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추안급국안 국역본 세트 2(24-45권)(4세트 모두 주문시 출고 가능)

추안급국안 국역본 세트 2(24-45권)(4세트 모두 주문시 출고 가능)

  • 편집부
  • |
  • 흐름출판사
  • |
  • 2014-03-06 출간
  • |
  • 8850페이지
  • |
  • 512 X 261 mm
  • |
  • ISBN 9791155220399
판매가

734,000원

즉시할인가

660,6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660,6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원래 범죄라고 할 때 그것은 사회적 일탈행동(social violation)을 뜻하는 단어이다. 우리 역사는 사회의 기존 질서를 침해하여 무너뜨리는 행동을 범죄로 규정하여 이를 처벌했다. 그래서 범죄자에 대한 처벌 기록인 『추안급국안』은 국왕에 대한 역모사건을 중심으로 하여 이에 준하는 각종의 변란이나 당쟁, 정변에 관한 기록이 있다. 이 사건을 담당했던 의금부는 원래 양반 지배층의 범죄나 조선왕조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삼강오륜(三綱五倫)에 대한 위반행위인 강상죄(綱常罪)를 다스리던 곳이었다. 그래서 이 문헌에는 서학 즉 천주교 사건이나 각종의 비결류 사건들도 포함되어 있다. 한마디로 말하여 『추안급국안』은 조선 후기 사회를 뒤흔들던 큰 사건들이 모두 모여져 있는 기록이다.
그런데 범죄는 기존 질서에 대한 도전이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 이 도전은 역사의 역동성을 더해 준 사건들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역사 발전의 원동력이 되기도 한 행동이었다. 『추안급국안』에 등장하는 범죄자들의 경우를 보면, 그들은 최고위층 양반 지배자들로부터 최하의 천인 신분에 이르는 노비나 승려들까지도 포함되어 있다. 즉, 이 『추안급국안』에는 치자와 피치자와의 모순ㆍ갈등이 적나라하게 묘사되어 있으므로 조선 후기 민중운동사 연구를 위해서도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심문 대상자로 양반, 중인, 상민, 노비 등 사회의 모든 신분층이 망라되어 있고, 또한 관료, 상인, 공장, 농민 등 모든 종류의 직업인이 포함되어 있다. 아울러 그들이 일생생활에서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하여, 그리고 그들의 처지가 어떠한지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이는 이 『추안급국안』 안에 조선 전통 사회의 축도판(縮圖版)이 들어 있다는 말이 된다. 따라서 우리는 이 자료를 통해 정권을 둘러싼 양반 지배층의 권력투쟁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는 민중의 생활상과 그들의 사상 그들의 꿈과 소망을 정확이 알려 주는 문헌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민중들은 자신의 기록을 남기지 못했다. 그러나 민중들은 집권층의 기록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기 마련이다. 조선 후기의 민중들도 이 『추안급국안』을 통해서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 문헌에 사건이 기록되던 당시에 그 기록된 사건은 모두가 범죄였다. 그러나 오늘의 입장에서 보자면 그것은 새로운 사회를 향한 역사의 힘찬 북소리였다. 그들의 이른바 범죄행위를 통해 우리는 당시의 정치사나 사회사의 진실을 알 수 있다. 여기에는 그때 그들이 향유했던 경제사나 사회사에 가장 사실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자료들이 지천으로 깔려 있다. 당시의 지배층뿐만 아니라 일반 민중들의 생활사를 적나라하게 드러내 주며, 그들이 가지고 있던 사상과 그들의 심성(mentalit?)을 드러내 준다. 이 자료를 통해서 오늘의 연구자들은 특정 시대와 사건의 전후 사정과 자세한 전개 과정을 알게 되며, 역사적 상황을 정확히 복원하여 이를 교훈으로 삼아 나갈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추안급국안』은 조선왕조실록 못지않은 민족의 고전이며, 마르지 않을 지혜의 샘이다.
한편, 우리는 이 『추안급국안』을 통해서 조선 시대 언어와 음차(音借) 표기를 이해하는 대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 자료는 심문 내용을 직접 기록한 것이어서 음차한 내용도 많을 뿐더러 이두(吏讀) 사용이 빈번하다. 이를 정리함으로써 이 『추안급국안』은 우리 국어사의 연구 발전에도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어사 분야뿐만 아니라 다른 풍속사, 여성사, 교회사 등 특수사 영역의 연구에 있어서도 『추안급국안』은 빼놓을 수 없는 주요 자료임에 틀림없다.


목차


24권-숙종6(1680)|숙종15(1689)
이입신(李立身) 등 심문 기록 / 기사년(1689, 숙종15)
역적 오정창(吳挺昌)ㆍ정원로(鄭元老) 등 심문 기록(상) / 경신년(1680, 숙종6)

25권-숙종6(1680)
역적 오정창(吳挺昌)ㆍ정원로(鄭元老) 등 심문 기록(중) / 경신년(1680, 숙종6)
역적 오정창ㆍ정원로 등 심문 기록(하) / 경신년(1680, 숙종6)

26권-숙종6(1680)-숙종7(1681)
오시수(吳始壽) 추안 / 경신년(1680, 숙종6)
박상한(朴相漢) 추안 / 신유년(1681, 숙종7)
허협(許浹)ㆍ양국정(梁國楨) 추안 / 신유년(1681, 숙종7)

27권-숙종8(1682)
노계신(盧繼信) 추안 / 임술년(1682, 숙종8)
역적 허새(許璽)ㆍ허영(許瑛) 추안(상) / 임술년(1682, 숙종8)
역적 허새 추안(하) -전익대(全翊戴)를 합해 기록- / 임술년(1682, 숙종8)

28권-숙종13(1687)-숙종14(1688)
양우철(梁禹轍) 추안 / 정묘년(1687, 숙종13)
안계리(安繼李) 추안 / 정묘년(1687, 숙종13)
김성기(金成器) 추안 / 정묘년(1687, 숙종13)
역적 여환(呂還) 등 추안 / 무진년(1688, 숙종14)

29권-숙종14(1688)-숙종15(1689)
이민재(李敏材) 추안 / 무진년(1688, 숙종14)
김영준(金永俊) 추안 / 무진년(1688, 숙종14)
박업귀(朴業貴) 추안 / 무진년(1688, 숙종14)
김익훈(金益勳) 등 추안 / 기사년(1689, 숙종15)

30권-숙종15(1689)-숙종17(1691)
이사명(李師命) 추안 / 기사년(1689, 숙종15)
오두인(吳斗寅) 등 친국(親鞫) 추안 / 기사년(1689, 숙종15)
김영하(金永河) 추안 / 신미년(1691, 숙종17)
차충걸(車忠傑) 추안 / 신미년(1691, 숙종17)

31권-숙종18(1692)-숙종20(1694)
이첨한(李瞻漢) 추안 / 임신년(1692, 숙종18)
연최적(延最績) 추안 / 계유년(1693, 숙종19)
최태웅(崔泰雄) 추안 / 계유년(1693, 숙종19)
함이완(咸以完)ㆍ김인(金寅) 등 추안 천(天) / 갑술년(1694, 숙종20)

32권-숙종20(1694)
김인(金寅) 등 추안 인(人) / 갑술년(1694, 숙종20)

33권-숙종22(1696)-숙종23(1697)
응선(應先)ㆍ김천추(金天樞) 등 추안 / 병자년(1696, 숙종22)
체종(體宗) 추안 / 병자년(1696, 숙종22)
이영창(李榮昌) 등 추안 / 정축년(1697, 숙종23)

34권-숙종23(1697)-숙종26(1700)
홍기주(洪箕疇) 등 추안 / 정축년(1697, 숙종23)
곽제숭(郭齊嵩) 추안 / 정축년(1697, 숙종23)
안사현(安士賢) 등 추안 / 무인년(1698, 숙종24)
김윤창(金胤昌) 추안 / 경진년(1700, 숙종26)

35권-숙종27(1701)-숙종32(1706)
죄인 조영식(曺永植) 추안 / 신사년(1701, 숙종27)
숙정(淑正)ㆍ설향(雪香) 등 추안 / 신사년(1701, 숙종27)
죄인 주명철(朱命哲) 추안 / 갑신년(1704, 숙종30)
죄인 임부(林溥) 등 추안(1) / 병술년(1706, 숙종32)

36권-숙종32(1706)
죄인 이잠(李潛) 추안 / 병술년(1706, 숙종32)
죄인 임부(林溥) 등 추안(3) / 병술년(1706, 숙종32)

37권-숙종33(1707)-숙종38(1712)
죄인 박의량(朴義良) 등 추안 / 정해년(1707, 숙종33)
무고 죄인 장천련(張千連) 등 추안 / 신묘년(1711, 숙종37)
죄인 정렴(鄭濂) 등 추안 / 신묘년(1711, 숙종37)
죄인 이천재(李天栽) 추안 / 임진년(1712, 숙종38)
죄인 이운(李橒) 추안 / 임진년(1712, 숙종38)
죄인 서종철(徐宗哲) 추안 / 임진년(1712, 숙종38)

38권-숙종39(1713)-숙종41(1715)
죄인 이동석(李東奭) 등 추안 / 계사년(1713, 숙종39)
죄인 김상현(金象鉉) 등 추안 / 갑오년(1714, 숙종40)
죄인 이세경(李世卿) 등 추안 / 을미년(1715, 숙종41)

39권-경종1(1721)-영조 즉위(1724)
죄인 조성복(趙聖復) 추안 / 신축년(1721, 경종1)
죄인 김승석(金承錫)ㆍ최수만(崔壽萬) 추안 / 임인년(1722, 경종2)
죄인 이시필(李時弼) 추안 / 계묘년(1723, 경종3)
죄인 이의연(李義淵) 추안 / 갑진년(1724, 영조 즉위)
김일경(金一鏡)ㆍ목호룡(睦虎龍) 추안 / 갑진년(1724, 영조 즉위)

40권-영조1(1725)
죄인 방만규(方萬規) 추안 / 을사년(1725, 영조1)
죄인 목시룡(睦時龍) 등 추안(1) / 을사년(1725, 영조1)
죄인 목시룡 등 추안(2) / 을사년(1725, 영조1)
조덕린(趙德隣) 추안 / 을사년(1725, 영조1)

41권-영조1(1725)-영조12(1736)
최하징(崔夏徵) 등 추안 / 병진년(1736, 영조12)
죄인 최석산(崔錫山) 등 추안 / 을사년(1725, 영조1)
역적 사건 추안(1) / 무신년(1728, 영조4)

42권-영조4(1728)
역적 사건 추안(2) / 무신년(1728, 영조4)

43권-영조4(1728)
역적 사건 추안(3) / 무신년(1728, 영조4)

44권-영조4(1728)
역적 사건 추안(4) / 무신년(1728, 영조4)
역적 사건 추안(5) / 무신년(1728, 영조4)

45권-영조4(1728)
역적 사건 추안(6) / 무신년(1728, 영조4)
역적 사건 추안(7) / 무신년(1728, 영조4)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