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사회학 이론 무엇이 문제인가

사회학 이론 무엇이 문제인가

  • 니코스무젤리스
  • |
  • 아카넷
  • |
  • 2013-05-13 출간
  • |
  • 376페이지
  • |
  • 152 X 214 X 30 mm /652g
  • |
  • ISBN 9788957332856
판매가

24,000원

즉시할인가

21,6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1,6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사회학 이론으로 돌아가기’에 대한 촉구이자 사회질서 회복에 대한 사회학자의 요청

1.
현대 사회학 이론을 평면적으로 소개하거나 나열하지 않고 각 이론의 한계를 진단하여 처방에 대한 견해를 제시함으로써 이론적 종합을 시도하는 책이다. 이는 곧 ‘사회학 이론으로 돌아가기’에 대한 촉구이자 사회학 이론 본연의 임무인 사회질서 회복에 대한 요청이다. 사회학 이론을 연구하는 목적은 지적 유희나 호기심이 아니라 사회를 바라보는 올바른 관점을 심어주는 데 있기에 저자는 지금까지 사회학 이론의 전철을 다시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역설한다.
따라서 이 책의 목적은 이론적으로는 사회학 이론의 흐름과 각 이론의 한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 줄 뿐 아니라 이를 통해 사회학 이론 본연의 임무인 사회질서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고, 실천적으로는 사회학자들이 사회학을 하는 이유를 일깨워주는 데 도움을 주는 데 있다. 우리 사회학계를 비롯한 전체 학문분야에서 실증적 조사 연구가 만연하면서 사회질서의 근원을 밝혀주는 이론적 관심이 상대적으로 퇴조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저작은 사회학 이론을 소개,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각 이론들 간의 관계, 그리고 그것들의 한계, 나아가 이들 이론의 이론적 종합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학 이론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2.
『사회학 이론, 무엇이 문제인가』는 저자가 사회학 이론에 관심을 쏟기 시작하면서 펴낸 비교적 초기의 저작이다. 무젤리스가 사회학 이론에 관심을 두기 시작한 1990년대는 사회주의가 몰락하고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질서가 맹위를 떨치는 글로벌 시대로 접어든 시기이다. 이러한 현실적 배경 하에서 2차 대전 후에 이론적으로 영향을 미친 구조주의, 구조기능주의, 마르크스주의 등 거시적 접근 방법이 영향력을 상실하고 1970년대부터 발아한 각종 포스트 이론들이 대안 없이 활개를 치게 되었다. 급기야 극단적 포스트이론이 내놓은 해법은 결국 해체이론으로 치달으며 마치 사회이론이 실종되는 듯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저자는 구조기능주의에 대한 비판에서 진단을 시작한다. 그렇다고 그에 대한 대응으로 나온 행위지향적 상호작용주의에 대한 옹호로 그치지 않는다. 또한 구조기능주의의 미시적 상황에 대한 경시 그리고 상호작용주의의 거시적 상황에 대한 무시 모두를 비판하는 양비론적 입장에 서지도 않는다. 무젤리스의 주된 관심은 거시와 미시를 잇는 가교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 책은 바로 그러한 시도의 산물이다.
이러한 가교를 잇고자 한 노력은 무젤리스가 처음은 아니다. 책에도 나와 있듯이 그간 많은 이론가들이 구조기능주의 미시에 대한 경시와 상호작용주의의 거시에 대한 묵과가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자 노력을 했다. 가령 엘리아스의 결합태 이론, 기든스의 구조화 이론, 부르디외의 아비튀스 개념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저자는 이 책에서 이들 이론들이 미시와 거시를 연결하는 가교를 완성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한다. 이 책의 목적은 바로 그러한 한계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다.

3.
기존 사회학 이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분석한다는 점에서 이 책은 파슨스의 구조기능주의에서 현대 사회이론에 이르는 사회학 이론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며, 이러한 현대 사회학 이론의 흐름을 소개,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각 이론의 한계와 증상이 무엇인지를 밝혀내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증상을 치유하고자 나온 여러 치료법의 문제도 들추어내며 올바른 처방과 진단을 내리고자 한다. 저자가 내린 처방과 진단에 대해서 그 유효성을 평가하고 논의할 문제이지만, 미시와 거시를 연계하려고 한 그의 시도는 사회학 이론이 새롭게 요청되는 이 시대에도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감사의 말 ┃ 013
서론 ┃ 015
1. 도구로서의 이론과 최종 산물로서의 이론 ┃ 016
2. 현대 사회학 이론의 성쇠 ┃ 019
3. 개념적 실용주의 ┃ 032

제1부 진단 ┃ 039

1장 미시사회학적 이론화의 곤경: 파슨스에 대한 과잉 반응 ┃ 041
1. 고프먼의 ‘상호작용 질서’의 성격에 관한 논쟁 ┃ 045
2. 사회적 위계의 경시: 집합 또는 표현의 논리를 통한
미시-거시 간극 잇기 ┃ 049
3. 미시적 분석과 거시적 분석의 단절 ┃ 061
4. 결론 ┃ 065

2장 합리적 선택 이론: 미시적 기초에서 환원주의로 ┃ 069
1. ‘미시-거시’ 연계 ┃ 071
2. 콜맨의 기여 ┃ 075
3. 사회 문화적·역사적 맥락의 경시 ┃ 079
4. 이론적 맥락의 경시 ┃ 082
5. 규범과 이해관계 ┃ 085
6. 결론 ┃ 092

3장 포스트구조주의: 경계의 소멸 ┃ 094
1. 반토대주의 ┃ 096
2. 주체의 분산 ┃ 103
3. 표상 및 경험적 준거 개념의 거부 ┃ 110
4. 탈분화 ┃ 120
5. 탈분화의 결과 ┃ 123
1) 정치경제학에서 정치적 담론으로 ┃ 123
2) 행위-제도적 구조 구분 ‘초월하기’ ┃ 129
3) 보드리야르: 절충주의에서 환원주의로 ┃ 138

제2부 시험적 처방 ┃ 145

4장 제도적 구조와 결합태적 구조: 파슨스와 엘리아스 ┃ 147
1. 서론 ┃ 147
2. 실재적 쟁점: 사회적 상호의존과 문명화 과정 ┃ 150
3. 이론적 쟁점과 방법론적 쟁점 ┃ 157
4. 결론 ┃ 166

5장 제도적 구조와 결합태적 구조의 접합에 관하여
: 파슨스 사회학과 마르크스주의 사회학의 결합 ┃ 168
1. 파슨스 사회학을 소생시키려는 신기능주의적 시도 ┃ 168
2. 신기능주의 및 신진화 이론 비판 ┃ 177
3. AGIL: AGIL과 결합태적 통일체 및 제도적 통일체와의 관계 ┃ 179
4. AGIL: 주요 제도적 질서의 기술, 전유, 이데올로기 차원 ┃ 184
5. 응용 ┃ 192
6. 결론 ┃ 196

6장 ‘참여자-사회 통일체’ 문제: 파슨스, 부르디외, 기든스 ┃ 199
1. 서론 ┃ 199
2.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개념 ┃ 201
1) 세미나 게임 ┃ 201
2) 부르디외의 아비투스가 가진 여섯 가지 특성 ┃ 206
3. 기든스의 구조의 이중성 ┃ 231
1) 간략한 논점 ┃ 232
2) 일반적 비판 ┃ 234
3) 구조의 이중성 그리고 제도적 분석과 전략적 행위의 구분 ┃ 239
4. 결론 ┃ 243

7장 종합과 응용: 기능주의에 대한 사회학적 재고찰 ┃ 249
1. 정당한 형태의 기능주의와 부당한 형태의 기능주의 ┃ 250
1) 사회 통일체→ 참여자 강조: 수용 가능한 기능주의 ┃ 252
2) 수용 불가능한 기능주의 I: 파슨스 ┃ 253
3) 수용 불가능한 기능주의 II: 알튀세 ┃ 255
4. 기능적 요건과 존재 조건 ┃ 256
1) 파슨스의 기능적 요건의 논리 ┃ 257
2) 필요조건에서 충분조건으로의 이행 ┃ 260
3. 기능적 분석과 행위 분석 ┃ 263
1) 게임의 위치, 기질, 상호작용 상황 차원 ┃ 266
2) 이중성과 이원론 ┃ 269
3) 사회적 위계 ┃ 275
4) 위계들 간의 관계 ┃ 282
5) 기술로서의 위계 ┃ 284

결론 ┃ 287

결론의 부록: 시험적 지침 ┃ 296
1. 토대주의, 본질주의, 전체론 ┃ 296
2. 일반성 II와 일반성 III ┃ 296
3. 제도적 통일체와 결합태적 통일체 ┃ 298
4. ‘미시-거시’ ┃ 298
5. ‘이중성/이원론’ ┃ 300
6. 사회적 위계 ┃ 300
7. 게임의 세 가지 차원 특성 ┃ 302
8. 기능주의 ┃ 303

부록: 삶의 궤적의 위계적 측면들 ┃ 305

1. 위계와 자본 추구 ┃ 305
2. 지위, 기질, 상황: 일치의 정도 ┃ 309
3. 상이한 유형의 자본들 간의 연계 ┃ 314
4. 또 다른 차원의 비교 ┃ 317
1) 계열체 수준에서의 이중성에서 이원론으로 ┃ 317
2) 위계적 분절 ┃ 319
3) 경제 자본과 문화 자본: 유사성과 이질성 ┃ 322

옮긴이 해제 ┃ 327
참고 문헌 ┃ 353
찾아보기 ┃ 36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