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주역정의 1: 십삼경주소

주역정의 1: 십삼경주소

  • 왕필 ,한강백 ,공영달
  • |
  • 전통문화연구회
  • |
  • 2014-10-15 출간
  • |
  • 428페이지
  • |
  • 190 X 257 X 35 mm /993g
  • |
  • ISBN 9791185856094
판매가

39,000원

즉시할인가

37,83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7,83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동아시아 학문의 뿌리
고전古典은 수천 년에 걸친 인류의 다양한 경험과 지혜가 온축된 문화와 지식의 보고로서, 그 속에는 인간의 근원적根源的인 문제에 대한 질문과 해답이 담겨 있다. 그래서 길게는 2천 년이 넘는 시간적 거리를 초월하여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우리에게 지적知的 정서적情緖的 자양분을 제공하고 있다.
한문漢文으로 된 동양고전은 전통적으로 ‘경經·사史·자子·집集’의 네 가지로 분류되었다. 맨 앞에 경經이 위치하는 까닭은 동아시아 지식인들이 ‘경’을 다른 모든 문헌의 모태母胎로 인식하여 특별히 존중했기 때문이다. 이 문헌들은 가장 오랜 기간 가장 광범위한 지역에 영향을 끼친 유가儒家의 경전으로서, 통틀어 ‘십삼경十三經’이라 한다. 중국 주周나라 초기부터 기록되기 시작한 ≪시경詩經≫과 ≪서경書經≫을 필두로, ≪주역周易≫, ≪주례周禮≫, ≪의례儀禮≫, ≪예기禮記≫,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논어論語≫, ≪이아爾雅≫, ≪효경孝經≫, ≪맹자孟子≫가 그것이다.
‘십삼경주소’는 이 문헌들에 대한 가장 오래된 주석이자, 유례가 없을 정도로 방대하고 체계적인 주석으로 모두 416권에 이르는데, 한漢나라와 위진魏晉 시기의 학자들이 저술한 고주古注에,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의 오경정의五經正義와 송宋나라 학자들의 소疏를 붙여 완성한 것으로, 무려 천 년 이상의 학문적 온축이 빚어낸 결정체이다.
‘십삼경주소’는 전통사회 지식인들의 경전經典에 대한 경외심과 학문적 연원淵源에 대한 존중, 그리고 그에 대한 완벽한 이해를 끝까지 추구하려는 치열한 학문적 열정熱情을 잘 보여주는 결과물로서, 방대한 양의 주석에는 어느 한 분야에 국한하지 않고 거의 모든 학문영역이 녹아 있다. 그러므로 수천 년 동아시아 사회의 학문적學問的 근원根源이 이 ‘십삼경주소’에 있다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의 역주譯註, 고전 연구의 선결과제
오늘날 우리 학계에서 고주古注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것은, 현대의 우리말로 번역되지 않았다는 점도 중요한 원인이라 하겠다. 그간 사서오경四書五經 같은 번역서가 상업용·교양용 등의 형태로 다수 출간되긴 했지만, 이 번역서들은 십삼경주소의 체계를 따르지 않았을 뿐 아니라, 상당수가 편역編譯이나 중역重譯의 한계를 가지고 있어, 오역誤譯이 많거나 내용이 부실하거나 송대宋代의 신주新注에 편향되는 등 한국학의 전통을 이어가는 학술연구의 참고서적으로 부적합한 실정이다.
이에 전통문화연구회에서는 한국학 및 동양학 연구의 초석礎石으로서, 학계를 비롯하여 정치·사회 각계의 요구에 따라 ‘십삼경주소의 역주譯註’ 사업을 시작하였다.
이 십삼경주소의 역주는, 십삼경을 경經은 물론이요 주注와 소疏까지 역주譯註하는 것으로, 원전의 전통성傳統性과 번역의 현대성現代性을 기본으로 하여, 한학원로漢學元老와 신진학자新進學者의 협동연구번역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주석註釋은 송대의 ‘신주新注’와 비교하고, 우리 선현들의 주석, 명청대明淸代의 주석, 근대 이전 일본日本의 주석, 한중일韓中日의 현대주석을 널리 반영할 계획이며, 심도 있는 연구해제硏究解題를 하기로 하였다. 또한 한문고전의 우리식 독해문법讀解文法인 현토懸吐를 경經과 주注에 달고 방대한 소疏에는 편의상 구문構文을 이해할 수 있는 표점標點을 달며, 경?주?소 전체에 대한 내용색인內容索引을 계획하고 있다.
중국과 일본에서도 번역하지 못한 십삼경주소를 전통문화연구회에서 130여 책으로 10년 안에 완역完譯하고, 이와 이울러 한중일韓中日 삼국三國의 동양고전어휘 정보망을 구축함으로써, 우리의 동양학과 한국학 연구에 초석礎石과 가교架橋가 되어 우리나라가 선진문화강국으로 승화昇華되고 세계문화 발전에까지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주역정의周易正義≫, 새로운 ≪주역≫을 만나다
십삼경주소의 하나인 ≪주역정의≫는 위魏나라의 왕필王弼이 경문의 주注를 달고, 진晉나라의 한강백韓康伯이 [계사전繫辭傳]을 비롯한 십익十翼의 주를 달아 ≪주역주周易注≫를 지었는데, 이후 당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疏를 붙여 완성하였다.
≪주역≫은 상고시대부터 오랜 기간에 걸쳐 서서히 형성된 문헌으로 한 사람이 지은 것도 아니고 한 시기에 완성된 것도 아니다. ≪주역≫의 작자에 대해서는 팔괘八卦를 복희씨伏犧氏가 만들었다는 설부터 시작하여, 주周나라 문왕文王과 주공周公이 괘사卦辭와 효사爻辭를 만들었다는 설과, 공자孔子가 [계사전]을 비롯한 십익十翼을 지었다는 주장이 있으나 모두 확실한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
≪주역정의≫는 오경정의五經正義의 하나로, 십삼경 중에서도 더욱 존중을 받았던 책이다. 원래는 전체 14권이었으나 후세에 10권으로 편집되었다. 공영달은 한대漢代 이래 여러 학자의 주석에서 왕필의 주가 가장 뛰어난 주석이라고 평가하여, 왕필과 왕필의 역학易學을 계승한 한강백의 ≪주역주≫를 채택하고, 아울러 한 구 한 구를 따라 소를 붙여 ≪주역정의≫를 완성하였다.
≪주역≫의 해석에 대해, ≪주역정의≫와 송대宋代의 ≪주역전의周易傳義≫ 사이에는 일정한 차이가 있는데, 우리는 그간 ≪주역전의≫에 익숙해 있었고, ≪주역정의≫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은 편이었다. 아마도 번역된 책이 없다는 데에 가장 큰 원인이 있을 터이다.
‘경전의 해석에 하나의 정답이 있을 수 없다.’는 현대 학계의 흐름상, ≪주역정의≫ 또한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중요한 주석서이다. ≪주역정의≫로 대표되는 고주古注와 ≪주역전의≫로 대표되는 신주新注의 조화를 통해, 새로운 해석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책이다.
따라서 ≪주역정의≫의 번역은, ≪주역≫ 연구자들에게 ≪주역정의≫의 내용을 쉽게 파악하고 이해하여 전문적인 연구에 활용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 가장 큰 의의가 있다. 산발적으로 진행되었던 ≪주역≫ 고주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고주의 내용을 상당 부분 수용한 ≪주역전의≫의 연구에도 훌륭한 참고서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본 역서의 출간을 계기로 ≪주역≫에 대한 새로운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리라 기대된다. 송대宋代 신주新注 중심의 학술풍토가 가지는 한계를 넘어 학문적 다양성多樣性을 확보함으로써, 우리 고전 연구硏究와 번역飜譯의 수준을 한층 더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우리 학문의 균형성을 회복하고, 자생력을 증대시키는 데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그뿐만 아니라 ≪주역≫을 읽고자 하는 일반 독자들에게도 본 역서는 유용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다소 어려운 내용은 제쳐두고 ≪주역≫ 경문經文의 번역만 일독하더라도, 기존 번역과의 차별성이 확연히 드러날 것이고, 그 과정에서 ≪주역≫을 이해하는 깊이와 폭도 그만큼 넓어질 것이다.
본 역서는 원문의 경經과 주注에는 우리나라 전통적 방식의 현토懸吐를 하였고, 소疏에는 간략한 표점標點을 하였으며, 상세한 역주譯註를 달아 독자의 이해를 도왔다. 또한 40여 년 동안 전통 한학을 계승·발전시키고 고전의 번역과 교육 및 현대화에 이바지한 원로 한학자(성백효成百曉)와 신진 연구자(신상후申相厚)가 협동으로 연구번역하여, 신구新舊 학자의 조화 속에서 우리말로 재탄생하였다.
본 역서를 일독해보면, 그동안 우리에게 익숙했던 ≪주역전의≫와는 다른 새로운 ≪주역≫을 접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목차


東洋古典現代化와 十三經注疏 譯註
十三經注疏 解題
≪周易正義≫ 解題
凡例
參考文獻

重刻宋板注疏總目錄
重?宋本十三經注疏後記
欽定四庫全書總目 周易正義十卷
周易正義序
周易正義 卷第一(卷首)

周易兼義 上經 乾傳 卷第一
1. 乾?
2. 坤?
3. 屯?
4. 蒙?

周易兼義 上經 需傳 卷第二
5. 需?
6. 訟?
7. 師?
8. 比?
9. 小畜?
10. 履?
11. 泰?
12. 否?
13. 同人?
14. 大有?
15. 謙?
16. 豫?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