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설원 1

설원 1

  • 허호구
  • |
  • 전통문화연구회
  • |
  • 2012-12-31 출간
  • |
  • 425페이지
  • |
  • 188 X 254 X 30 mm /904g
  • |
  • ISBN 9788991720831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5,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5,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진 평공(晉平公)이 사광(師曠)에게 물었다.
“임금 노릇하는 도리는 어떠해야 하는가?”
사광이 대답하였다.
“임금 노릇하는 도리는 정치(政治)를 간결하고 번거롭지 않게 하여 백성을 널리 사랑하는 데 힘쓰고 어진 이를 뽑아 맡기는 일을 서두르며, 귀와 눈을 넓게 열어 만방(萬方)의 일을 살펴야 합니다. 유속(流俗)에 단단히 빠지지 않고 측근에 얽매이지 않으며, 마음을 활짝 열어 멀리까지 내다보고 우뚝하게 자신의 주장을 세우며, 자주 관리(官吏)의 공적을 살펴서 신하 위에 군림해야 하니, 이것이 임금이 지켜야 할 조목입니다.”
평공이 말하였다.
“훌륭한 말이다.” -권1 「군도(君道)」
제 환공(齊桓公)이 대신(大臣)들을 위해 술자리를 마련하여 정오쯤에 모이기로 약속하였다. 관중(管仲)이 뒤늦게 도착하자 환공이 술잔을 들어 벌주(罰酒)를 마시게 하였는데, 관중은 술을 반만 마시고 반은 버렸다. 환공은 말하였다.
“약속 시간에 늦게 도착하여 벌주를 마시면서 술을 버렸으니 예의에 있어 옳은 일이오?”
이에 관중은 대답하였다.
“신(臣)은 들으니, 술이 입에 들어가면 많은 말이 나오니, 말이 많이 나오면 말실수를 하게 되고, 말실수를 하면 몸을 버린다고 합니다. 신(臣)은 몸을 버리는 것보다 술을 버리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환공은 웃으면서 말하였다.
“중부(仲父)는 일어나 자리에 들어가 앉으시오.” -권10 「경신(敬愼)」

통치자의 교과서
≪설원(說苑)≫의 저자 유향(劉向, B.C. 77~B.C. 6)은 서한(西漢)을 대표하는 학자로서, 경학(經學), 문학(文學), 그리고 목록학(目錄學)에 걸쳐 많은 학문적 업적을 남긴 인물이다.
이 책에는 중국 고대(古代)로부터 시작하여 유향이 살던 한(漢)나라 때까지의 갖가지 교훈적 일화(逸話)와 명언(名言), 경구(警句) 등이 망라되어 있으며, 이를 생동감 있고 재미있는 문답과 이야기의 형식을 빌려 구성함으로써 유가(儒家)의 통치이념과 윤리도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 까닭에 중국은 물론이요,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읽히고 국가적으로 여러 차례 간행되기도 하였다.
특히 이 책은 정치 일선에서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이 책에 실린 일화와 명언, 경구들이 왕의 입장에서는 신하들에게 교시(敎示)를 내리거나, 신하의 입장에서는 왕에게 간언(諫言)을 올리는 데 적절한 자료를 제공해주었기 때문이다. ≪설원≫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주제도 ‘통치자 자신의 수신(修身)이 정치적 성패를 좌우하는 관건’이라는 데 있다.

역사적 인물 사이의 대화 형식
이 책은 모두 20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임금 노릇하는 도리부터 시작하여, 신하 노릇하는 방법, 근본을 세우는 것, 절의를 지키는 것, 덕을 귀중히 여기는 것, 은혜에 보답하는 것,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 인재 등용, 충직한 간언(諫言), 근신과 겸손, 설득력 있는 언설(言說), 사신(使臣)의 도리, 올바른 권모와 지략, 공평무사(公平無私), 국가적 위기를 대비하기 위한 무력(武力), 자연현상, 예악문물(禮樂文物), 실질(實質)의 중요성 등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주제는 대체로 대화(對話) 형식을 빌려 서술되어 있으며, 이 대화는 실존했던 역사적 인물 사이에 이루어지고 있다. 그 결과, 이 책에 실린 이야기의 역사적 신빙성과 사실성이 뒷받침되어, 독자들이 더욱 생생하고 흥미롭게 다가갈 수 있게 한다.

고대 문헌의 고증 자료
≪설원≫이 지니는 학술적 가치는, 고증 자료로써의 방대함에 있다. 선진시대(先秦時代)로부터 한대(漢代)까지의 다양한 자료들이 실려 있어, 경서(經書)를 비롯한 여타 고대 문헌들의 자구(字句)와 명물(名物) 등에 관한 각종 고증 자료로도 많이 인용되었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 정약용(丁若鏞, 1762~1836)도 ≪맹자요의(孟子要義)≫,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 ≪시경강의(詩經講義)≫, ≪상서고훈(尙書古訓)≫, ≪매씨서평(梅氏書平)≫, ≪춘추고징(春秋考徵)≫, ≪상례사전(喪禮四箋)≫ 등 자신의 주요 저서에서 ≪설원≫을 고증의 중요한 출처로 인용한 바 있다.

현재 통행본의 근간이 된 고려본(高麗本)
현재 통행되고 있는 ≪설원≫은 고려(高麗)에서 소장하고 있던 책이 근간이 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송(宋)나라 초기에 이 책을 간행할 때, 마지막 편인 「반질(反質)」이 빠져 있었다. 바로 이 부분을 보충하는 일은 고려에 있던 책을 입수함으로써 가능했다. 고려 선종(宣宗) 8년(1091), 송나라에서는 고려 사신을 통해 고려에 있는 100여 종의 서적을 요구하였으며, 이 속에 ≪설원≫ 20권이 들어 있었다. 고려에서 이 요구에 응함으로써 고려본 ≪설원≫이 송나라에 유입되었으며, 그제야 비로소 송나라에서는 완질(完帙)이 갖추어지게 되었다.
훗날 돈황 석실의 문헌에서 ≪설원≫ 「반질」편 잔권이 발견되었는데, 그 내용이 현전하는 판본과 큰 차이가 없다는 점에서 고려본이 온전한 판본이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우리나라의 국가적 수용과 보급
≪설원≫이 우리나라에 언제 처음 수용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적어도 고려 건국 이전에 이미 많이 읽혔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의 학자 성해응(成海應, 1760∼1839)은 「설원고려본설(說苑高麗本說)」에서 “낙랑(樂浪) 때 조공(朝貢)을 하면서 혹 ≪설원≫의 비본(秘本)이 우리나라로 들어왔다가 고려 때에 이르러서 송나라에 다시 바친 것이 아닌가 한다.”고 유추하였다.
기록상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제4권 덕종(德宗) 3년(1034)의 아래와 같은 언급이다.
“여름 4월에 동지중추원사 최충(崔충)이 아뢰기를 ‘성종(成宗) 때에 내외 모든 관청 벽에 모두 ≪설원≫의 육정(六正)ㆍ육사(六邪)의 글과 한(漢)나라 자사(刺史)의 육조령(六條令)을 써서 붙이게 하였는데, 지금은 세대가 이미 오래되었으니 다시 새로 써 붙여서 벼슬에 있는 사람에게 신칙할 바를 알게 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이 기록에 의하면 고려 제6대 군주인 성종(재위 981~997) 때 이미 ≪설원≫은 국가 공공기관에 지켜야 할 강령으로 게시될 만큼 보편적으로 읽혔음을 알 수 있다. 풍속을 교화하고 국가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이보다 더 간명하고 핵심적인 조항이 없다고 생각해서였던 것이다.

전문가의 연구번역
본 역주서(譯註書)는 수십 년간 고전 번역과 후학 양성에 종사한 전문가가, 국내외의 수많은 교주본(校註本)과 번역본(飜譯本)을 두루 참고하여 학술적으로 연구번역한 책이다.
단락별로 원문과 번역문을 함께 실어놓고, 원문에는 원문의 문장구조를 한국적인 방식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우리나라 전통적 방식의 현토(懸吐)를 하였다. 또한 주석은 관련 고사(故事)와 인물(人物)뿐만 아니라, 역사적 사실이나 제도적인 측면까지 심도 있게 밝혀 독자들의 내용 이해를 도왔다.

동양고전에 접근하는 통로
오늘날 유가(儒家)로 대표되는 동양의 윤리와 정치이념은 어렵고 낡은 것으로 치부되는 경향이 없지 않다. 게다가 유가 경전을 포함한 대부분의 동양고전들은 현대어로 번역을 한다 해도 일반 독자들이 선뜻 다가가기에 쉽지 않은 면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비교적 쉽고 재미있는 대화와 이야기로 이루어진 이 책은, 오늘의 독자들이 동양고전에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통로와도 같은 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금언(金言)으로 삼을 만한 명구(名句)들이 빼곡하게 들어차 있는 짤막짤막한 문답과 일화들을 읽다 보면, 멀고 고리타분하게 느껴졌던 동양의 전통적인 윤리와 정치이념들이 어느새 오늘날에도 여전히 살아 있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목차


東洋古典譯註叢書를 발간하면서
解題
凡例
參考文獻

說苑序 《說苑》의 서문
卷1 君道 임금 노릇하는 도리
卷2 臣術 신하 노릇하는 방법
卷3 建本 根本을 세움
卷4 立節 節義를 세움
卷5 貴德 德을 귀중히 여김
卷6 復恩 은혜에 보답함
卷7 政理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
卷8 尊賢 어진 사람을 존중함
卷9 正諫 바른말로 直諫해야 함
卷10 敬愼 남을 恭敬히 대하고 일을 愼重히 처리함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