한 세력을 떨쳤다. 로마 천주교회는 이보다 훨씬 뒤인 원나라 순제(順帝) 때인 서기 1294년에 이르러서야 포교를 허락받았다.


목차


필자의 변
머리말
추천사

제1부 신앙이냐, 권력이냐
아, 네스토리우스
네스토리우스, 죽어서야 키릴루스를 이기다
그리스의 이성, 유태의 감성
네스톨우스 유서
종교권력의 표상 성 키릴루스
네스토리우스편에 섰던 마르틴 루터
인도로 간 도마
인도의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제2부 빛이 어둠을 비추니
왜 경교인가
예수, 당태종을 사로잡다
현무문의 참회
무원진주아라가여
신천선경
대진과 아라본
파사사
법류십도 사만백성
대진사와 지도황제
황은과 보은
백의경사 이사

제3부 말씀은 천산(天山)을 넘고
대진경교유행중국비
네스토리우스 · 키릴루스, 1천2백년만의 화해
미계분묘지
이소 부부 묘지
낙양 경교 경당
경당에 새겨진 경문
당기
대덕
수라함과 대덕 급렬
훼불사제
경교의 몰락
대진목호천
경교비, 천년의 침묵을 깨다
하늘이 내려준 기쁨
경교비 출토에 관한 기록들
경교비를 증언한 예수회 사제들
장안이냐, 주질이냐 (1)
장안이냐, 주질이냐 (2)
주질 대진사
소동파, 주질 대진사를 읊다
세워진 곳도 장안, 발견된 곳도 장안
경교도의 십자가
경교의 유물들

제4부 칭기즈칸, 진리에 다가가다
경교, 3백여 년 만의 부활
야리가온
숭복사
지순진강지
써리빠
칭기즈칸가의 경교도들
몽고·원나라의 경교도 신하들
중국 땅에 복음이 만개했네
마르쿠스와 사우마 (1)
마르쿠스와 사우마 (2)
마르쿠스와 사우마 (3)
니콜로 폴로와 마페오 폴로
교황의 굴욕
무정한 따칸
몬테 코르비노의 거인
원나라 천주교의 흥망
야리가온의 북방 유물들

제5부 경교에 관한 문서들
대진경교삼위몽도찬
존경
서청미시소경
일신론
선원지본경
지현안락경
교황청의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문헌
성에프라엔 전서와 대진경교제경총목록

참고문헌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