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추안급국안 국역본 세트 4(68-90권)(4세트 모두 주문시 출고 가능)

추안급국안 국역본 세트 4(68-90권)(4세트 모두 주문시 출고 가능)

  • 편집부
  • |
  • 흐름출판사
  • |
  • 2014-03-06 출간
  • |
  • 8850페이지
  • |
  • 512 X 261 mm
  • |
  • ISBN 9791155220412
판매가

766,000원

즉시할인가

689,4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689,4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원래 범죄라고 할 때 그것은 사회적 일탈행동(social violation)을 뜻하는 단어이다. 우리 역사는 사회의 기존 질서를 침해하여 무너뜨리는 행동을 범죄로 규정하여 이를 처벌했다. 그래서 범죄자에 대한 처벌 기록인 『추안급국안』은 국왕에 대한 역모사건을 중심으로 하여 이에 준하는 각종의 변란이나 당쟁, 정변에 관한 기록이 있다. 이 사건을 담당했던 의금부는 원래 양반 지배층의 범죄나 조선왕조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삼강오륜(三綱五倫)에 대한 위반행위인 강상죄(綱常罪)를 다스리던 곳이었다. 그래서 이 문헌에는 서학 즉 천주교 사건이나 각종의 비결류 사건들도 포함되어 있다. 한마디로 말하여 『추안급국안』은 조선 후기 사회를 뒤흔들던 큰 사건들이 모두 모여져 있는 기록이다.
그런데 범죄는 기존 질서에 대한 도전이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 이 도전은 역사의 역동성을 더해 준 사건들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역사 발전의 원동력이 되기도 한 행동이었다. 『추안급국안』에 등장하는 범죄자들의 경우를 보면, 그들은 최고위층 양반 지배자들로부터 최하의 천인 신분에 이르는 노비나 승려들까지도 포함되어 있다. 즉, 이 『추안급국안』에는 치자와 피치자와의 모순ㆍ갈등이 적나라하게 묘사되어 있으므로 조선 후기 민중운동사 연구를 위해서도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심문 대상자로 양반, 중인, 상민, 노비 등 사회의 모든 신분층이 망라되어 있고, 또한 관료, 상인, 공장, 농민 등 모든 종류의 직업인이 포함되어 있다. 아울러 그들이 일생생활에서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하여, 그리고 그들의 처지가 어떠한지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이는 이 『추안급국안』 안에 조선 전통 사회의 축도판(縮圖版)이 들어 있다는 말이 된다. 따라서 우리는 이 자료를 통해 정권을 둘러싼 양반 지배층의 권력투쟁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는 민중의 생활상과 그들의 사상 그들의 꿈과 소망을 정확이 알려 주는 문헌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민중들은 자신의 기록을 남기지 못했다. 그러나 민중들은 집권층의 기록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기 마련이다. 조선 후기의 민중들도 이 『추안급국안』을 통해서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 문헌에 사건이 기록되던 당시에 그 기록된 사건은 모두가 범죄였다. 그러나 오늘의 입장에서 보자면 그것은 새로운 사회를 향한 역사의 힘찬 북소리였다. 그들의 이른바 범죄행위를 통해 우리는 당시의 정치사나 사회사의 진실을 알 수 있다. 여기에는 그때 그들이 향유했던 경제사나 사회사에 가장 사실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자료들이 지천으로 깔려 있다. 당시의 지배층뿐만 아니라 일반 민중들의 생활사를 적나라하게 드러내 주며, 그들이 가지고 있던 사상과 그들의 심성(mentalit?)을 드러내 준다. 이 자료를 통해서 오늘의 연구자들은 특정 시대와 사건의 전후 사정과 자세한 전개 과정을 알게 되며, 역사적 상황을 정확히 복원하여 이를 교훈으로 삼아 나갈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추안급국안』은 조선왕조실록 못지않은 민족의 고전이며, 마르지 않을 지혜의 샘이다.
한편, 우리는 이 『추안급국안』을 통해서 조선 시대 언어와 음차(音借) 표기를 이해하는 대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 자료는 심문 내용을 직접 기록한 것이어서 음차한 내용도 많을 뿐더러 이두(吏讀) 사용이 빈번하다. 이를 정리함으로써 이 『추안급국안』은 우리 국어사의 연구 발전에도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어사 분야뿐만 아니라 다른 풍속사, 여성사, 교회사 등 특수사 영역의 연구에 있어서도 『추안급국안』은 빼놓을 수 없는 주요 자료임에 틀림없다.


목차


68권-정조1(1777)-정조2(1778)
역적 전흥문(全興文) 등 추안(2) / 정유년(1777, 정조1)
죄인 이성진(李宬鎭) 추안 / 정유년(1777, 정조1)
죄인 홍낙임(洪樂任) 추안 / 무술년(1778, 정조2)
역적 홍양해(洪量海) 등 추안 / 무술년(1778, 정조2)

69권-정조3(1779)-정조6(1782)
죄인 정력(鄭饑)ㆍ이진후(李鎭厚) 등 추안 / 기해년(1779, 정조3)
역적 이유백(李有白)ㆍ이택징(李澤徵) 등 추안 / 임인년(1782, 정조6)

70권-정조6(1782)
역적 권홍징(權泓徵) 추안 / 임인년(1782, 정조6)
역적 김정채(金貞采)ㆍ송환구(宋煥九) 추안 / 임인년(1782, 정조6)
역적 문인방(文仁邦)ㆍ이경래(李京來) 등 추안 / 임인년(1782, 정조6)

71권-정조8(1784)-정조9(1785)
죄인 김하재(金夏材) 추안 / 갑진년(1784, 정조8)
역모에 동참한 죄인 유태수(柳泰守) 등 추안(1) / 을사년(1785, 정조9)

72권-정조10(1786)-정조20(1796)
역모에 동참한 죄인 유태수(柳泰守) 등 추안(2) / 병오년(1786, 정조10)
죄인 이광운(李匡運)ㆍ한채(韓采) 등 추안 / 정미년(1787, 정조11)
죄인 윤구종(尹九宗) 추안 / 임자년(1792, 정조16)
죄인 정호인(鄭好仁) 등 추안 / 병진년(1796, 정조20)

73권-순조1(1801)
사악한 천주학 죄인 이가환(李家煥) 등 심문 기록 / 신유년(1801, 순조1)
사학(邪學) 죄인 이기양(李基讓) 등 심문 기록 / 신유년(1801, 순조1)

74권-순조1(1801)
사학(邪學) 죄인 강이천(姜彛天) 등 심문 기록 / 신유년(1801, 순조1)
사학 죄인 김여(金錤) 등 심문 기록 / 신유년(1801, 순조1)
심문 기록 / 신유년(1801, 순조1)

75권-순조1(1801)
역적 임시발(任時發)·윤가기(尹可基) 등 심문 기록 / 신유년(1801, 순조1)
사학(邪學) 죄인 황사영(黃嗣永) 등 심문 기록 / 신유년(1801, 순조1)

76권-순조4(1804)
오재영(吳載榮)·이성세(李性世) 등 심문 기록(1) / 갑자년(1804, 순조4)
오재영·이성세 등 심문 기록(2) / 갑자년(1804, 순조4)

77권-순조4(1804)
죄인 권유(權裕)·이안묵(李安默) 등 심문 기록(1) / 갑자년(1804, 순조4)
죄인 권유·이안묵 등 심문 기록(2) / 갑자년(1804, 순조4)

78권-순조4(1804)-순조11(1811)
죄인 이달우(李達宇)·장의강(張義綱) 등 심문 기록 / 갑자년(1804, 순조4)
전패(殿牌) 사건을 일으킨 죄인 조근환(趙謹煥) 심문 기록 / 정묘년(1807, 순조7)
죄인 이광욱(李光郁)·이관호(李觀鎬) 등 심문 기록 / 정묘년(1807, 순조7)
오태성(吳泰性) 등 심문 기록 / 무진년(1808, 순조8)
죄인 조경(趙劫) 심문 기록 / 기사년(1809, 순조9)
임금에게 큰 죄를 진 죄인 장몽서(張夢瑞) 심문 기록 / 기사년(1809, 순조9)
임금에게 큰 죄를 진 죄인 허윤(許倫) 심문 기록 / 신미년(1811, 순조11)

79권-순조12(1812)-순조17(1817)
죄인 이진채(李振采) 등 추안 곤(坤) / 임신년(1812, 순조12)
죄인 박동직(朴東稷) 추안 / 계유년(1813, 순조13)
난언범상(亂言犯上) 죄인 백태진(白兌鎭) 등 추안 / 계유년(1813, 순조13)
죄인 이희조(李希祖) 등 추안 / 정축년(1817, 순조17)

80권-순조19(1819)-순조26(1826)
죄인 김재묵(金在默) 등 추안 / 기묘년(1819, 순조19)
대역부도(大逆不道) 죄인 이인백(李仁白) 국안 / 갑신년(1824, 순조24)
죄인 김치규(金致奎)ㆍ이창곤(李昌坤)ㆍ유성호(柳性浩)ㆍ이원기(李元基) 국안 / 병술년(1826, 순조26)

81권-순조26(1826)-순조29(1829)
죄인 박형서(朴亨瑞)ㆍ정상채(鄭尙采)ㆍ신계량(申季亮) 국안 / 병술년(1826, 순조26)
시부(弑父) 죄인 김말손(金末孫) 국안 / 기축년(1829, 순조29)
대역부도(大逆不道) 죄인 이노근(李魯近) 국안 / 기축년(1829, 순조29)
죄인 신의학(愼宜學)ㆍ송수겸(宋守謙) 등 국안 / 기축년(1829, 순조29)
추안급국안 / 기축년(1829, 순조29)

82권-헌종2(1836)-헌종5(1839)
죄인 강시환(姜時煥) 국안 / 병신년(1836, 헌종2)
범상부도죄인(犯上不道罪人) 정규흠(鄭奎欽) 옥안(獄案) / 병신년(1836, 헌종2)
역적 남공언(南公彦)·남응중(南膺中)·남경중(南慶中)·문헌주(文憲周) 옥안 / 병신년(1836, 헌종2)
대역부도(大逆不道) 죄인 원대익(元大益) 심문 기록 / 정유년(1837, 헌종3)
사학모반(邪學謀叛) 죄인 양놈·유진길(劉進吉) 등 안(案) / 기해년(1839, 헌종5)

83권-헌종6(1840)-헌종14(1848)
죄인 김정원(金鼎元) 옥안(獄案) / 경자년(1840, 헌종6)
역적 민진용(閔晉鏞)·이원덕(李遠德) 등 옥안 / 갑진년(1844, 헌종10)
죄인 김필(金) 심문 기록 / 병오년(1846, 헌종12)
죄인 이목연(李穆淵)·이승헌(李承憲) 심문 기록 / 무신년(1848, 헌종14)

84권-철종4(1853)-철종13(1862)
김수정(金守禎)·홍영근(洪榮瑾) 심문 기록 / 계축년(1853, 철종4)
상전을 살해한 죄인 복동(福同) 심문 기록 / 기미년(1859, 철종10)
죄인 염종수(廉宗秀) 심문 기록 / 신유년(1861, 철종12)
죄인 김순성(金順性)·이긍선(李兢善) 심문 기록 / 임술년(1862, 철종13)
역적 임일희(任馹熺) 심문 기록 / 임술년(1862, 철종13)

85권-고종3(1866)-고종6(1869)
병인사옥(丙寅邪獄) 죄인 남종삼(南鍾三)·홍봉주(洪鳳周) 등 국안 / 병인년(1866, 고종3)
삼성추안(三省推案) / 병인년(1866, 고종3)
사학죄인(邪學罪人) 이재의(李在誼) 등 국안 / 무진년(1868, 고종5)
사학죄인 조연승(曺演承) 등 국안 / 무진년(1868, 고종5)
모반대역(謀反大逆) 죄인 정덕기(鄭德基) 등 국안 / 무진년(1868, 고종5)
역적 민회행(閔晦行) 등 국안 / 기사년(1869, 고종6)

86권-고종7(1870)-고종9(1872)
진주(晉州) 죄인 김희국(金熙國) 등 국안 / 경오년(1870, 고종7)
역적(逆賊) 김창실(金昌實)·김여강(金汝江) 등 국안 / 신미년(1871, 고종8)
역적 이필제(李弼濟)·정기현(鄭岐鉉) 등 국안 / 신미년(1871, 고종8)
의금부 역적 김응룡(金應龍)·오윤근(吳潤根) 등 국안 / 임신년(1872, 고종9)
의금부 역적 심담응(沈聃應) 등 국안 / 임신년(1872, 고종9)

87권-고종10(1873)-고종18(1881)
죄인 최익현(崔益鉉) 심문 기록 / 계유년(1873, 고종10)
죄인 박우현(朴遇賢) 심문 기록 / 계유년(1873, 고종10)
죄인 손영로(孫永老) 심문 기록 / 갑술년(1874, 고종11)
죄인 신철균(申哲均) 등 심문 기록 / 병자년(1876, 고종13)
죄인 이병연(李秉淵) 등 심문 기록 / 정축년(1877, 고종14)
죄인 이만손(李晩孫)·강진규(姜晋奎) 등 국안 / 신사년(1881, 고종18)
죄인 홍재학(洪在鶴) 국안 / 신사년(1881, 고종18)

88권-고종18(1881)
대역부도(大逆不道) 죄인 안기영(安驥泳) 등 국안 / 신사년(1881, 고종18)
89권-고종18(1881)-고종20(1883)
대역부도(大逆不道) 죄인 안기영(安驥泳) 등 국안 / 신사년(1881, 고종18)
대역부도 죄인 김장손(金長孫) 등 국안 / 임오년(1882, 고종19)
죄인 윤상화(尹相和) 국안 / 임오년(1882, 고종19)
대역부도 죄인 허욱(許煜) 등 국안 / 계미년(1883, 고종20)
죄인 백낙관(白樂寬) 국안 / 계미년(1883, 고종20)

90권-고종21(1884)-고종29(1892)
대역부도(大逆不道) 죄인 이희정(李喜貞) 등 국안 / 갑신년(1884, 고종21)
대역부도 죄인 김춘영(金春永)ㆍ이영식(李永植) 국안 / 을유년(1885, 고종22)
모반대역부도(謀叛大逆不道) 죄인 윤경순(尹景純) 등 국안 / 을유년(1885, 고종22)
모반대역부도 죄인 성인묵(成仁默) 등 국안 / 병술년(1886, 고종23)
죄인 신기선(申箕善) 국안 / 정해년(1887, 고종24)
모반부도(謀叛不道) 죄인 박홍근(朴弘根) 등 국안 / 임진년(1892, 고종2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