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총마행

총마행

  • 황충호
  • |
  • 아이필드
  • |
  • 2010-08-20 출간
  • |
  • 503페이지
  • |
  • 152 X 223 mm
  • |
  • ISBN 9788989938347
판매가

19,000원

즉시할인가

17,1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7,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1]

평전 《당 태종 이세민》을 쓴 황충호의 두 번째 저술이자 첫 소설이다. 당 현종(재위 712-756) 이융기 때의 두 인물 고선지와 왕모중을 주인공으로 삼았다. 제목 <총마행>은 고선지의 개선 장면을 시로 읊은 시성 두보의 <고도호총마행(高都護驄馬行)>(고선지 장군의 애마 총마를 노래함)에서 땄다.

태평성대를 연 태종(재위 626-649)과 고종(재위 649-683)을 거쳐, 고종의 부인 측천은 실권을 쥐고도 성에 안 차 아예 국호를 주(周)로 바꾼 다음, 691년 도읍을 옮겨 704년 죽을 때까지 직접 통치하니 당나라는 무씨가 지배하는 나라였다. 이씨 입장에서는 ‘망국’이었다.

668년, 고구려가 망하고 그 유민들이 끊임없이 반란을 일으키자 당은 그 이듬해인 669년, 고구려 백성 중 약 4만여 호를 가려 뽑아 양자강 이남, 회하 이남, 산남(山南), 장안 이서 등지의 텅 빈 지역으로 이주시켰다. 677년, 당은 고구려 마지막 임금 고장(高藏. 보장왕을 말함)을 요동주 도독 조선왕에 봉하고 요동에 돌아가 고구려 백성들을 다독거리게 했다. 이때 당나라 각처에 이주시켰던 고구려인들도 모두 함께 가게 했다. 그런데 고장이 말갈과 연합, 반란을 꾀하자 그를 소환하여 공주(邛州. 지금의 사천성 일대)에 옮겨 살게 했고, 고장과 함께 갔던 고구려인들 대부분도 다시 끌어다 하남과 농우(隴右. 지금의 섬서성과 감숙성 경계)의 여러 주로 천사(遷徙)시켰다.

고선지와 왕모중. 고구려가 망한 후에 태어난 고구려 후예들이다. 측천무후 집권 후반기인 8세기 벽두의 당나라는 내치가 흔들리고 국경 밖에선 이민족들이 서서히 세를 키워가고 있었다.

이 소설에서 왕모중은 아버지 왕구루가 국경 이탈죄로 환송되어 참형을 당하자 노예로 전락한다. 기골이 장대하고 말을 잘 다룬 왕모중은 어느 날 이융기의 노비로 들어와 ‘복국’을 꾀하는 이융기의 참모가 되면서 격동의 현장으로 뛰어들게 된다. 이융기의 복심으로 활동하면서 무사들을 발굴하고 조직하기 위해 동분서주한다.

당의 변방 양주(凉州. 지금의 감숙성 무위)의 장수 고사계의 아들 고선지는 어릴 적부터 아버지와 함께 군문에 있으면서 장수의 꿈을 키워나간다. 양주는 중원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이민족의 침탈이 잦았고 또한 교류도 많은 곳이었다. 이민족들과 친분을 쌓아두는 것, 무예와 병법을 연마하는 것이 그의 전부였고 사실 이민족 출신으로서 보신의 방법은 그것밖에 없었다.

드디어 측천이 죽었다(704년). 그러나 신세력들이 무씨의 기득권세력을 제압하는 과정이 쉽지 않았다. 무씨의 아들들은 무씨 즉위 전에도 황위에 올랐지만 모두 허수아비였고, 그 자리에서 쫓겨난 동안에도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어머니의 눈치를 보아야 했으니 무씨가 죽었다 한들 제대로 된 세력이 있을 리 없었다.


[2]

이융기가 황제 자리에 올랐다(712년). 당 현종이다. 증조부 태종 이세민의 ‘정관의 치’와 더불어 그의 초반 치세를 ‘개원의 치’라 할 정도로 영민한 군주였다. 30년 동안 곤두박질 친 황실 이씨의 권위는 차츰 자리를 찾아가고 있었다. 정변의 주역 왕모중도 중용되어 장군의 직위가 내려졌다. 노예에서 왕후장상의 반열에 오른 것이다.

실세로 등장한 왕모중에게는 정적도 많았다. 같이 정변을 치른 환관 고력사---그도 이융기의 노예 출신이다---가 대표적인 인물이다. 아무리 황제의 신임이 두텁고 병권을 쥐고 있으며 주변에 사람이 많다 한들 그 자체가 칼의 양날이었다. 기율을 벗어나면 누구도 예외 없이 엄하게 벌하자 저항하는 무리들이 생겨났다. 황제의 귀에 비방이 들어갔고 이융기도 그를 의심하기 시작했다. 망국의 후예에다 노예 출신이라는 태생적 한계는 정변의 동지였음에도 황제의 의심을 부추기는 지렛대였다. 황제는 왕모중을 무서워하고 있었다. 언젠가 제거해야 할 인물이었다.

변방의 고선지는 승진이 더딘 편이었다. 무예도 출중하고 병법도 밝아 장재는 남 못지않았으나 정치에 무심하여 ‘중앙’과의 관계를 잘 맺지 못한 탓이었다. 천생 지방의 향군 수장으로서 평생을 마쳐야 할 팔자였다. 크고 작은 전투에서 승전보를 올리지만 중앙에서 파견 나온 상관과의 마찰을 피할 수 없었다. 변방에 평화라도 올라치면 중앙 출신 상관들은 공을 세워 하루라도 빨리 경사(京師)로 가고 싶어 일을 내려고 안달한 반면, 그 뒷감당은 온통 현지 출신인 그가 맡아야 한 까닭이다.

현종이 즉위한 지 20여 년이 흐르는 동안 돌궐이 쇠락해지면서 변방이 안정되고 인구가 늘고 경제가 번영했다. 현종은 정사에 대한 열정이 시들해지고 여색과 음률에 탐닉했다. 신하의 말을 듣기 싫어하고 일 처리는 아예 환관 고력사에게 맡겼다. 나이 탓인지 도교에 심취해 도관이 늘고 많은 술사와 도사들이 궁 안을 활보하고 다녔다. 이 무렵 황제의 신임을 차지한 신료는 이림보였다. 이림보는 환관과 비빈을 접촉하며 그들의 환심을 사놓았다.

변방이 안정되었다지만 동북 방면의 이민족 일부가 국경을 어지럽히고 있었다. 그곳 영주의 호인 출신 안록산은 주변 여러 부족의 언어에 능통하고 사정을 소상히 꿰고 있었으며 사람의 비위를 맞추는 재주도 뛰어나 조정에서 내려온 관리들을 융숭히 대접했다. 이 관리들이 조정에 들어가 황제에게 보고하니 황제도 그한테 호감을 가졌다.

현종이 총애하던 무혜비가 죽었다. 환관 고력사는 현종의 며느리 양옥환에게 현종의 시름을 달래줄 것을 청했다. 양옥환은 귀비에 책봉되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양귀비’다. 현종은 양귀비 자매들에게 저택을 하사하고 국부인의 작위를 내렸다. 또 먼 친척 오라비 양쇠를 불러들여 국충으로 이름을 바꾸게 하고 관직을 내렸다.

양국충과 이림보. 양국충과 안록산. 현종의 말년을 말아먹는, 당의 근간이 흔들리는 데 일조한 인물들이다. 고선지는 이들과 동시대에 살고 있었다.


목차


총마행
중원을 호령한 고구려인 이야기

전쟁 9
망명 22
새 생명 51
아버지와 아들 61
임치왕 78
단검 115
고향 양주 129
정변(1) 144
천기(千騎) 149
양주를 떠나다 153
중종 시대 158
군인이 되다 175
정변(2) 192
풍대인 212
호가 소리 231
당 현종 247
장군이 되다 254
설중홍 267
맹수 297
악연 306
토사구팽 318
실의의 나날 331
이림보 그리고 안록산 355
양귀비 363
낙점 384
소발률 원정 392
개선 440
탈라스 전투 451
승냥이와 곰 465
장안에서의 삶 475
반란 491
광기 500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